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4 0

간호사의 개인특성, 체면중시행위,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Title
간호사의 개인특성, 체면중시행위,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Among the Nurse's Characteristics, Social Face, Head Nurse's Trust on Nurse and Job Satisfaction
Author
박하림
Alternative Author(s)
Park, Ha-Rim
Advisor(s)
홍귀령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성격특성, 체면중시행위, 수간호사의 간호사에 대한 신뢰와 간호사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사 직무만족의 예측인자를 알아봄으로써 효율적인 간호단위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2개 대학병원, 2개 종합병원 총 4개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간호사 45명과 간호사 111명을 대상으로 2007년 4월 3일부터 4월 27일까지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McCrae & Costa(1992)가 개발하고 이경임(1995)이 번역한 성격특성을 알아보는 NEO-FFI(NEO-Five Factor Inventory), 최상진과 유승엽(1992)이 개발한 체면중시행위 측정도구, McAllister(1995)가 개발하고 임효창(2004)등이 번역한 8문항과 본 연구자가 번역한 3문항의 신뢰측정도구, Slavitt et al(1978)이 개발하고 이호경(2005)이 번역한 직무만족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성격특성, 체면중시행위, 직무만족은 간호사를 응답대상으로 하고, 신뢰측정도구는 수간호사가 응답함으로써 각각의 간호사에 대해 얼마나 신뢰하고 있는지 측정하게 하여 간호사와 수간호사를 쌍(pair)으로 묶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관계, 일원산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의 성격특성은 신경증 56.88(SD=7.83), 외향성 50.97(SD=9.93), 개방성 48.07(SD=8.2), 호감성41.21(SD=6.18), 성실성38.24(SD=8.44)의 순으로 나타났고 체면중시행위는 5점 만점에 3.01(SD=.38),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는 7점 만점에 5.2(SD=.78), 직무만족은 7점 만점에 3.65(SD=.59)로 나타났다.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시 나이는 교육정도(r=.33, p<.01), 관계기간(r=.39, p<.01),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r=.20, p<.05), 직무만족(r=.29, p<.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정도는 관계기간(r=.24, p<.05), 성실성(r=.21, p<.05),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r=.21, p<.05)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격 5요인은 모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신경증(r=-.36, p<.01)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향성(r=20, p<.05), 개방성(r=.36, p<.01), 호감성(r=31, p<.01), 성실성(r=.44, p<.01)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외향성만이 체면중시행위(r=.26, p<.05)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격 5요인은 개방성과 호감성(r=-.02)과의 관계만 제외하고 서로 상관관계(r=.22 ~ -.42)를 보였으며 신경증은 다른 네 가지 성격유형과 음의 상관관계, 나머지 성격유형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간호사의 나이가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r=.24, p<.05)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간호사의 교육정도가 간호사 직무만족(r=-.31, p<.01)과 음의 상관관계,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r=.34, p<.01)와 수간호사의 나이(r=.43, p<.01)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사와 수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간호사 체면중시행위 수간호사의 간호사 신뢰에 따른 간호사 직무만족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일원산 분산분석 결과 수간호사의 교육정도(F=6.31, p<.01)만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다. 직무만족의 예측인자를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간호사의 나이(ß= .33, p<.01), 성실성(ß= .21, p<.05), 호감성(ß= .19, p<.05)이 예측인자로 확인되었고 본 회귀식의 설명력은 36%로 나타났다(F=6.85 p<.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성격특성 중 긴장감, 불안, 우울 등을 특성으로 하는 신경증이 가장 높았고, 성격특성이 모두 직무만족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이, 호감성, 성실성이 직무만족 예측인자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간호사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개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특히 신경증의 특성이 많았던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심리적 문제점 관리를 위한 대책방안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간호사의 직무만족이 낮다는 결과를 토대로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간호사의 이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간호사가 조직에 오래 남아있게 한다면 조직효과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mographics of nurses and head nurses, personality, social face, head nurse's trust, job satisfaction and predictor of nurse's job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with that help to improve the effect nursing unit management. The study was done 111 pairs of head nurse and nurse working in 2 university hospital and 2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e April 3 to April 27,2007. The tool were used the NEO-FFI developed by McCrae & Costa(1992) containing 60 items, social face scale developed by Sang-jin Choi & Seung-yup Ryou(1992) containing 15 items, trust scale developed by McAllister(1995) containing 11 items, job satisfaction containing 48 items developed by Slavitt et al(1978). Personality, social face, job satisfaction questionaires were answered by nurses, and trust scale was answered by head nurses, and then used to the analysis the pairs of head nurse and nurse. Statiscal analysis was done using percentil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ersonality of nurses were Neuroticism(56.88), Extraversion(50.97), Openness(48.07), Agreeableness(41.21), Conscientiousness(38.24), the average social face was 3.01(SD=.38) points out of a total possible score of 5 points, the average trust of head nurse on nurse was 5.2(SD=.78) points out of a total possible score of 7 points,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was 3.65(SD=.59) points out of a total possible score of 7 points. 2. Age of nurses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education, relation, head nurse's trust on nurse, job satisfaction. Nurses' education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 conscientiousness, trust. Five factor model was correlation with nurses' job satisfaction. That is neuroticism was negative correlation and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Only extraversion was correlation with social face. 3. All of Five factor model were correlation each other, except of relation openness and agreeableness. Neuroticism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four personality of Five factor model,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Head nurses' ag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d nurse's trust on the nurse. Head nurse's education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d nurse's trust and age. 4. In the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s of nurses and head nurses, social face, head nurse's tru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in head nurse's education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5.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to predictor of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age,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Adjusted R square was .36 (F=6.85, p<.01). These results showed that neuroticism was highest grade and all of five factors wer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nurse's age,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were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se results need to be individual management on correspond to characteristics of members and nurse's psychological problem. And the result that nurse's job satisfaction was low, needs management to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lso effectively nurse's turn over management is increas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9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