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준-
dc.contributor.author한숙희-
dc.date.accessioned2020-04-08T16:53:00Z-
dc.date.available2020-04-08T16:53:00Z-
dc.date.issued2007-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6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020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근 도시환경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 외관색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아파트의 외관색채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도시의 시각적 이미지의 안정적 조화와 통일성 관점에서 가로변에 입지하고 있는 브랜드 아파트의 외관색채 현황 및 도시 이미지간의 색차도를 조사·분석하고, 분포도 및 사용빈도 분석을 통해 도시 색채와 브랜드 아파트와의 관계를 평가 및 분석할 수 있는 객관화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 하에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범위와 흐름 등을 설명한 후 색채부분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방향을 명확하게 하였다. 제2장에서는 외관색채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측정대상 선정 및 조사방법, 실제 측색시의 색 조절 방법 등 통계적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측정 결과를 가지고 조사대상지의 외관색채를 지역과 브랜드로 나누어 색의 배색 특성 및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AHP기법을 이용하여 선호도에 따른 색채이미지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범위와 흐름 등을 설명한 후 아파트의 외관 중 색채부분을 연구의 범위로 한정하여 연구방향을 명확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3개 지역인 수원시, 고양시, 부천시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논의의 대상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제2장에서는 외장색채에 관련한 이론적 고찰과 아파트 디자인 및 외관색채 관련 연구동향으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제3장 외장색채계획 전제 제3장에서는 측정 대상 선정요인 및 조사 방법을 살펴보고, 실제 측색시 색의 재분류로 정한 색의 조절 방법 등 통계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제4장 외관색채 특성분석 제4장에서는 측정결과를 가지고 조사대상 아파트의 외관색채를 지역과 브랜드로 나누어 주조·보조·강조색의 배색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외관색채의 지역별, 브랜드별 색의 분포를 a*b*에 따른 분포도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용빈도를 분석하였다. 제5장 아파트 외관색채 이미지와 영향요인 제5장에서는 아파트 외관에 대한 색채특성과 관련한 색채이미지와 영향요인의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 아파트의 브랜드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측색으로 얻어진 최다빈도 색채를 색채 평가모형으로 사용하였다. AHP기법을 이용하여 선호도에 따른 색채이미지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제6장 결론 제6장에서는 본 논문을 통해 연구대상지 3개 지역은 외장색채에 대한 뚜렷한 기준이 설정되어있지 않고, 시공사의 브랜드 색채 또는 시행처의 주관적인 선호색에 따라 채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파트의 외관에 대한 색채특성과 관련한 색채이미지와 영향요인의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AHP기법을 이용하여 선호도에 따른 색채이미지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추출된 요인들 중 피험자들은 아파트 외관 입면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할 때 6개의 요인 중 조화로움을 가장 중시하고, 다음으로 규칙성과 다양함을 중요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artment market has functioned soundly in the aspect of supply due to its quantitative growth. On the other hand diverse problems have been posed during the urbanization process because of profit-first attitude of business. Of these problems, that of exterior color scheme is worth of note because it constitutes a big portion of city environment. Although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put efforts into developing diverse floor plans, layouts and building exterior color plans in order to build apartment communities which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and harmonize with cityscape, reality falls short of expectation. The situation calls for diverse researches on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visual images of city and especially those related to apartment building exterior colors which have big impact on the urban image. As a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exterior colors of name-brand apartment buildings, this paper will survey current name-brand apartment building color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apartment building exterior colors and finally serve for occasions like planning and maintaining apartment exterior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경기지역의 아파트 외관색채에 관한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the Exterior Color of Apartments in GyeongGi-Do-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한숙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n, Suk-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환경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설관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