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기-
dc.contributor.author김달환-
dc.date.accessioned2020-04-08T17:04:49Z-
dc.date.available2020-04-08T17:04:49Z-
dc.date.issued2007-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5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489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어떤 동기로, 얼마나 인터넷 댓글을 이용하는지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했다. 기존의 댓글 연구들은 주로 댓글의 특성을 파악하거나 정치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효과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댓글 이용자들의 측면에서 과연 댓글 이용자들은 댓글로 무엇을 하고 있으며, 그러한 사람들은 어떤 성향을 가진 사람들인지 등 좀 더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댓글의 이용과정에 대해 이용자 분석을 시도하고자 했으며, 이용과 충족 패러다임의 틀 속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이용과 충족 패러다임은 '댓글 이용자들은 댓글로 무엇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댓글 이용자의 능동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그들은 어떤 사람들인가'에 대한 해답을 내리는 데도 유용한 연구틀이다. 이러한 틀 속에서 인터넷 댓글 이용자들이 어떠한 동기로 인터넷 댓글을 이용하며, 이러한 동기와 연관된 심리적 사회학적 특징은 무엇이며, 이들은 각각의 댓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했다. 먼저 연구 결과 댓글 쓰기 동기와 읽기 동기는 조사했다. 쓰기 동기와 읽기 동기는 Papacharissi와 Rubin (2000)의 인터넷 이용 동기에 연구자가 사전조사한 항목을 첨가해 사용했다. 이후 본 조사 결과, 쓰기와 읽기 동기 각각 7개와 6개의 요인들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동기는 '분노반박/이견제시/평가', '재미 오락', 접근용이/소통', '관심표현/동의', '시간보내기', '이타심/토론참여', '사명감/존재확인'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타심/토론참여', '사명감/존재확인' 요인은 문항 간 신뢰도가 낮아서 이후 상관성 관계 등 추후 분석에서는 제외했다. 읽기 동기 요인은 '이견 및 오류 탐색/이슈확인', '재미오락/습관', '여론지각', '이타심/토론참여', '생활', '이용용이성' 등이었다. 이러한 댓글 쓰기와 읽기에 대한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심리적 변인과의 상관성을 조사했다. 상관성 조사에 이용된 심리적 변인으로는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향 등의 공격성향과 외로움,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 등의 성격 특질이었다. 여기에 사회적 변인으로 사회자본과의 상관성 조사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댓글 쓰기의 경우, '분노반박/이견제시/평가'와 관련이 있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으로는 논쟁성, 언어적 공격성, 신경증적 성향이었다. 이것은 '분노반박/이견제시/평가'의 목적으로 댓글 쓰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논쟁적이며, 언어적으로 공격적이며, 신경증적 성향이 있음을 대변하는 것이다. '재미오락' 동기는 외향성, 친화성 등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개방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접근용이/소통' 동기는 외향성, 신경증, 인터넷 연계망 정도 등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심표현' 동기는 신경증 등의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시간 보내기' 동기는 언어적 공격성, 외로움, 외향성, 신경증 등의 성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타심' 동기는 논쟁성, 친화성, 사회연계망 정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댓글 읽기의 경우, '이견 오류 탐색/이슈 확인' 동기와 관련이 있는 요인은 인터넷 대인적 신뢰 정도였다. '재미오락/습관' 동기와는 '언어적 공격성', '외로움', '외향성' 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논쟁성, 대인적 신뢰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여론 지각의 경우, 외향성, 친화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타심/토론' 동기는 사회연계망 정도, 인터넷 연계망 정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생활' 동기는 언어적 공격성, 외로움, 외향성 등의 동기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 용이성은 외향성, 사회연계망 정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논쟁성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틀에서 선행하는 변인들인 인터넷 댓글 이용자들의 사회적 심리적 속성, 인터넷 댓글 쓰기와 읽기 동기가 인터넷 댓글 읽기와 쓰기 행위, 인터넷 댓글 읽기와 쓰기 만족을 어떻게 예측하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행위에 대한 분석결과, 댓글 쓰기의 경우는 댓글 쓰기 동기 중 '재미오락' 요인 및 '관심표현' 요인과 사회자본 중 사회연계망 정도, 그리고 성격 특질 중 신경증적 성향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읽기의 경우는 댓글 읽기 동기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재미오락/습관', '여론지각', '생활' 등이었다. 만족에 대한 분석결과, 인터넷 댓글 쓰기의 경우 댓글 쓰기 동기 중 '재미오락', '시간보내기', '관심표현'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 특질 중 '외향성'과 '개방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대인적 신뢰의 경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댓글 읽기 만족의 경우, '생활', '여론지각', '재미오락/습관', '이타심/토론' 등의 댓글 읽기 동기 요인들과 인터넷 대인적 신뢰라는 사회자본적 요소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개방성 등의 성격 특질 요인들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비록 탐색적 수준이긴 했지만, 다양한 댓글 쓰기와 읽기 동기들을 정리할 수 있었고, 이러한 댓글 쓰기와 읽기 동기와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의 성향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실질적으로 댓글 쓰기와 읽기라는 행위, 그리고 그러한 행위를 통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발견점 중에서 시사할 만 한 점은 첫째, 댓글 쓰기의 '분노반박/이견제시/평가'와 언어적 공격성과 신경증적 성향이 관련돼 있다는 점이다. 언어적 공격성은 적대적 성향으로서 타인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파괴적 성향으로 분류된다. 신경증적 성향도 사람들의 부정적인 감정을 대변하는 성향이다. 물론 논쟁성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언어적 공격성과 더 큰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것은 사이버 공간에서 악성 댓글이나 타인에 대한 공격적 댓글에 대한 원인을 설명해 주는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들은 시간 보내기 위해서 댓글 쓰기를 이용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사람들은 언어적으로 공격적이고, 신경증적이라고 해석이 가능하다. 이것도 인터넷 댓글의 부정적 이용에 단서를 제공 있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발견됐던 댓글 쓰기와 읽기 행위의 이유 밝혀줄 수 있는 몇 가지 단서를 발견했다. 