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 0

박완서의 『미망』 연구

Title
박완서의 『미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i-Mang』 by Wan-Suh Park
Author
박해리
Alternative Author(s)
Park, Hae-Ri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박완서의 작품 『미망』을 텍스트로 하여, 작품 속에 드러난 근대적 의식의 형성과 근대적 이데올로기 속에서의 다양한 근대적 주체 양상의 모습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근대화 시기와 지금의 시기에 진정한 주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의 기회를 주는 작품으로서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즉 본고는 식민지와 분단으로 얼룩진 근대화 과정이라는 우리의 근대화 속에서의 다양한 주체 양상의 분석을 통해 근대의 성찰을 통한 미래의 전망제시로서의 작품의 의의를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그동안 박완서는 많은 작품들 속에서 전쟁과 분단, 물신주의와 허위의식, 여성의 문제들을 다양한 인물들을 통해 담아내었다. 『미망』역시 작가의 그동안의 창작 활동 속에 담겨있는 문제의식과 함께 다양한 인물들이 형상화 되어있는 작품이다. 필자는 다양한 인물들의 형상화를 새로운 주체 모색의 과정으로 인식하여 우리의 근대를 다룬 작품인 『미망』속에 드러난 근대적 이데올로기와 그 속에서의 다양한 근대적 주체의 모습을 분석해 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근대성 속에서의 다양한 주체의 양상에서 비판적 주체에 중점을 두었는데, 비판적 주체는 자기self에 의해 동일성을 바꾸어 나가려고 노력하는 주체적 의지를 지닌 주체로서 지금의 시기에 요구되는 진정한 주체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새로운 주체의 모색을 통한 근대의 성찰과 미래의 전망으로서의 작품의 의의를 밝히기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근대적 경험 공간으로서의 開城에서 인물들의 근대적 의식형성의 모습을 근대의 표상 제재를 통해 살펴보았고, 다음으로는 작품 속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정신적 상징물인 인삼이 형성될 수 있었던 토대로서의 공간인 개성의 특수한 의미를 짚어보았다. 개성이 인삼의 중심지로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작업은 작품 속 배경이 개성으로 선택된 것에 대한 개성이라는 지역의 특수성을 밝히는 일이다. 또한 이러한 특수성 아래 형성된 인삼의 정신은 인물들에게 이어져 인물이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밝혀 보았다. 다음으로는 Ⅲ장에서는 Ⅱ장을 바탕으로 하여 근대적 이데올로기 속에서의 인물들의 삶을 여러 주체 유형으로 나누어 지젝의 주체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해 보았다. 지젝은 상징계와 실재계를 중시하여 주체를 이 두 세계의 접속지점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지젝이 이야기 하는 진정한 주체는 자신의 존재를 위한 개별성의 영역을 보존하는 동시에 우리가 거처해야 할 장소로서 어떤 비개별성의 토대위에 발을 딛고 있음으로써 둘 간의 생산적 균형을 유지하는 존재이다. 인간은 상징적 질서 속의 요소들을 개별적인 방식으로 통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 활동을 하는 것을 지젝은 “서사적 중력의 중심”으로서의 ‘자기self'라고 말한다. 상징적 질서는 세계의 직접성이 상실될 때 그 상실을 대체하는 것으로, 거기서 주체라는 텅 빈 자리는 주체화의 과정을 통해 채워진다. 그 주체화의 과정 속에서 주체는 특정한 동일성을 부여받기도 하고 자기self에 의해 그 동일성을 바꿔나가기도 한다. 주체화의 과정 속에서 특정한 동일성을 부여받은 인물을 동일성의 주체라는 제목 하에 이데올로기적인 인물과 냉소적 인물로 유형화 하여 살펴보았고 자기self에 의해 동일성을 바꾸어 나가려고 노력하는 인물을 주체적 의지를 지닌 비판적 주체라 지칭하여 살펴보았다. 즉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인 권력과 물신, 가부장제, 식민지와 분단 속에서의 인물의 유형을 이데올로기의 환상을 모른 채 비판적 의식 없이 행하는 주체인 이데올로기적인 주체, 이데올로기의 허구를 알면서도 자신의 안위를 위하여 행하는 냉소적 주체, 이데올로기의 토대위에 서 있지만 이데올로기가 지닌 모순에 비판적 의식을 가지고 저항해 나가는 비판적 주체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여기서 필자가 중점을 둔 것은 비판적 주체의 모습이다. 이데올로기가 지닌 모순에 저항하며 살아가는 주체적 인물인 비판적 인물은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주체인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앞의 장에서 필자가 중점을 둔 비판적 주체가 서사적 중력의 중심인 자기self로서 나아가기 위한 동력을 비판적 주체 추동의 원리라는 제목 하에 살펴보았다. 이러한 주체 추동의 원리에는 인삼이라는 정신적 상징물이 크게 자리 잡고 있었고, 개성 지방 특유의 풍속에 담긴 공동체 의식과 상징적 빛으로 남은 두 죽음 사이의 존재들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이 인물을 현실에 순응하거나 편승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게 하는 동력이라는 것을 밝혀 보았다. 따라서 본고는 근대성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주체 양상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주체 모색 과정으로서의 작품의 의의를 짚어보았다. 박완서의『미망』은 식민지와 분단의 현실 속에서의 다양한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이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주체에 대해 깊이 있는 질문을 던져주는 작품으로서, 그의 작품 세계를 한층 넓히게 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of modernistic living and the image of various modernistic subject aspect in modernistic ideology detected within the work with Mi-Mang by Park, Wan-Suh as the text.