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5 0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의 외면에서 나타난 몸체와 정신에 관한 연구

Title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의 외면에서 나타난 몸체와 정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porality and Spirit of Surface in the Works of Mies van der Rohe
Author
이병욱
Alternative Author(s)
Lee, Byung-Wook
Advisor(s)
박용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 이후 미스로 표기)는 근대를 대표하는 건축가이다. 그의 건축은 기계적 합리주의의 사고 속에서 즉물성의 표현이자 이성의 결과물로 인식되어왔다. 미스의 건축을 논할 때 등장하는 단어는 기술이다. 기술로 고정된 시각은 더욱 확장되고 정당화되어 왔으며, 예술의 영역까지도 기술의 영역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미스의 예술적 의지는 망각되거나 침묵되어 왔고 기술의 부차적인 영역으로 이해되어 왔다. 근대건축의 핵심주제로 등장한 공간개념은 과학적 발전과 이성적 합리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공간을 기계적이고 수학적인 대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고대 이래 존재하여 왔던 정신적인 영역의 소멸을 야기한다. 근대건축의 시공간, 투명성의 공간적 개념은 형태에 의한 건축사의 구분을 공간적 관점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서 형태를 공간의 부속물로 전락시키고, 몸체를 건축의 논의에서 제거한다. 그러나 서양의 철학사의 대표적인 원칙은 이원론적인 사고이다. 정신과 실체, 영혼과 육체, 삶과 죽음, 그리고 감각과 비감각 등으로 표기 되어지는 대립개념은 인간의 사고와 경험을 결정하며, 하나는 다른 하나의 존재기반이며, 둘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근대 이후의 윤곽이 상실된 그림자 없는 근대건축은 건축의 정체성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켰다. 작금에 논의되고 있는 몸에 대한 담론 또한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이해된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의 목표는 미스의 건축에서 간과되어온 물질적 실재의 의미에서의 몸체와 예술적 의미에서의 정신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건축 외면의 의미를 가시적 대상으로서 물질적 실체와 시대적 관심사와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는 상징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공간의 표현에 있어 외면의 역할을 공간적 한계를 결정하는 매체로 인식함으로써 건축을 몸체조형을 통한 공간조형으로 인식하고 공간을 드러내기 위한 몸체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미스의 건축적 사고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미스가 사용하고 있는 건축이라는 단어 Baukunst는 건축이 기술적 문제와 창조적인 힘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그의 생각을 드러내준다. Baukunst는 현상적 의미의 Bau와 정신적 의미의 Kunst의 개념이 서로 용해되어 새로운 하나의 개념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실재성을 통한 부재성의 인식에서 오는 무한한 정신적 감동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조사를 통해 도구적 입장에서 해석되어 왔던 기계론적인 사고와 시공간, 투명성의 추상적 개념으로 대표된 근대건축의 흐름 속에서 미스의 건축에서 나타난 몸체와 정신적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미스는 외면의 가시적 실재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미스는 근대건축의 재료인 유리를 자신의 건축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건축의 몸체성을 가장 중요한 기본적 가치로 여기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의 모든 인식은 사물의 가시성과 가촉성이라는 한계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미스 건축에서 외면의 가시적 실체는 유리라는 투명한 재료적 속성과 철골구조라는 기술적 가능성의 비물질적 외면 속에서 유리면의 빛 반사와 I형강의 부조효과 그리고 재료성에 의한 면의 시각적 강조와 틀이라는 방법을 통해 그 존재감을 드러냄을 알 수 있다. 미스가 건축의 중량감을 위해 유리라는 투명한 재료의 속성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유리면의 빛 반사를 통한 가시적 인식을 중요시 하였다는 점과, I형강의 부조 효과에 의한 유리면의 가시적 인식은 건축의 시각적 인식과 건축의 표현적인 문제에 미스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근대건축이 표현하고자 하였던 무한공간의 구현에 있어서 미스는 면의 시각적 강조와 틀의 형태적 명확성을 통해 건물의 형태를 명확히 함으로써 외면의 가시적 실재성을 드러내고 있다. 벽면의 파편화에 의한 공간적 확장에서 벽은 기둥이라는 구조체와 분리되어 하나의 시각적 대상으로 인식되고 경험되어지며, 물질적 재료성을 통해 더욱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틀에 의한 공간적 확장에 있어 수직적 건축요소인 기둥과 수평적 건축 요소인 지붕과 바닥면은 견고한 결속을 통해 하나의 통일된 전체로 인식됨으로써 건축적 몸체를 명확히 하는 최소한의 시각적 대상이자 최대한의 공간적 효과를 만들어 내는 매체로 인식된다. 2. 미스 작품에서 드러난 고전적 틀 형태는 기술의 미적가공을 통해 얻어진 추상적으로 정제된 형태로 정신적인 숭고함의 인상을 전해준다. 숭고함이 시각적인 형태적 명확성과 큰 것을 상상할 수 있는 정신적 능력에 기반한다는 사실에서 미스 건축의 외면에서 드러난 고전주의적 형태의 틀은 형태적 명확성을 보여주는 시각적 매체이며, 전체 공간을 상상케 하는 정신적 개념틀로 이해된다. 기단, 기둥 그리고 지붕으로 이어지는 완결된 건축적 형태는 명료한 선과 가시적인 윤곽을 회복시키고, 정적인 느낌의 대칭성을 강조함으로써 완전무결한 고전적인 형태의 정적인 미를 보여준다. 미스 작품에서 고전형태는 무시간성의 영원성을 상징함으로써 근대건축에서 상실되었던 건축적 향기, 아우라의 회복을 의미하고 기념비성이라는 감동의 결과로써의 정신적 가치와 건축이 존재하는 객관성을 드러낸다. 미스 건축에서 공간적 전체성과 고전주의 형태는 정신적 거대함의 상상능력과 위엄 있고 명료한 구성을 보여줌으로써 서양 역사에 있어 정신적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그리스 정신의 숭고함을 표현한다. 고전적인 틀의 심미적 형태는 정신적 상상의 크기를 무한으로 확대시켜, 전체 거대함을 인식케 함으로써 결국 그리스적인 숭고함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미스의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고전적인 요소와 틀의 형태는 건축의 정신적 가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고, 이러한 정신적인 가치는 건축의 가지고 있는 영원성, 항상성의 문제와 연계되어 건축의 원천으로서의 그리스적 사상, 숭고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바로 미스가 건축을 정신과 예술의 봉사로 말하는 이유이다. 미스 건축에 있어 공간과 몸체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더 이상 기능적인 현실과 관계없이 역사적이 되어버린 형태를 포기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미스의 고전적인 형태로의 귀환은 이상적인 정적 완벽성을 상상하게 함으로써 숭고한 정신적 의미를 전달한다. 