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9 0

沆瀣 洪吉周의 세계인식과 문학적 구현 양상 연구

Title
沆瀣 洪吉周의 세계인식과 문학적 구현 양상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Hanghai Hong Gilju's understanding on the world and its literary embodiment
Author
이홍식
Alternative Author(s)
Lee, Hong-Shik
Advisor(s)
정민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沆瀣 洪吉周(1786~1841)는 19세기 초 사회경제적 모순이 가시화되고 문학의 보수화가 강화되던 시기에 독자적인 사유로 개성적인 문학을 펼쳤던 인물이다. 17세기 문학을 집대성한 농암 김창협과 18세기 새로운 문학을 창도했던 연암 박지원을 동시에 섭렵한 그의 문학은 문학사의 흐름을 파악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삶과 문학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이론 체계의 부재로 실체에 대한 접근이 요원한 상태이며, 이로 이해 문학사의 맥락 또한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삶과 학문과 교유라는 문학의 외연과 세계인식과 그것의 구현 양태인 문학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함으로써, 홍길주와 그의 문학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돕고 문학사의 맥락을 명확하게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Ⅰ장에서는 諸家들의 평과 최근까지 축적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필요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현실과 꿈의 교섭이 삶과 문학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시공을 초월한 폭넓은 교유가 삶과 문학을 어떻게 풍요롭게 했는지, 피폐한 시대현실에 대한 비판정신과 애민의식이 삶과 문학을 어떻게 구동시키는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폈다. Ⅲ장에서는 현대 기호학의 세계인식과 닮아 있는 活物을 중심으로 인식론의 체계를 구축하였다. 차이의 인식과 대립의 소통, 은유와 역설 등 다양한 인식기재들이 道의 구속을 넘어 色象을 향해 내닿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깨달음과 회의가 강조되는 일련의 세계인식 방법들은 개성적인 문학 탄생의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 Ⅳ장에서는 세계인식의 구현체인 문학론을 고문사의 쟁점별로 분류하여 새롭게 정리하였다. 本質論에서는 道文一致, 典範을 기준으로 논의를 진행하여 차이를 드러내었고, 讀書論에서는 기왕의 독서론뿐만 아니라 사유로까지 확장되고 있는 活讀書의 특징들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作法論에서는 意·法·氣의 통합을 지향하는 글쓰기가 活法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지 실제 작품을 통해 분석 제시하였다. 文字論의 경우 이전까지는 作法論의 하위 개념으로 다루어왔지만, 본고에서는 따로 분절하여 한 절로 만들었다. 왜냐하면 이 또한 홍길주의 세계인식 태도나 표상성, 의미 등 다양한 개념들과 맞물려 있어서 홍길주의 문학 세계를 구현하는 데 반드시 고찰해야 할 부분이기 때문이다. 본질론, 작법론, 표현론, 독서론의 차원에서 다루어진 이상의 논의들은 홍길주의 작품을 분석하고 감상함에 있어서 유용한 해석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앞선 논의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홍길주 문학의 역사적 위상을 자리매김하고, 滔滔하게 이어져 내려오는 문학사의 맥락을 새롭게 정리하였다. 이로써 결론으로 삼았다. 일련의 과정들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함으로써 본고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요원한 상태로 남아 있던 홍길주의 독자적인 사유와 개성적인 문학의 실체를 보다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홍길주의 삶과 문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이론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이후 진행될 다양한 연구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문학사적인 맥락 속에서 홍길주의 세계인식과 문학을 조명함으로써 19세기 문학사의 발전적인 내적 계기를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活物·活讀書·차이·소통·은유·역설 등 사유와 문학을 관류하는 다양한 개념들을 통해, 현대와의 조우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홍길주의 문학은 19세기의 것이지만 그 속에 담긴 정신과 내용들은 시공을 뛰어넘어 지금 여기와 끊임없이 소통한다. 최근 그의 독서론을 현재의 독서지도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그가 꿈꾼 상상의 공간인 孰遂念을 현대의 정원문화에 적용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당대적 맥락 속에서 삶과 문학을 이해했던 논자에게 현대적 변용은 연구영역의 확장과 새로운 시도를 의미한다. 과거를 과거의 관점으로만 보면 늘 과거이지만 지금의 관점으로 다시 보면 지금이 될 수 있듯이, 앞으로도 홍길주의 문학은 새롭게 해석되고 수용되어야 한다.; Hong Gil-Ju (1786-1841) was a distinguished literary figure in the early 19th century Joseon that was marked by looming social, economic conflicts and increasing literary conservatization. He is known for his distinctive style and clear way of expressing his thoughts. Unfortunately, however, insufficient theoretical studies on him prevent us from having access to his valuable insights and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markable literati and his work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his writing style and the depth of his understanding of life and literature, and to further investigate the value of the works in literary history through comparison of his contemporary literates. The part Ⅰ examines a wide range of works on his literature so far and suggests the general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part Ⅱ makes inquiries about how his perception of tension between the "actuality" and "ideal", or the "harsh reality" and "brotherly love" is projected in his works. The part Ⅲ tries to establish his cognitive foundation by focusing on the most basic idea or element of so-called "Hawlmul" (A perceptive method of replacing matters and materials for symbols and text). This approach shows what constitutes the basis of his understanding in which various methods for thoughts go beyond the boundary of reason and reach "Saegsang" (The meaning or principle obtained from symbolic interpretations of individual th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ethods can be summed up as "awakening" and "skepticism,"which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distinctive and outstanding literature. In the part Ⅳ, his literary theories are analyzed and revised based on studies of the main issues of the traditional literature. "Substance theory" covers the scopes of "Domun-ilchi"(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eachings in Confucianism and writing), and "Jeonbeom" (An ideal model or exemplar). "Reading theory" addresses the essential elements of "Hwaldogseo" (A method of symbolic understanding the world). "Writing theory" suggests what features are prominent in his writing which stresses the combination of "Uigibeop" (Ui refers to meanings, Beop indicates forms, and Gi means an author’s talent to make his writing forceful and distinguished). Although "Letter theory" can be integrated into "Writing theory," its usefulness for understanding Hong Gil-Ju’s literary world deserves a special acknowledgement in a separate section of the study. This inquiry would deepen the recognition of his literary world given that it unveils his intrins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symbols and meanings. And in the final chapter, the value of Hong Gil-ju’s literature is to assess in the literary history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previousdiscussion. Through the above mentioned inquiry, this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ing: First, the literary works of Hong Gil-ju were created in the capital city of Joseon in the early 19th Century. Second,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of the time constitute the basis of his works. Third, he subjectively accepted various literary models and developed the unique writing style. Fourth, his works are the product which combines his expanded views with independent cognition. Fifth, he broke away from the formality of the traditional literature and pioneered a new style of writing thathas no limits in time and space and transcends the norms. Various his writing concepts such as Ojimunjang (A distinctive writing without imitating old styles), Jinmunjang (Ideal writing), Si-ui (A principle to create writi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avoiding imitation, understanding, metaphors and a unique style come to life in writing. Sixth, his literature consistently influenced following generations, such as Hong U-geon, Pak Gyu-su, and Han Jang-seok. His literature brings about a new meaning and great contribution to today’s literature. In addition to the peculiar concepts, he offers useful tools fo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exts with those ideas he pursued, such as the individuality respecting difference, the meaning expansion by using metaphor, the paradoxical shift in tenor, using the convergence of opposition. Just as the Six Classics and Jangja are beloved not just by their contemporaries, but also today’s, Hong Gil-ju’s literature would remain Korea’s one of the most cherished work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2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