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5 0

사회복지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복지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Depending on Psychological Typer : Based on MBTI Preference Index
Author
김용식
Alternative Author(s)
Kim. Yong-Shik
Advisor(s)
황영옥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의 사회복지 분야는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사회변화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조직과 직무의 효율성 및 효과성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직과 직무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높이고 질 높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복지사의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직무태도가 요청된다. 많은 연구에서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직무태도는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조직에 대한 몰입정도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직무만족감과 조직몰입정도는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헌신적이고 열정적인 직무태도를 향상시키고,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운영과 질 높은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간의 성격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에 따른 선호지표별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정도를 알아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직무를 강점관점에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격의 선호성향 유형 중에 주기능은 활용 발전시키고 열등기능은 개발하고 보완한다면 인간관계형성과 사회복지조직의 목표 달성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복지조직의 운영측면에서 구성원의 성격성향에 대한 이해는 인력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활용되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 7개구에 위치한 35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사회복지사 185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의 MBTI 성격유형을 분석한 결과 16가지 성격유형 중에 ISTJ 성격유형과 ESTJ 성격유형이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 전문직 선택 동기는 본인의 성격과 맞는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내재적요인과 가치적 요인은 높은 반면 외재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감정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높은 반면 계속적 몰입은 상대적으로 낮은 몰입수준을 보였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기혼이 미혼보다, 관리직이 실무직보다, 경력이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수입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사의 종합사회복지관 근무희망 부서에 대하여는 MBTI 성격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직무만족에 대한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성향을 보면 내향성(Introversion)이 외향성(Extraversion)보다, 사고형(Thinking)이 감정형(Feeling)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감각형(Sensing)과 직관형(Intuition), 판단형(Judging)과 인식형(Perceiving)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덟째, 조직몰입에 대한 MBTI 선호지표에 따른 성향을 보면 외향성(E)보다 내향성(I)이 높은 선호성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감각형(S)과 직관형(N), 사고형(T)과 감정형(F), 판단형(J)과 인식형(P)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홉째, MBTI 4가지 기능별 유형, 즉, 감각적 사고형(ST), 감각적 감정형(SF), 직관적 감정형(NF), 직관적 사고형(NT)의 성향에 따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열 번째, MBTI 4가지 기질별 유형, 즉, 감각적 판단형(SJ), 감각적 인식형(SP), 직관적 감정형(NF), 직관적 사고형(NT)별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차이는 유의수준 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종합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에게 적용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는 대부분 사회복지관을 통해서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에 자신의 성격유형을 잘 파악하여 주기능을 활용하고 열등기능을 개발하고 성숙시킨다면 직무의 효율성은 극대화 될 것으로 본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클라이언트의 성격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면 직무에서 보다 효과적인 사정(Assessment; 정보수집, 개입목표설정)을 할 수 있으므로 성격유형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성격과 관련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사회복지사 개인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인사배치와 직무배당을 한다면 자신의 선호성향을 강점으로 활용하여 보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하게 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종합사회복지관의 소속감은 높은 수준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현재 근무하는 기관이 개인의 이득 면에서는 타 기관과의 차별성이 높은 수준이 아니라고 할 수 있기에, 현재 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기관은 개인의 이득과 관련해서 사회복지사를 몰입시킬 수 있는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사들의 차별화된 이득을 보장한다면 조직몰입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social worker'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quality of service are heavily caused by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is based on MBTI psychological typer, which human's characters are classified by type. It is used for social workers to have what sort of preferences i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sides, it makes us know that they perform their job in resilience, and the dominant function remains useful, but the inferior function needs to be developed into the better so that they enlarge the achievement of aim for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urthermore, we studied that it would be applie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study was answered by social workers working over a year who work 35 complex social welfare center located seven parts of Kang-Nam in Seoul. 255 pieces of paper were distributed and 210 of them were retrieved. For the final analysis, 185 of them were selected except useless 25.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were reviewed by SPSS 13.0 wit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Duncan's Post Hoc Test), Regression, Crosstabula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Duncan's Post Hoc Test). The following is the condensed result of the study. First, at the result of analyzing MBTI psychological typer for the social workers, it appeared ISTJ and ESTJ are the most of sixteen types of them. Second, there were many replies that social workers' motivation to choose there is likely to be their character. Third, their job satisfaction was shown that the internal factor and value factor were high while external factor was relatively low. Fourth, i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and normative commitment were high while continuous commitment was relatively low. Fifth, it appears that social workers' population sociology shows us male is apt to their job more than female, the married than single, management than business as well as having high carrier, old age, academic status, and monthly revenue. Sixth, there was no MBTI difference about social workers' preference of working department in social welfare center. Seventh, when seeing the tendency depending on preference of MBTI about job satisfaction, Introversion is preferred to Extraversion, Thinking to Feeling while Sensing Intuition, Judging, and Perceiving have no difference. Eighth, when observing the tendency depending on preference of MBTI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roversion is preferred to Extraversion while Sensing, Intuition, Thinking, Feeling, Judging, and Perceiving have no difference. Nineth, MBTI functional types, ST, SF, NF and NT don't show the difference statistically ab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erning MBTI. Tenth, MBTI dispositional type, SJ, SP, NF and NT don't show the difference ab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erning MBTI. By the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a suggestion to apply to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First, because social workers perform their profession toward clients, they have to know their psychological typer well, and utilize the dominant function and develop the inferior function to make the best effectiveness. Second, because being able to do more effective jobs in terms of collecting information and creating intervening aim if they grasp the beneficiary's psychological typer, the educational opportunity concerning character which objectively inspects psychological typer should be given. Third, we had a result tha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ing social workers' psychological typer were relatively high. However, if social workers and job were distributed well by grasping the personal character, they would activate their preference as a strong point and do more effective and productive job performance. Fourth, the study says that social workers' sense of belonging about social welfare center is quite good. It seems that the present institution's capacity for concentrating social workers is relatively inefficient in connection to the personal benefit because the institution is no better than others. It is expect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be better if social workers are paid distinctive benefi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2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S](행정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