숭고의 체험이 감성적 현실의 부정적 체험을 통한 초월적 긍정이라는 의미에서 미스 건축에서 틀 형태의 고전적 형태로의 귀환은 물리적인 몸체의 축소를 통해 상대적으로 얻어지는 공간적 전체성의 경험이며 숭고함의 경험이다. ‘숭고의 체험이 상상력과 이성의 일치’라는 점에서 틀로의 축소를 통해 드러나는 공간감은 이성적인 형태를 통한 감성의 풍요로움으로 미스가 주장하는 Baukunst 개념의 실현이다. 이런 점에서 ‘의미 있고 특징적인 형태는...역설적이게도 아무런 형태를 추구하지 않았기에 형성된다’는 미스의 주장처럼, 그의 언명 ‘Less is More’의 의미는 실재의 소박함이 가져온 정신의 풍요로움이다.; A Study on the Corporlity and Spirit of Surface in the Works of Mies van der RoheLEE, Byung wook Dept. of Architectural Eng.The Graduate School of Han Yang UniversitySupervised by Prof. Park, Yong Hwan, Ph.D.Mies van der Rohe is representative of moern architecture. His works are recognized to be the result of reason and objectivity as established throughthe notion of mechanical rationalism. Technology is the terminology that isrevealed when Mies's works are mentioned. The viewpoints limiting thenotion of technology have been extended and justified, and this has convertedeven the field of art to that of technology. Through this process, Mies'sdedication to art became forgotten and silent, and became understood as thesecondary field of technologyThe spatial concept that is revealed as the key notion of modernarchitecture is based upon scientific development and reasoning rationalityThis has resulted in the conversion of space itself to become the object ofnathematics,and thus has brought on the termination of thespiritual realm which had existed since ancient times.The time-space andtranstparency in modern architecture have changed the classification of thehistory of architecture form that of form to a spatial viewpoint. Thus, formnow belongs to space and is deprived of corporality in the topic ofarchitecture. Hovever, the main principle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isdualistic thought. This dualism, which is represented by spirit and reality,soul and flesh, life and death, and sensibility and non-sensibility resolveshuman thoughts and experiences that is,one is the basis of the oter, andboty have inseparable relationships. Modern architecture which emphasized theremoval of exterior outlines and surface has brought on doubt in relation tothe identity of architecture. Current discourse on the body can be understood as the extension of this circumstance. This purpose of paper is to idendtify the body as the physical substance and the spirit as art which are ignored in an analysis of Mies's works. To do this, the paper describes the meaning of the buliding exterior, as a physical substance, to be a visible object, a symbol which represents the epochal matter of concern and human will. In addition, by recognizing the role of the exterior of a building ans the medium which influences spatial limits, this paper argues that we should understand architecture as a space making through a corporal making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rporality in architecture. This papaer identifies the spiritual value whice is inherent in Mies's architectural thinking. The word, 'Baukunst' that Mies uses in reference to architectural reveals this thought that architecture is achieved through technical problems and creative power. Baukunst is a combination of Bauactual state and Kunstspiritual state, and both meanings are fused into the new notion. Thus Baukunst is understood to be a limitless spiritual sensation which comes from the recognition of absence through substance. In light of the machine-theory thinking, time-space, and the abstract notion of transparency in modern architecture as interpreted in the preliminary study from a perspective of instrument, the corporality and spiritual meaning in the works of Mies can be expressed and summarized as follows: 1. Mies arguab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visible reality of external appearance. Although Mies expansively and actively incorporated glass, a representative material of modern architecture, into his works, the prime value governing his works was their corporalit. Cosidering that all human cognizant activities take place within the boundaries set by the visibilitiy and tactility of things, the visible reality of the external appearances of Mies's architecture,primarily composed of the transposed of the transparency of glass and technical possibility of the reinforced frames, reveals its existence by means of the light reflected off the glass surface, the sculprural effects of the I-section steel, and the visual emphasis and frame provided by the surfaces of the materials used. That Mies emphasized visual recognition enabled by the light reflected