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 0

韓國의 水利權紛爭 解決方案에 관한 硏究

Title
韓國의 水利權紛爭 解決方案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Settlement Method of the Disputes over the Water Rights in Korea
Author
김종렬
Alternative Author(s)
Kim, Jong-Ryoul
Advisor(s)
김홍균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論文은 水利權紛爭의 解決方案으로서 水利權 制度 및 水利權 調整方案의 확립, 紛爭解決制度의 개선, 나아가 水利權 去來制度의 도입 등을 제시함으로써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제고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第2章에서는 한국의 水利權 制度와 水利權紛爭 現況, 그리고 이러한 水利權紛爭을 調整하기 위한 제도와 紛爭解決制度 등의 실태를 점검하고, 第3章에서는 물에 대한 권리개념이 일찍부터 발달한 美國과 함께 日本의 水利權紛爭 解決制度를 분석함으로써 韓國의 水利權紛爭을 해결하는데 유용한 정책경험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어서 第4章에서는 앞에서 검토한 韓?美?日 水利權紛爭 解決原則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韓國에서의 水利權紛爭 解決方案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第5章에서는 水利權紛爭의 解決方案으로서 水利權 制度의 확립, 水利權 調整方案의 확립 및 紛爭解決制度의 개선, 나아가 水利權 去來制度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公水사용에 대한 權利는 개인의 旣得權이라기 보다는, 국가가 물을 관리함에 따라 개인에게 주어지는 惠澤이라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한한 公共財인 물의 이용제도는 현행대로 두기보다는 물配分制度와 許可制로 전환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현재 일관된 체계나 유기적 연계가 미비한 수자원 관련법령을 체계적으로 정비한 '水資源基本法'의 제정이 시급하다. 基本法의 제정으로 물 이용관계를 개관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도의 합리화, 물 이용자간의 이해조정 등을 꾀할 필요가 있다. 水利權의 調整方案으로 특히 渴水期에는 渴水期에 대비한 물공급의 우선순위나 특례를 법률에 규정하자는 방안과 물공급의 획일적 순위를 규정하지 말고 渴水期에는 특별한 대책을 시행할 수 있다고 법률에 규정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겠으나, 韓國의 경우 流量의 불확실성을 감안하고 流量 변동에 따른 물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後者가 더 적절한 방안이라고 보여진다. 그리고 紛爭解決制度의 개선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있는 行政的 접근방법보다는 물 자원에 대한 공공적 책임과 이용자의 책임을 인정하는 自發的 協議에 의한 配分方法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水利權 去來制度의 도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水利權 去來制度는 직접적으로는 水利權紛爭을 원만하게 해결하고 경제적 인센티브에 의한 需要管理를 통하여 물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과 간접적으로는 관개수로, 상수도시설 등에 대한 투자 등을 통하여 낭비적인 수요와 漏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이 있다. 그러나 이 制度의 도입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 즉 初期 水利權의 할당문제, 旣存 용수공급체계와의 조화, 去來市場의 형성에 필요한 제도적 보완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establish systematically a management policy for the volume of water as settlement of the disputes over water rights, and to ensur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water resources by the introduction of water market.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study, I examined property rights on water resources, a management policy for the volume of water, and dispute resolution system, thereby propo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framework for settlement of the disputes over water rights(Chepter 2). I tried to utilize policy practices to settle the disputes over water rights in Korea by analyzing a management policy for the volume of water in United States, especially California that possess the scacity of water resources and the hydrologic environment similar to Korea, including Japan(Chepter 3). Then, I reviewed the cause and case of the emerging disputes over water rights and the current system and practices for dispute settlement in Korea(Chepter 4). Based on these examinations, I suggested a policy for settlement of the disputes over water rights. It is to consider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and basic principle of water right, the reasonable and equitable apportionment of water resources, and dispute resolution system and water market adaptable to circumstances in Korea(Chepter 5). As nation managed water resources in public perspective, water rights is the given benefit rather than an acquired right of person. Therefor,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must administer the reasonable apportionment and permit system. With the establishment of permit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permit process is marvelously quick and the actual uses of water secure compatibility. For the purpose of solving legislatively a matter of the water resource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unite with articles and clauses involved in water rights scattering civil law, surface water law and so forth, based on the management in a body of water and unity management of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It is suitable to provide in the new fundamental law on water resources and to abolish water rights in a customary law, and to erase article and clauses involved in water resources of civil law. When establishing the new law on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we should consider these following things; ① water resources management agency, ② the principle and processes of distributing water resources, ③ particularly, the distribution of water resources in the peoriod of drought, ④ the standards and processes of permitting water rights, ⑤ the terms and conditions of water rights, ⑥ the registration and re-permission on the established water rights, ⑦ the partnerships and relations among the water righters, ⑧ the procedures of adjustment on the water disputes. Water market have lots of advantages and effects directly or indirectly. Directly, we are able to settle the disputes over water rights more smoothly and raise the productivity of water resources throughout demand management involved in economic incentives. The investment in the irrigation and water utilities indirectly prevent us from wasteful uses of water and leaking water. But in the introduction of this trading system, we need to solve the other problems such as a apportioning water rights on the first stage, harmonizing this new one with the existing water supply system, and preparing the institutional supplement to form this trading marke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1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