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 0

화학섬유제품 취급 학생들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개인노출 및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Title
화학섬유제품 취급 학생들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개인노출 및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Personal Exposure Assess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ubjective Symptoms for Students using Textile Goods
Author
조병규
Alternative Author(s)
Cho, Byung-Ku
Advisor(s)
김윤신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featur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attributable to chemical textile and behavior feature of students in classroom and practice room of a special fashion school in seoul Korea, estimated the contribution degree per minute environment attributable to individual exposure of students, further quantified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health hazar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dividual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 level of students in special fashion school. An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featur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per diverse minute environment including the schools, and to estimate the exposure contribu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per minute environment using the time-weighted averag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health hazard quantitatively through hazard evaluation, attributable to exposure of students to volatile organic compound during school life, and to evaluate the health subjective symptoms of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ith regard to contribution of each minute environment contributing to individual exposure,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the house indoor air where subjects stay for longest period of time recorded the highest degree of contribution. 2. As a result of carrying out hazard evaluation of carcinogenic substance by individual exposure, formaldehyde recorded hazard degree exceeding 10-6, that is, 2.02×10-6 for male carcinogenic hazard and 2.65×10-6 for male carcinogenic hazard. With regard to hazard index of individual exposure of non-carcinogenic substance, male recorded 1.7 and female recorded 2.0, both exceeding 1, standard of health hazard. For m,p-Xylene, male hazard index was 4.0 and female hazard index, 4.7, both exceeding 1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health effects. 3. As a result of evaluating hazard due to exposur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the indoor air, the case in which cancerogenic index (out of cancerogenic substance) exceeded 10-6을 was female exposure of formaldehyde, which recorded the hazard degree of 1.14×10-6. Male and female m,p-xylene were the case when hazard index of single value analysis exceeds 1 among non-cancerogenic substance. Hazard index was found to be 2.2 and 2.4 respectively, showing harmful effects on study. 4.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hazard degree of school class by exposure, single value analysis resulted in benzene male, female group, formaldehyde male and female group recorded 2.72×10-8, 3.56×10-8, 3.46×10-7, 4.52×10-7 respectively, not exceeding 10-6. In terms of non-cancerogenic substance, single value analysis showed male m.p-Xylene of 1.0 and female index of 0.1, exceeding 1 and showing the possibility of body effects. 5. With regard to contribution attributable to minute environment,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ributed much in the indoor air of house, followed by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the indoor air of school. Finally, this result suggested that it prepared the foundation for management of minute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individual exposure, rather than existing pattern of study focusing on investigation of actual status and supply of basic materials recognizing the distribution of harmful air pollutants, and that it quantified the health effects on actual subjects.;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5월에 걸쳐 서울시에 위치한 모 패션전문학교의 강의실 및 실습실을 대상으로 화학섬유류에서 기인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포 특성 및 화학섬유류를 취급하는 19세에서 35세사이 학생들의 거주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휘발성유기화합물 개인노출에 기여하는 미세환경별 기여도를 추정하고 나아가 건강위해 가능성을 정량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패션전문학교 학생들의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한 개인 노출량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둘째, 학생들이 거주하는 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미세환경별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포 특성 평가하였다. 셋째,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시간가중평균을 이용한 미세환경별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노출 기여도 추정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학교생활 동안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에 기인한 건강유해 가능성을 위해성평가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건강자각증상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집된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인노출에 기여하고 있는 각각의 미세환경별 기여도는 일반적으로 연구대상자들이 거주하는 시간이 가장 많았던 주택내 실내공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이고 있었다. 2. 개인노출에 의한 발암 물질의 위해성평가 수행결과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남학생의 발암위해도는 2.02×10-6, 여학생의 발암위해도는 2.65×10-6로 모든 경우에 10-6을 초과하는 위해도를 보였다. 비발암 물질의 개인노출의 위해도지수는 톨루엔의 경우 남학생이 1.7, 여학생이 2.0으로 건강유해영향의 기준인 1을 초과하고 있었으며, m+p-자일렌의 경우에도 남학생의 위해도지수가 4.0, 여학생의 위해도지수가 4.7로 1을 초과하여 건강영향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3. 집의 실내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에 의한 위해성평가 수행결과 발암성 물질 중 발암위해도가 10-6을 초과한 경우는 포름알데히드의 여학생 노출일 경우로 1.14×10-6의 위해도를 보였다. 비발암성 물질 중 단일값 분석의 위해도지수가 1을 초과한 경우는 m+p-자일렌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경우였으며 위해도지수가 각각 2.2와 2.4로 조사되어 인체유해영향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4. 학교 실내에서의 노출에 의한 위해도 산정 결과 발암성물질의 단일값 분석에서는 벤젠의 남학생, 여학생 그리고 포름알데히드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발암위해도가 각각 2.72×10-8, 3.56×10-8, 3.46×10-7, 4.52×10-7으로 모두 10-6을 초과하지 않고 있었으며 비발암 물질의 경우 단일값 분석에서 m+p-자일렌의 경우에만 남학생이 1.0, 여학생의 경우 1.1로 1을 초과하여 인체영향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5. 개인의 전체 위해도에 기여한 각각의 미세환경에서 기인한 기여도는 주택내 실내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가장 많은 기여(41.8% ~ 55.0%)를 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학교의 실내공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많은 기여를 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패션전문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거주특성을 파악 및 미세환경별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포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개인노출에 기여하는 미세환경별 기여도를 추정하였으며, 각각의 공간에서 유해공기오염물질에 노출되는 것에 의한 건강영향의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해보았다. 이상의 결과, 화학섬유류를 취급하는 장소에서의 유해공기오염물질의 분포를 파악하는 기초자료의 제공과 실태조사 수준뿐만 아니라 개인노출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자를 파악함으로써 실제 수용체가 받을 수 있는 건강상 영향을 정량화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EALTH SCIENCES(보건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