869 0

19세기말 신체 이미지 메타포(Metaphor)의 상징성 연구

Title
19세기말 신체 이미지 메타포(Metaphor)의 상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ymbolism of the Body Image Metapho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uthor
김재원
Alternative Author(s)
Kim, Jae-Won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19세기 말은 오랜 과거의 역사에 대한 비판적, 대립적 태도를 갖고 정치, 경제, 사회상의 변혁에 있어서는 인간 활동의 모든 면에서 큰 자극과 영향을 주는 시기였고 현대를 향한 보다 진보적인 기점을 마련한 시대였다. 르네상스 이래 인간의 이성에 대한 자각이 점차 고조되기 시작하면서 시민계급은 자유의 의지가 한층 계발되었고 근대 인본주의 정신의 본질에 눈을 뜨기 시작하였다. 조형예술에 있어서도 이러한 사회성과 근대사조에 편승하여 각자의 독립성과 개인의지로 자유로운 표현이 존중되었으며, 예술은 시각적 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내면적 가치를 표상하는 장식수단으로 사용됨으로써 당면하고 있는 사회의 현실성과 밀착된 관계를 맺어왔다. 시대의 한 반영으로써 당대의 예술이 어떠한 모습과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 하는 것은 미래의 예술을 담당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수불가결한 인식요건이 되는 것이며, 회화에 있어서도 차별적이고 대립적인 사조로 말미암아 사회적 현실을 직접 반영한 것은 19세기로부터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19세기에 신체이미지를 은유적 시각화로 해석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로, 세기 말 혼미했던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성문화의 사회상을 상징주의적 여성이미지, 거의 강박적일 정도로 착시의 시각적 이미지에 집착하게 되는 경향들을 19세기 브루조아의 사회적, 성적 규정위에서 철저히 억눌려왔던 감정과 욕망의 표현, 감각, 꿈, 신화의 시각적 표현의 작품에 관한 문제, 내용에 초점을 두고 그 속에 담겨져 있는 사상적 심층의식을 분석해 봄으로써 당시 정치적, 사회적 측면과 결부시켜 고찰해보고자 했다. 또한 19세기 말 회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역사적, 사회적 여건 속에서 시대적 상황과 예술적 배경의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알아보고 회화의 형식이 현실의 일상사를 반영한 작품의 성격, 특성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로, 시대적 측면과 미학적 측면으로 나누어 도상해석학적 접근방식을 통해 사회적 현실과 예술적 이상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그 둘의 간극을 찾아내는 작업을 필요로 했다. 상징주의 문학이 회화에 미친 여러 가지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세기말적 관심사를 비교적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었던 당시 예술사의 연구를 통해서 과도기적이며 암울한 분위기속에서 퇴폐적이고 데카당적인 주제와 에로티시즘, 그로테스크, 앙드로진, 나르시시즘 등의 신체 이미지 메타포 구현을 통한 상징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셋째로, 예술에 있어서 성적표현은 고대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중세의 기독교 사상에 의해 많은 제약이 있었고, 근대에 이르러 직접적이고 자유롭게 표현되기 시작했으며, 성이라고 하는 주제는 고대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식에 의해 이루어졌고 내용에 있어서는 개인의 주관적 체험 또는 존재론의 단편으로 혹은 일반적인 정신문화 징후의 표상으로 더 나아가서는 특정한 개인 문화의 범주를 벗어나 보다 형이상학적인 이상세계로의 갈구와 구현으로 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알레고리로 구현화되는 과정을 논고한다. 넷째로, 19세기는 내재된 모순들을 무의식적으로 표출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예술과 문학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던 시대였다. 이런 점에서 예술가의 작품에 나타나는 성에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프로이드(Sigmumd Freude)저서인 <정신분석입문>이나 <꿈의 해석>에서 성욕에 대한 정신 분석적 연구가 인간이 지닌 성 표현에 대한 그들의 업적을 승화된 성욕의 한 형태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징주의적 회화의 특성과 결합하여 세기말적 현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회화의 유형을 주제로 삼았던 뮈샤, 비어즐리, 모로, 쉴레, 클림트 작품을 예술 속에 나타난 사회상과 역사, 그림, 알레고리를 형성하는 문학적, 도덕적, 종교적 사고에 바탕을 두고 인간정신의 본질이 변화하는 역사적인 조건에서 특정주제와 관념을 통해 어떻게 은유적으로 표현되었는지에 대해 새롭게 조망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남녀간의 ‘신체적 메타포’를 주된 테마로 하면서 휴머니티와 심리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에로티시즘 미술을 한 단계 높여 주었고 이러한 예술은 주로 인체를 통해 표출되며 시대성과 미적 가치, 즉 작가의 의식이나 사회의 변화요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었다. 인간정신의 본질이 변화하는 역설적인 조건에서 시각적 언어와 관념을 통해 어떻게 신체이미지의 은유(Metaphor)를 하나의 형상에서 미적영역으로 표현했는가를 이해하고 그 밖의 연상 작용을 암시화하는 메타포의 이중구조의 본질을 삶과 예술의 상호작용에서 구체적인 도상이 형성하게 되는 바램을 가져본다.; The late 19th century is characterized by the critical and confrontational viewpoints of old history and the significant stimulation and tremendous effect on all aspects of human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revolutionary change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paving the way for a progressive modern society. The bourgeois class began to have more sophisticated and enlightened free will as their insight into the Logos(reason) of human has been expanded since the Renaissance, and they started to get closer to the essence of modern humanity. The formative art also jumped on the bandwagon of modern and social trend, respecting free expressions based on individual independence and personal will. And the art not only played a visual function but also served the purpose of decoration that embodies the internal value, closely connected to the reality of nature currently at issue.