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주-
dc.contributor.author박종혜-
dc.date.accessioned2020-04-08T17:06:05Z-
dc.date.available2020-04-08T17:06:05Z-
dc.date.issued2007-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7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74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동주택 관련 인증제도들을 종합.분석하여 거주자에게 가장 필요한 ‘주거의 기능’ 을 충족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객관적인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현재 계획 공급된 아파트의 평가를 통하여 개발된 체크리스트의 공동주택 단지 평가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먼저 주거학 관련 문헌조사를 통해 공동주택 단지 평가에 필요한 주거의 기능을 파악하였다. 그 후 인증제도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주거의 기능에 적용시켜서 평가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으며, 이 개발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동탄 신도시 시범단지의 6개 아파트 단지의 현장방문을 통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앞서서 체크리스트의 평가항목 검토를 위하여 2007년 5월 3일 조사대상 아파트 중 두 곳을 선정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주거의 기능에 따른 아파트를 평가하는 데 적합하지 않는 문항은 수정하였다. 본 조사는 2007년 5월 7일부터 5월 15일까지 동탄 신도시 시범단지에 있는 삼성 래미안,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포스코 더샾 , 다숲 캐슬, 금호 어울림, 한화 꿈에 그린으로 이 6개 단지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30평형대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공동주택 단지의 평가항목에 필요한 주거의 기능은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 에너지 효율성, 독립성, 공공성, 심미성으로 정리되었다. 1) 안전성이란 눈, 비 또는 지진과 같은 자연적인 위험과 화재 또는 범죄 및 도난과 같은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뜻한다. 2) 쾌적성이란 인간에게 적절한 환경 조건을 충족시켜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게 하는 기능을 뜻한다. 3) 편리성이란 인간이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설비 등의 물리적 조건을 뜻한다. 4) 에너지 효율성이란 주생활에 필요한 유지·보수 등의 관리적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감 기능을 뜻한다. 5) 독립성이란 각 세대 또는 세대 내에서의 영역성과 프라이버시 확보의 기능을 뜻한다. 6) 공공성이란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 공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능을 뜻한다. 7) 휴식성이란 주생활 중 휴양생활과 여가생활을 통합하는 기능을 뜻한다. 8) 심미성이란 주거의 형태와 색채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 갖게 하며 자기표현으로써의 기능을 뜻한다. 2. 주거의 기능 측면에서 공동주택 평가에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으며, 이 체크리스트들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지능형 아파트 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인증기준에 준하여 평가항목과 세부항목을 추출하였으며 필요한 항목은 추가시켜 28개의 평가항목과 73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1) 안전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단지 내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도로 조성, 노약자.장애인 배려, 화재.소방 설비, 출입통제 시스템, CCTV감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 쾌적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온열환경, 공기환경, 음환경, 빛환경으로 구성하였다. 3) 편리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원격검침 시스템, 원격제어 시스템, 통합 컨트롤 기기, 센서조명으로 구성하였다. 4)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대체에너지 사용, 우수(雨水) 부하 및 우수(雨水) 이용, 열 완충 공간, 기밀성 창호, 절수형 기기 사용으로 구성하였다. 5) 독립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평면계획, 부부침실의 독립여부, 1층과 최상층에 서비스 공간 제공으로 구성하였다. 6) 공공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 단지 내 커뮤니티 센터, 단지 내 학습시설 계획으로 구성하였다. 7) 휴식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을 구분하였으며 실외 공간의 평가항목들은 산책로 조성, 의자나 벤치 등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 조성, 친수 공간 조성, 체육공원 조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실내 공간 평가항목들은 거실에 홈시어터용 배관 설치, 욕실 내 전망창, 욕실 내 월풀욕조, 화단 공간 조성으로 구성하였다. 8) 심미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아파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을 중심으로 단지 주출입구 디자인, 단지 외부 입면 디자인, 지하 주차장 출입구 디자인, 주동 출입구 디자인, 통합 디자인(현과 출입문 디자인, 부착기기, 콘센트 덮개), 다양한 실내구성(거실 아트월, 천장, 벽면)으로 구성하였다. 3. 개발된 체크리스트가 공동주택 평가 도구로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동탄 신도시의 시범단지 6개 아파트의 사례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체크리스트는 전반적으로 그 타당성이 인정되었는데 그 상세는 아래와 같았다. 1) 안전성에 관한 평가항목 중 단지 내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도로 조성, 노약자, 장애인 배려, 출입통제 시스템, CCTV감시 항목들을 적 용현황이 거의 100%에 가까워서 그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실시중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 지능형 아파트 인증제도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항목에서 골고루 나타나 체크리스트에 반영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화재.소방 설비 평가항목 중 경보, 배연, 피난 설비의 법규 준수라는 세부항목은 꼭 필요한 항목이나 갖추지 않으면 준공검사가 되지 않으므로 이 항목은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서 배제시켜도 지켜질 항목으로 판단되었다 2) 쾌적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그 적용현황이 약 90%를 상회하여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실시중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 지능형 아파트 인증제도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항목에서 고루 나타나서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 반영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3) 편리성에 관한 평가항목은 그 적용현황이 거의 100%에 가까웠다. 