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1 0

재현의 위기 시대의 메타 담론 연구

Title
재현의 위기 시대의 메타 담론 연구; 영화의 자기 반영 미학을 중심으로

Title
영화의 자기 반영 미학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Meta Discourse Study in the Era of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Centering on Self-Reflexivity Aesthetics of Film
Author
서대정
Alternative Author(s)
Suh, Dae-Jeong
Advisor(s)
정태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아리스토텔레스가 미메시스를 예술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이후 재현은 오랜 동안 예술의 핵심 원리로 인식되었다. 예술가들은 시대를 막론하고 투명한 재현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19세기에 사진과 영화가 발명되면서 재현의 신화에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새로운 매체가 보여준 극한의 투명성은 그동안 예술을 지배하던 재현 미학을 새로운 시각으로 인식하도록 유도했다. 이로써 재현에 기댄 예술은 방향 전환의 기로에 서게 된 것이다. 보편성으로 받아들여지던 유일한 예술적 원리가 사라진 자리를 대신하기 위해 모더니즘 미학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준거를 찾았다. 입체파는 진리의 상대성을 주장하며 재현의 틈을 메웠고, 추상표현주의는 세계를 모사하는 대신 이미지와 비구상의 세계로 침잠해 들어갔다. 그리고 초현실주의는 우리의 이성으로 감지할 수 없는 무의식의 세계를 연상과 자동기술법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러나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에 의해 해체되었던 재현 미학은 영화 속에서는 여전히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관객은 영화가 산출하는 재현의 효과를 통해 동일화의 세계에 빠져들면서 심신의 안정을 찾았다.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재현 미학이 배태하고 있는 동일화가 관객을 무저항과 비판 부재의 세계로 이끈다고 비난하였다. 곧, 고전적 내러티브로 유지되는 영화들은 지배 이데올로기를 주입하는 기재로 인식되었다. 1960년대 전 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해방과 혁명의 기운은 대안의 이데올로기를 찾고 있었다. 후기 구조주의자들의 관점에서 볼 때 브레히트는 최적의 인물이었다. 그의 서사극은 아리스토텔레스 미학에 반대해 이데올로기를 조장하는 동일화 효과를 깨트리고 관객을 깨어있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지배 이데올로기를 해체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고다르는 누벨바그 비평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배경으로 브레히트를 영화적으로 계승했다. 그는 예술 생산 과정을 노출하고, 관객에게 말을 걸면서 동일화 효과를 거부했다. 창작과 비평의 이질적인 요소는 자연스럽게 그의 영화 안에서 통합되었다. 고다르의 자기 반영적 메타 예술론은 동일화의 신화를 일소하고 영화로 정치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은 것이다. 그러나 관객은 브레히트의 교술적인 미학을 이용한 고다르 영화에 거부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평론가들은 관객이 다시 재현을 통한 동일화의 경험을 원하는 것을 목격하면서 재현과 메타 예술은 결코 화합할 수 없을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1990년대 등장한 말레이시아 태생의 대만 감독 차이밍량(蔡明亮)은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던 재현과 자기 반영적 메타 미학의 통합을 다시 시도했다. 그는 거대한 통합적 내러티브 속에 작은 미장아빔mise-en abyme들을 배치해 이들이 서로를 반영하도록 유도했다. 차이밍량은 미장아빔의 자기 반영 기능을 이용해 스스로를 인용함으로써 자신의 영화 작업을 되돌아보았고, 관객에게는 현실을 직시하도록 요구했다. 차이밍량은 재현과 자기 반영을 통합할 때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틈을 독특한 방식으로 봉합해나갔다. 그의 영화는 관객에게 일정한 미적 거리감을 불러일으켰지만, 그것은 브레히트와 고다르의 정치적인 소격효과와는 다른 차원으로 기능했다. 차이밍량의 영화는 반영의 거울을 내부로 이동시켜 인간 존재가 가지는 근원적인 파토스를 성찰하게 만들었다. 그의 영화는 자기 반영에 근거한 메타 미학과 재현으로 이루어진 리얼리즘, 그리고 이질적인 요소들의 교직으로 발생하는 간극을 환상성(幻想性)으로 메우면서 새로운 굴절의 미학을 선보인 것이다. 차이밍량 영화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그는 언제나 또 다른 미장아빔을 삽입하면서 점점 외연을 확대하는 전략으로 관객을 자신의 영화 세계로 이끈다. 우리는 차이밍량이 영화를 발표할 때마다 삽입하는 새로운 미장아빔을 통해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뫼비우스의 심연 속으로 들어서는 것이다.; Representation aesthetics has been recognized with an essential theory of the art since Aristotle had adopted mimesis as a method of the art. Artists have endeavored for the transparent representation in every era. But a crack broke out in the myth of the representation with the invention of the photography and the cinema. The supreme transparency of the new media induced a new perspective for the representation aesthetics, which had dominated the art world. The art derived from the representation stood on the crossroad of changing direction. Modernism aesthetics wanted to search for the self-referentiality in order to the replacement of the only principal that has been recognized for the universality. Cubism made up the chink of representation