넷째, 사회자본의 하부 요인 중, 신뢰에 해당했던 대인적 신뢰와 네티즌 신뢰 등의 요인들이 댓글 쓰기와 읽기 행위, 만족 행위에 모두 예측 요인이 되지 못했다. 이것은 인터넷 상에서의 댓글을 댓글 이용자들이 아직은 신뢰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점들 속에서도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과 아쉬움이 존재한다. 첫째, 댓글 쓰기와 읽기에 대한 차별적 이용의 근본적인 원인 즉, 읽기는 많이 하나, 쓰기를 적게 하는 이유에 대한 이유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들은 기존 연구의 커뮤니케이션 회피 현상 등을 본 연구에서 발견된 이용 동기 항목을 결합시켜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에서 읽기와 쓰기를 측정하는데 있어 '이용 정도' 즉 리커트 5점 척도 문항을 이용했다. 읽기와 쓰기 빈도와 시간의 편차가 너무 커서 정상적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측정하는 정교화된 척도와 연구방법이 고안돼야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많은 변인을 활용했으나 유의한 변인이 적었고 설명력이 낮았다. 이것은 두 번째 제언에서 나타난, 쓰기와 읽기를 예측하는 정교화된 척도와 방법의 개발과 일맥상통한다 할 수 있겠다. 넷째,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 차원에서 진행됐다. 댓글이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등 그 중요성과 영향력이 커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댓글 이용에 관한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추후 연구들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댓글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 악플러들의 심리, 댓글의 발전적 활용 방안 등 댓글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표집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연구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좀 더 보편화된 적용을 위해서는 체계화된 확률 표집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해야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internet reply user'. Internet replys are based on interaction. But many researches were concentrate on interaction and political meanings. That is, its result was not reflected on various internet reply uses' cause and effect. So, This study is focused on relationships among reply use motivation, user's character and universal reply u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processed by uses and gratification paradigm frame: soci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 using motivations → differential media or program use → differentiated interaction with media or messages → result of using . As this frame apply to internet reply, it is followed prototype: internet reply user's soci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 internet reply using motivation → differentiated interaction with reply → result of internet reply use. At this study, user's soci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are argumentativeness , verbal aggressiveness, loneliness, big five factor model and social capital. First, researcher was investigated on internet reply's motivation. It was research question 1. On the result, internet reply writing motivations were constituted on 7 factor. And internet reply reading motivations were constituted on 6 factor. Research question 2 was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reply motivations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On the result, many relationships show between motivations and attributes. For example, contradiction/showing another opinion/evaluation was concerned with argumentativeness, verbal aggressiveness and neuroticism. Research question 3 wa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variables predict internet reply uses' behaviors. As a result, many variables influence on internet reply writing and reading. In case of writing, writing behavior is influenced by exciting and amusement seeking, social engagement degree, expression of interest and agreement, and neuroticism. As a result of reading, it is influenced by perceiving public opinion, exciting and amusement seeking/habitual uses and living. Finally, research question 4 wa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variables predict internet reply uses's satisfaction. As a result, many variables influence on internet reply As a result, many variables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internet reply writing and reading. In case of writing, satisfaction of writing behavior is influenced by exciting and amusement seeking, time consumption, expression of interest and agreement, openness to experience, extroversion, and others people's trust. As a result of reading, it is influenced by loving, perceiving public opinion, exciting and amusement seeking/habitual uses, altruism/argumentation, other people's trust on internet, openness to experienc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인터넷 댓글 이용자의 사회·심리적 속성과 이용 동기, 이용 행위, 만족의 상관성 연구-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samong Socio-psychological Attributes, Motivations for Use, Internet Reply Use, and SatisfactionforInternet Reply Use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金達煥-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Dal-Hw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신문방송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방송·뉴미디어·영상-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