off the glass surfaces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transpare nature of glass in an effort to add weight to his architectural works, and emboldened the visible recognition of the glass surfaces by adding the sculptural effects of the I-section steel supports that he was interstedin the matters of visibl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architecture. In terms of realizing an infinite space in particular, which has been an aspiration of modern architecture, Mies reveals the visible reality of the external surfaces by clearly delineating the architectural shapes through emphasizing the surfaces and clearly defining the frames. In the expansion of sapce through the fragmentation of the walls, the walls are recognixed and experienced as visual objects, separate form the pillars as strutures, and then are further emphasized by the virtue of their materials. In the expansion of space using the frame, the pillars that are vertical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e roof and the floor that are horizontal elements are recognized as a unified whole, thanks to the solid connection between them. As a whole, these elements constitute minimal visual objects that define the architecutral corproality and the media generating the maximum spatial effects at once. 2. The classic frame structures of Mies's works are refined, abstract products form aesthetically processing technolgy. They convey a certain spiritual sublime. Considering that spiritual sublime is based on the visual clearness of the shapes and the mental ability to imagine something larger than what is presented, the classic frame strutures as seen in Mies's wroks can be understood as the visual media embodying the clearness of the shapes as well as the mental framesorks that allow the viewer to imagine a whole larger space. The architectural shapes completed by the flow from the base through the pillars to the roof rsetore cleat lines and visible outlines to the overall works and emphasize a meditative symmetry that represents the perfection-pursuing asetectics of classicism. The classic shapes of Mies's works, which symblize the permanence in the loss of time, represent the return to the architectural scent or aura that had been lost in modern architecture. Their monumentality attests to the objentivity of speiritual values of architecture. The spatial wholeness and classic shapes of Mies's architectural works represent the Hellecnic spirit, a mental cradel of Western civilization, by showing the statley and clearly-defined structures and the capacity of the mind to imagine sonething magnificent. The aesthetic purpose of the classic frames is to lead the viewer to stretch his mental imagination almost infinitely so that he can recognize the overall magnificence, which ultimately evokes a Hellenic, sublime in his mind. The classic elements and frames in Mies's works raise the question of the spiritual values of architecture. It is these spiritual values that reveal the Hellenic roots and sublime as a source of architecture in conjunction with the permanence and homeostasis of architectural works. This is precisely why Mies views architecture as a spiritual and asethetic service to the community. The space and corporality are inseparable in Mies's architecture. Their inseparability shows Mies's inability to abandon the architectural shapes that have lost relations to the functional raality and now belong to history. Mies's return to the classic shapes conveys sublime, spiritual meaning by allowing the viewer to imagine an ideal spiritual perfection. Considering that sublime experience entails a transcendedntal affirmation through the negation of the emotinal reality, Mies's return to the classic shapes in architecture is ultimately to allow the viewer to experience the wholeness and sublimity of space relative to the diminution fo the physical corporality. Recalling that "subline experience occurs when imagination and reason come together." the spatialit revealed by diminishing the corporality of architecture to its frames is the manifestation of the Baukunst notion advocated by Mies as a means of enriching human emotions through rational forms.As Mies once argued, "a meaningful and charcteristic form is paradoxically formed when the artist does anot pursue any specific form. " In this sense, the wisdom of 'less is more' is testified by Mies's architectural works that embody the richness of the mind enhanced by diminution of the rea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