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 0

정보공개제도상 비공개대상정보에 관한 연구

Title
정보공개제도상 비공개대상정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on-Disclosure Information in the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uthor
황정현
Alternative Author(s)
Hwang, Jung-Hyun
Advisor(s)
권형준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통신기술의 획기적 발달과 언론매체의 확대 등은 대량의 정보가 신속하게 처리·유통 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정보화사회의 도래에 따라 국가는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방대한 정보를 보유·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정보화사회에서 정보는 곧 힘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정부로 대표되는 공권력에 의한 정보의 독점은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변질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행정기관이 보유하는 정보는 국민과의 공유에 의해 올바른 여론의 형성 및 참정권의 행사에 기능하여야 하고, 행정의 투명성이 확보되어야만 공정하고 민주적인 행정의 구현과 국민의 국정에 대한 신뢰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행정의 민주화를 이루고 개인의 권익을 보장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개인에게 행정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에의 접근이 보장되어야 한다. 정보의 공개없이 민주주의는 있을 수가 없으며 따라서 정보공개제도는 국민의 알 권리의 구현을 통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민주주의의 실현에 이바지하는 제도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1998년 아시아에서 최초로 정보공개제도를 입법화한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을 제정하였다. 정보공개제도를 논의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비공개대상정보에 관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정보공개대상정보의 범위는 비공개대상정보의 범위에 따라 결정될 것이고 만약 그 범위가 지나치게 좁아진다면 정보공개 제도는 도리어 정보비공개제도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의 주요한 목적은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법상 비공개대상정보를 분석하고 미국과 일본의 입법례와 비교·분석하여 그 내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정보공개법상의 주요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우선,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법에 열거된 8개의 비공개정보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볼 때, 8개의 항목이 서로 중복되거나 분류체계상으로 뚜렷한 구별이 되지 않아 법을 집행하는 공공기관이 특정 정보를 특정의 분류체계로 파악하고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범위가 지나치게 넓으므로 분류체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두번째, 국익관련정보로 국방, 외교, 통일 관련 정보의 일정 부분에 대해서는 국가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비공개가 일응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국가안보라는 개념은 그 해석에 따라 매우 광범하게 파악될 수 있으며 공공기관이 이 규정의 중대한 이익을 해칠 우려를 과장하여 해석할 우려 역시 없지 않으므로 국방, 외교, 통일 관련 정보만으로 용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국의 정보자유법상 위임조항을 참조하여 수정하는 것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세번째, 일반행정정보 가운데 업무의 공정한 수행을 강조하여 비공개 정보의 범위를 결정하게 되면 공공기관 정보공개대상자의 공개여부 판단 범위를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잡게 되어 정보공개범위의 제약을 가져올 수 있다. 네번째, 개인정보의 경우에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 개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의 공개를 제한하고 있지만 단순히 침해의 우려만으로 광범위한 제한을 하는 것은 실효성이 없다. 오히려 개인의 사생활을 더욱 보호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료건강정보, 금융정보, 학력과 성적 정보 등으로 개인에게 민감한 정보를 특정하는 것이 개인정보의 보호 범위를 더 넓히고 정보주체로 하여금 정보자기결정권의 행사를 촉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섯번째, 법인정보는 미국의 경우에는 주로 제조 기술 정보에 한정하는 경향으로 해석되고 있으나, 우리는 그 기업의 이익을 해칠 우려가 있으면 공개하지 않도록 정하고 있다. 기업비밀의 과도한 보호보다는 실제 운용에서 일본의 판례가 인용한 공개의 이익과 비공개의 이익을 비교·형량할 수 있는 여지를 주도록 입법론적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 여섯번째, 우리는 비공개대상의 특수정보로 특정인의 이해를 고려하여 부동산 관련 정보를 꼽고 있으나 미국은 공익을 배려한 유정 관련 정보를 들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관련 개인정보는 일본처럼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더라도 토지의 공공적 이용을 위해서는 투기의 사전 차단을 위해 오히려 공개범위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공개제도는 국민의 알 권리를 실현하는 민주주의 실현에 불가결한 제도이다. 이의 올바른 정착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개청구권자인 국민과 공개의무자인 정부의 올바른 의식의 확립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은 행정의 감시자로서의 역할수행을 위하여, 정부는 과거의 비밀행정의 관행에서 벗어나 투명한 행정의 구현을 위하여 정보공개제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야 할 것이다.; Modern society is in the Information Age.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ass media and the tantamou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computer and interne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and transferred across borders in short time. The coming of Information Age lets countries now possess and process the expansive amount of information not even imaginable in the past. If the fact that information equals to power is taken into account, the exclusive possession by the governmental authority will eventually bring about the change in the core of democracy Then, by making the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government available to the people, the formation of proper media and the practice of suffrage would be possibl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administration can be obtained to realize the fair and democratization of the administration and instilling the trust that people has on the government can be possible. In order to accomplish the democratization of the administration and protection of the individual rights and interest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must be accessible to people. Without making the information open to the public, no true democracy can be accomplished. In other words, the Institu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is a system that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further help to guarantee the constitutional rights and the actualization of democracy. In 1998, Korea was the first country in Asia to pass the legislature "Information Disclosure of Public organizations Act" that legalized the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Most the element which is important is the Non-Disclosure Information(exemption) from the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t follows because Disclosure Information is decided by the Non-Disclosure Information and if it comes to be narrow that the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rather will be under function with the no-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xemption to disclosure clause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of Korea and compare it with those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8 classified exemption to disclosure informations of Korea are not mutually exclusive, leaving much room for being interpreted arbitrarily by public agencies on the clauses from their own angles. Second, informations classified as confidential or exemption to disclosure are strictly protected under the current law in Korea. However, it is recommended, classification procedures of defining the scope of secrecy need to be supplemented and such exemption to disclosure clauses should be amended in a way that the substantiality of secrecy is verified, as the U.S. law mandates. Third, under the subterfuge of transparent administration of public affairs, authorities might overly restrict the disclosure,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which should be readily accessible to the public. Fourth, in relation to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exemtion to disclosure clauses which prohibit disclosing an personal name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re deeme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not only to protect privacy, but also to enhance basic rights of human-being for deciding on self-information disclosure, the specifically defined categories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 individual's medical information, financial information, or educational information, would be a more efficient alternative. Fifth, while the disclosure exemptions of corporate information are restricted exclusively to manufactur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Korean law seems to be overly protective by prohibiting disclosure of any business information interfering with corporate profit-making. Therefore, legislative revisions need be made so that interests of disclosure exemption can be tested ad hoc balancing against those of disclosure, as seen in Japanese law. Sixth, Korea and U.S. laws show differences in defining exemption to disclosure information : Korea classifies information about real estate as a special exemption to disclosure, while oil and gas wells information critical for a public good is strictly confidential in the United States. As far as real estate information is concerned, just like Japan, disclosure of some informations may be required for the purpose of a public good so that Korean government can have some leeway to curve the rampant real estate speculation. The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an inevitably necessary mechanism to realize the people's Right to Know to further accomplish ture democracy. For this system to be properly rooted, i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right attitude about the institution from the people who will openly request the information and the government that is obligated to openly give out the information. Thus, in the meaning that people should do the role of watchdog of government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eliminate the old customs of administration behind closed doors and achieve the transparency of its administration, both parties must try their best to actively response to the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