즉 이 항목들은 그 중요도가 높았으며 현재 지능형 아파트 인증제도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항목으로 반영 실시되고 있어 앞으로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 반영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4)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평가항목의 적용현황은 평균적으로 50%를 상회하였다.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항목들은 현재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의 평가항목으로 반영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자원낭비를 막아 절약을 유도 하는 측면에서 권장되는 항목으로 앞으로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 권장 또는 반영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5) 독립성에 관한 평가항목의 적용 현황은 평면계획의 세부항목 중에서 가변형과 복도형 평면계획만이 나타났다. 따라서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각 실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변형과 복도형 평면계획 항목이 체크리스트에 반영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부부침실 독립여부의 세부항목은 부부침실의 위치와 부부욕실 계획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항목의 적용현황은 100%이었으나 현관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부욕실 계획만으로 부부침실의 독립성을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이 항목은 명확한 평가기준과 세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층과 최상층에 서비스 공간 제공 항목의 조사결과 이 항목의 적용 현황이 각각 83%와 67%이며 1층과 최상층이라는 핸디캡에 대한 대책으로 전용 정원 공간과 다락방 공간을 제시하는 것은 거주자의 영역성과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는 항목으로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 반영되어야 할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6) 공공성에 관한 평가항목 중 재택 근무실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의 적용현황은 평균적으로 95%를 상회하였다. 따라서 이 항목들의 중요도가 인정되었으며 현재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 지능형 아파트의 평가항목으로 반영되어 실시되고 있어서 앞으로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 반영되어야 할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재택 근무실 항목은 적용현황이 0%였으며 이는 개인용 컴퓨터와 팩스가 보급됨에 따라 단지 내 커뮤니티 센터에 계획되기보다 각 세대 내 서재 등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앞으로 이 항목은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서 제외시킬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7) 휴식성에 관한 평가항목들 중 실외의 휴식성에 관한 평가항목의 적용현황은 100%로 나타났으며 그 중요도가 인정되었다. 또한 녹지공간과 친수 공간 조성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서 꼭 필요한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실내의 휴식성에 관한 평가항목들의 적용현황은 거실에 홈시어터용 배관설치와 발코니공간에 화단 조성을 제외하고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이는 실내의 휴식성의 경우 거주자 취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공동주택 체크리스트에 반영하지 않아도 무방한 항목으로 판단되었다. 8) 심미성에 관한 평가항목들의 조사결과 각 아파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방식이 일률적으로 브랜드 네임과 로고를 부착시키는 정도로만 나타나 있어 출입구 디자인과 마감재 및 색채 선택 등 단지 내 통합적인 디자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에서도 현관문 디자인, 각 컨트롤 기기, 콘센트 덮개 등에 통합적인 디자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항목에 대한 평가 기준은 정량적인 방법보다 정성적인 방법을 통해 측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그 외 남겨진 과제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안전성에 관한 평가 결과에서는 첨단 기기의 발달로 화재 또는 범죄로부터 안전을 지키기가 더 용이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노약자·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편리성에 관한 평가 결과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격제어나 통합 컨트롤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앞으로 첨단설비의 적용에 의해 더욱 강조될 항목으로 보였다. 하지만 시스템 구축이나 설비 적용을 위한 비용이 분양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따른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3)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체크리스트의 각 평가항목들에 대한 거주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developed an integrated and objective checklists which can satisfy the 'dwelling function' mostly necessary for dwellers by generalizing and analyzing apartment houses-related certification system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 In addition, using the developed checklists, it aimed to ver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se checklists to evaluate apartment houses through an evaluation of apartments which are currently planed or provided. For this purpose, it firstly grasped the dwelling function needed for apartment house evaluation through living culture-related literature survey as its concrete method. Then, it analyzed preliminary studies related to a certification system, thereby applying its result on dwelling function and developing the evaluation checklists. Then, with these checklists, it performed case studies through field visits to 6 apartments in model complex of Dongtan new city. Before that, in order to examine evaluation items of the checklists, it carried out a preliminary study by selecting 2 areas among subjected apartments in May 3, 2007 and through this result, it corrected items which were not suitable for apartment evaluation in the aspect of dwelling function. This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7, 2007 to May 15 centering on about 30 pyeong space, most common in 6 complexes including Samsung Raemian, Hyundai industrial development I-park, Posco the sharp, [DA:SOOP] castle, Kumho Oullim and Hanhwa dream and green in the model complex of Dongtan new city.