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현우-
dc.contributor.author유정경-
dc.date.accessioned2020-04-08T16:55:22Z-
dc.date.available2020-04-08T16:55:22Z-
dc.date.issued2007-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1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468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의료사고 문제와 관련하여, 이슈 프레이밍 수단으로서의 감정적 소구가 의료사고 정책에 대한 선호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메시지 소구 유형별(공포, 분노, 정보)로 실험물을 제작한 뒤,의료사고 관련 집단(일반인, 커뮤니티 활동, 의료사고 경험, 커뮤니티 활동+의료사고 경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35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먼저 의료사고에 관한 응답자의 특성과 관여도가 메시지 소구 유형에 따른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에 따른 감정반응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 유형에 따른 의료사고 메시지에 대한 감정반응을 살펴본 결과, 공포의 경우 일반인과 사고경험자 집단에 비해 커뮤니티 구성원들과 커뮤니티 활동을 하고 있는 사고경험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분노의 경우는 일반인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높은 반응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메시지 소구 유형과 집단 유형이 의료사고 관련 정책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메시지 소구 유형의 경우 처벌적 정책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호적 정책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집단 유형에 따른 정책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보호적 정책과 처벌적 정책 모두 커뮤니티 집단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사고경험자 집단, 사고경험자 집단, 일반인 집단 순으로 정책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의료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선호도를 수준별로 조사한 결과, 처벌과 관련된 정책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보호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에서 낮은 수준으로 정책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메시지 소구 유형과 집단 유형이 의료사고 이슈와 관련된 정보행동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메시지 소구 유형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 유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유형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정보행동의 경우, 정보처리와 정보추구 모두에서 커뮤니티 집단과 커뮤니티 활동을 하고 있는 사고경험자 집단이 일반인 집단에 비해 높은 의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행동의도에 있어서는 커뮤니티 활동을 하고 있는 사고경험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인 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e effects of emotional appeals have been the focus of burgeoning interest in recent years. Rather than considering how emotions function within traditional paradigms of attitude change,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emotional appeals serve as a means of medical accident issue framing, privileging certain informa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thus guiding subsequent decision making. This study used a 3(Emotion : fear, anger, control) × 4(Group : whether community activity and medical accident experienced or not) design. 935 samples completed a web based survey and Two-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the policy preference for medical accident issue, communication behavior and action tendency. This study's results offer evidence that fear and anger can differentially affect policy preference, communication behavior and action tendency for medical accident issue, though these effects are contingent on involvement. Although the fear group appeared to support both retributive and protective initiatives equally, the anger group clearly supported retributive initiatives over protective ones. The anger group desired retributive policy more so than fear group, which desired protection-related policy.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claim-makers should focus on more active and sophisticated public and community, especially activist groups. This kind of knowledge in emotional reaction and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behavior displayed by emotional public may help communication practitioners to generate effective strategies in solving all types of conflict and crisis communication situation. These findings support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ppeals serve as a means of issue framing but also the importance if the discrete emotion perspective in persuasive context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emotions' impact on public perceptions of social issues to aid in the design of messages needed to quell fear or direct public anger in ways most productive toward the enactment of effective social polic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의료사고 이슈 프레이밍 수단으로서의 감정적 소구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Appeals as a Means of Medical Accidents Issue Fram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유정경-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o, Jung-Ky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광고홍보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PR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