with relativity of the truth and Abstract Expressionism entered into the world of the image and Nonrepresentationalism instead of the mimesis. Surrealism also constructed his own empire with association of ideas and automatism beyond the logos that we could perceive. But the deconstructed representation by modernism and avant-garde still sustained its life in the cinema. Many spectators in the theater sought for the stability through the transparency of the representation. Identification that the effect of the representation created was the only comfort to the people who were tired by the labor in the time of industry. Notwithstanding, critics blamed the identificationfor its stance of non-resistance and the absence of criticism. Classical narrative cinemas are considered as a special mechanism, which poured the dominant ideology into the spectators. The sprit of the liberation and revolution in 1960's looked out for an alternative ideology. Brecht was an optimum artist from poststructuralist's point of view. They fixed their eyes on alienation effect of Brecht. Against aesthetics of Aristotle, the purposes of epic theatre was disjointing identification effect, which made for a special ideology and awakening the audience. For this reason Brecht's epic theatre was considered as the only method which could deconstruct the dominant ideology. With the political and aesthetical backing, Jean-Luc Godard, another name of French Nouvelle Vague took advantaged of Brecht's theory. Godard exposed his production process and spoke to the spectators. He made some distance between cinema and them through those methods. Heterogeneous elements of creation and criticism were integrated in His cinema; also his self-reflexive Meta art theory opened a path for political cinema. But spectators were boring with his art by which was pulled Brecht's educative aesthetics. They wanted to meet with identificat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al effect. Two of aesthetics never seemed to agree. Taiwanese cineaste, Tsai Ming Liang who was born in Malaysia appeared on the stage of cinema in 1990's. He retried to integrate inter-exclusive two kinds of aesthetics. Tsai placed mise-en abymes in the integrative narrative in order to reflect each other. Also, he turned around his artistic work and claimed the spectators to see the real world straightforwardly through the function of self-reflexivity. Minimal and non-decorative Tsai's cinema induced the spectators to an abyme of self-reflex. He sutured the crack where has existed between the representation and self-reflexivity through fantasy. Tsai's film made a feeling of distance to spectators in theatre but it functioned in different ways against Godard and Brecht's alienation effect. He moved a reflexive mirror into the interior and led people on the basic pathos which had been inherent in we, human beings. Tsai's art showed us refractive aesthetics through fantasy, representation of realism and Meta aesthetics based on self-reflexivity. His cinema is still some kind of present progressive form. He is magnifying the denotation gradually by inserting another mise-en abyme into the virtual integrative narrative. Whenever he screened his cinema, we always entered into the abyme of Mobius by inserted the mise-en abyme. But we could reflect our minds with the internal mirror that Tsai gave us when we come out of the theatre. Spectators have been growing and getting older like Tsai's persona. Tsai is enlarging his cinematic world through the silent conversation. His cinema stands still in the field of some evolution and we can enjoy his art from a distance through the integrative aesthetic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8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