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Ver. 12.0 program. To sum up, the result were as below: 1. It was arranged that the dwelling functions needed for evaluation items in apartment house complex were safety, amenity, convenience, energy efficiency, independence, publicity and aesthetics. 2. It developed checklists necessary for apartment house evaluation in the aspect of dwelling function; evaluation items and detailed items of these checklists were extracted in accordance with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telligent Apartment Certification System,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and certification criteria of Home Automation System; it added a item needed; therefore, it deduced 28 evaluation items and 73 detailed items. 1) The evaluation items about safety were construction of road only for walkers and bikes within complex, concern of an old and feeble person · the disabled, equipment for fire, access control system and CCTV security. 2) The evaluation items about amenity were thermal, air, sound and light environment. 3) The evaluation items about convenience were composed of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remote control system, integrated control machine and sensor light. 4) The evaluation items about energy efficiency were alternative energy use, rain water load and its use, heat buffer space, confidential windows and doors, and use of water saving machine. 5) The evaluation items about independence were floor plan, independence of bedroom for couple and service space offer in 1st and top floor. 6) The evaluation items about publicity were community facilities, community center and plan of learning facilities within complex. 7) The evaluation items about relaxation were divided into indoor and outdoor space. The evaluation items for outdoor space were composed of construction of promenade, sitting and relaxing space such as chair and bench, water-friendly space and sports park; and the evaluation items for indoor space were composed of pipe installation for home theater in living room, picture window in bathroom, whirlpool bath in bathroom and construction of flower bed space. 8) The evaluation items for aesthetics were complex main entrance design, elevation design for complex exterior, underground parking space gateway design, main entrance design, integrated design (the front door gate design, attached instrument and consent cover) and various indoor composition (art wall in living room, ceiling and wall surface)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apartment brand identity. 3. It examined validity of checklists as an evaluation tool which was developed by case survey of 6 apartments in model complex of Dongtan new city. 4. It gav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s below: 1) In the evaluation result of safety, it was found that safety is more secured from fire or crimes by development of high-tech machine. However, it is still needed an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old people or the disabled. 2) In the result of convenience, it has been remote control or integrated control by establishing home network system and it may be emphasized by application of high-tech equipments. However, the cost for system establishment and facilities may affect sale pri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have alternatives of the government. 3) It is thought that in further study, it should perform an investigation of satisfaction or preference of dwellers about each evaluation items of developed checklist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주거의 기능 측면에서 공동주택 평가 도구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Apartment Houses in Respect of Dwelling Func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종혜-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Jong-Hy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환경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