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7 0

비영리법인 과세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비영리법인 과세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ax System Improvement of Non-profit Organizations
Author
안진주
Alternative Author(s)
Ahn, Jin-Jo
Advisor(s)
고종권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국가의 사회적 책임이 매우 강조되고 공익적 부문의 역할이 확대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지출만으로는 모든 공익적부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많은 부분을 민간의 참여에 의한 이행에 기대하고 있는 실정에서 공익적 사업을 수행하는 비영리공익법인의 역할 또한 중요한 사회의 한 분야에 속하고 있으며, 정부는 이러한 비영리법인에 대하여 세제상 우대를 하여 비영리법인이 공익적 목적의 고유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도와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영리법인의 지위와 역할이 커지는 만큼 그 운영에 있어서도 매우 도덕적이고 투명한 관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많은 세제상 혜택을 누리면서도 불특정다수에 대한 분배가 아니라 사적사유의 확대에 기여하거나 특정기업의 이익을 증가시키는 불공평한 행위를 하게 되면 비영리법인에 대한 지원이 특정계층이나 기업에 대한 지원이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오히려 사회적 기회비용이 그만큼 더 발생하는 효과를 가져 오게 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영리법인에 대한 현행 세법상의 제반 규정들을 살펴보고 비영리법인의 활동이 활성화되도록 비영리법인에 대한 각 세법 간 규정의 범위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등에 대한 합리적 개선 방안 및 세제상 규제의 완화나 지원의 확대가 필요한 부분과 비영리법인의 회계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세무관리 강화 방안 등에 대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세법상 지정기부금 대상 단체와 상속세및증여세법상 공익법인의 범위를 공익비영리법인으로 통일하여 세제지원에 일관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의 손금산입 대상이 되는 “법인으로 보는 단체”의 범위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현행 네 종류의 기부금제도를 두 가지로 단순화하고 기부금 대상 단체를 확대하여야 하며 법인과 개인사업자간이 차별을 없애야 할 것이다. 넷째, 공익법인이 특수 관계 법인의 주식 보유 한도를 5%로 제한한 것은 그 규정을 폐지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이 비영리법인의 설립 시뿐만 아니라 설립 후에도 사업 활동의 내용에 대한 공익성을 판단하는 객관적인 기준의 도입과 공익성 검증 과정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공익법인에 대한 외부전문가의 세무확인 검사 대상의 범위를 넓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무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비영리법인에 대한 조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이들 개선방안이 구체적으로 기부와 세수에 공헌하는 점과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하여는 실증적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In our contemporary society, nation's social responsibility is highly emphasized, while the roles of the public sector is expanding. However, the expenditures from the government can seldom cover all roles of the public sector, and therefore, the private sector is expected to participate more in the public services. In such a circumstance, non-profit organizations play some of the roles of the public sector by being engaged in some public businesses. Thus, the government grants tax incentives to such non-profit organizations to help them engaged in their own public businesses more efficiently. However, given the status and roles of such non-profit organizations, it is required of them to manage their public businesses in a very ethical and transparent way. If these non-profit organizations enjoying various tax incentives should conduce to expansion of the private ownership or increase of certain companies' benefits rather than serve the general public, the tax incentives and other subsidies would result in supporting of certain class or companies, increasing the social opportunity co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tax codes for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reby, suggest some reform measures to correct the discrepancies among tax codes to more regulate or deregulate them, while arranging the measures to reinforce their tax accounting management for their transparent op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beneficiary organizations for donations under Corporate Tax Code and those under Inheritance and Donation Tax Codes for consistent tax incentives for non-profit organizations. Second, it is essential to expand the scope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s regarded as corporations" eligible for deduction of the original business reserve fund from taxation. Third, the current 4 types of donations should be streamlined into two types, while the scope of non-profit organizations eligible for donations should be expanded, and proprietor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gainst corporations. Fourth, the current provision that the ceiling (5%) of the profit companies' shares own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should be abolished. Fifth, it is desirable to apply some objective criteria for judgement of the public services not only at the time of incorporation but also ex post facto, while arranging some mechanism to ensure transparency of the public services. Six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tax accounting audit by an outside expert. This study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to address the problems of our tax codes for non-profit organizations in Korea and suggested their solutions, but it could not empirically test the effects of the solutions on donations and tax revenu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2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8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S](행정대학원) > DEPARTMENT OF TAX MANAGEMENT(세무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