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emotion, desire, senses, dream, questions and substances related to the visual expression of mythologies that have been thoroughly suppressed by the bourgeois social and sexual norms of the 19th century in a bid to look into the symbolic feminine images that represent the sexual culture and soci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compulsive tendency to adhere to visual images of illusion, on the basis of the historic background at the turn of the chaotic century, and to analyze the inherent ideological subconsciousness and shed light on it from the political and social standpoint.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mporary situation and artistic background in the historic and social context while trying to understand the painting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art works that reflect the routine reality in the form of paintings. Second, this study discussed the social reality and artistic ideal by breaking it down into contemporary aspect and aesthetic aspect based on the iconological approach, trying to identify the gap of the two(social reality and artistic ideal). It also attempted to determine various effect of symbolism literature on paintings. Based on the research in contemporary art history that pursued relatively sincere expression of interest at the turn of the century, this study also tried to look into the correlation of symbolism embodied by physical image metaphors, such as decadent themes and eroticism, grotesque, androgyne, narcism, and others, amid the transitional and dreary ambience. Third, sexual expressions in art that had begun in the ancient times were limited by christianity during the medieval age. However, direct and free expressions began in modern times. The theme of sex has been represented by various forms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moment, and is considered to symbolize subjective experience, or a fragment of existentialism, or a sign of general spiritual culture, or even as a pursuit and embodiment of metaphysical ideal world that goes beyond specific individual cultural boundary, and in this sense, this study sheds the light on the process of allegoric representation. Fourth, the inherent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egan to come to the surface in the 19th century, demonstrating potentials of new art and literature. In this regard, Sigmund Freud said in his book titled “New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ream" -which was based on his psychoneurosis research in sexual desire- that sexual implications in art works are part of artist sexual desire that transcends their accomplishments in the sexual expression of human. Thus, how art works of Mucha, Beardsley, Moreau, Schiele, Klimt -who adopted the themes from various pictorial patterns at the turn of the century which were incorporated with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ymbolic paintings- were metaphorically represented may be figured out from a different angle in the context of specific themes and concepts, from a historic perspective based on the change in the essence of human spirit, and from the literary, ethical, and religious standpoint that forms social aspect, society, paintings, and allegory. Finally, this study put an emphasis on the humanity and psychological aspect while adopting the major theme of 'physical metaphor' between man and woman, raising the level of the eroticism fine art by one notch higher. And that type of art, mostly expressed by human body,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through the contemporary aspect and aesthetic feature, namely the consciousness of art or factors of social change. This writ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how the metaphor of physical image was represented by the visual language and conception in the aesthetic realm under an ironic condition in which the essence of human spirit changes, and a specific iconology aris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ife and art that embodies the essence of dual structure metaphor which implies the associ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2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85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