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clear sense of the work that give opportunity to investigate what is the true subject at modernization time and time of now. That is, that to settlement and division through analysis of various subject aspect within our modernization of spotted modernization process to clear sense of work as future view presentation through modern self-examination make efforts. Park, Wan-Suh has treated the war and dismemberment, the fetish attention and falsehood, and woman's problems using persons within her various works. Mi-Mang is a work that various persons with critical mind had filled within creative activity meantime of writer are materialized. Writer analyzed state of diverse modernistic burden for batch with modernistic ideology which is detected in Mi-Mang that is a work that recognizes giving the shape to the varied persons as process of new subject groping and handles our modern age. Here, writer emphasized about critical subject in aspect of various subject within modernity. The critical subject retains sense as true subject that is required on present time as subject with independent will which try to change identity by own self. To clarify sense of work of self-examination and future view in modern age through groping of new subject, examined image of consciousness formation that persons show in "Gae-Sung" of modernistic experience space in chapter II first through modern representation sanction. Then, handled special meaning of "Gae-Sung" that is space as foundation that could form "Ginseng" that is spiritual symbol that do important function within work. The work that analyze process that "Gae-Sung" do that grade seat as center of ginseng is work which clear peculiarity of area as back-ground in the work. Also, "Mind of Ginseng", that formed on the basis of the peculiarity, could clarify truth that became factor that persons can live independently by being connected persons being based on this peculiarity. Next in chapter III, analyzed this on subject theory of "Zizek“ after divide various life that persons in modernistic ideology are seen into several subject types with chapter II. Zezek taking a serious view "The Symbolic" and "The Real", located subject in two concepts connection point. Therefore, the true subject that Zizek talks is an existence that keep productive balance between two by being stepping feet on foundation of non-individuality that is particular as place to live moment oneself preserves area of individuality to exist. Human has ability that integrate elements of symbolic order inside by individual way. Zizek that to do such activity 'Self' of "Center of Descriptive Gravity" speak. As that symbolic order replaces the forfeit when world directness is lost, empty seat that is subject there fills through process of identifying. Subject is given particular identity, and changes the identity in process of identifying. Characters who are given particular identity in process of identifying are divided by ideological person and cynical person under title that is subject of identity. Also, person who try to change identity by Self was considered as critical subject because it has independent will. As attitude and sense of values which treat the ideological structures like power, fetish, right or wrong hoof-shoeing, type of characters under settlement and division, subjects were divided an ideological subject doing without critical consciousness doing not know virtual image of ideology and a critical subject which stand on foundation of ideology but resist with critical consciousness in inconsistency that ideology has. Here, it is state of critical subject that writer emphasizes. Because this age needs the critical character, who is identical, that resists and lives in inconsistency that ideology has as new subject. Last chapter treated power for the critical subject that writer emphasized in previous chapters to go forward as 'Self' that is the "Center of Descriptive Gravity" under title of "Theory of Driving Critical Subject". In this "Theory of Driving Subject", ginseng was catching seat greatly as a spiritual symbol, and there were existences between two deaths that remain by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ymbolic light filled to Gae-Sung local characteristics. Hence, cleared truth that is motive power that such things do for them to live independently without adapting or seize at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touched sense of work as a new subject groping proces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subject aspects that are original and appears in modernity. Because Park, Wan-Suh's Mi-Mang is a work that do as can know what sincerely necessary subject is in present age by giving shape to diverse characters who live in actuality of settlement and division, I will speak as relevant work that widen her work scope mo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