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1 0

청소년이 인식하는 죽음에 관한 주관성 연구

Title
청소년이 인식하는 죽음에 관한 주관성 연구
Other Titles
A Subjective Study on Adolescent Perception of Death
Author
김미령
Alternative Author(s)
Kim, Mi-Ryung
Advisor(s)
김분한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불안정한 시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자신의 미래 설계에 대해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해 볼 때 고등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나 가치관 형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며 죽음에 대한 주체적 자각 없이 삶의 올바른 자기정립은 어렵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죽음에 대한 생각을 알아내어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여자 상업고등학교 37명이며, 죽음 인식에 대한 Q 모집단은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죽음에 관한 진술문과 김분한(1997)이 선정한 진술문을 통해 추출되었고 최종 30개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대상자들에게 학년, 종교, 가족형태 등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한 뒤 Q 진술문을 읽고 자신의 의견에 따라 Q 진술문을 강제분포 하였고 자료 분석은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Q요인 분석은 주요인 분석방법(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청소년이 인식하는 죽음에 관한 유형은 5개로 분류되었다. 제 1 유형은 ‘고통스러운 죽음 거부형’ 으로 현재만을 생각하고 싶어 하며 죽음을 생각하고 싶어 하지 않고 고통 없이 순식간에 심장마비나 교통사고 등으로 죽기를 원하는 유형으로 죽는 순간만큼은 혼자가 아닌 가족이나 친지가 있기를 희망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 2유형은 ‘소극적 죽음 애착형’ 으로 현재의 삶이 힘들어 자살충동을 느낄 만큼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자살에 대해 결심을 하게 되는 원인을 주변 탓으로 돌리며 실제로는 자살을 시도해 본적은 없고 오히려 나이 들어 자연사하기를 원하는 유형이다. 제 3유형은 ‘편안한 죽음 추구형’ 으로 현재 삶에 충실하면서 죽은 후에는 장기를 기증하고 싶어 하며 소생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안락사를 원하고 사후세계를 인정하지 않았다. 제 4유형은 ‘긍정적 사후세계 인정형’ 으로 운명을 믿으며 열심히 살다가 죽은 후에는 새로운 삶을 기대하는 유형으로 본인이 죽은 뒤 누군가가 슬퍼하고 아파해주는 것을 행복이라 여긴다.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거나 자살 충동을 느끼지 않으며 현실에 만족하고 사는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5유형은 ‘죽음에 대한 정체성 혼란형’ 으로 나이 들어 자연사하기를 원하면서도 지금 상황이 너무 힘들어 자살 충동을 느끼고 그 탓을 주변 환경으로 돌리는 경향을 보인다. 자신이 죽음을 선택하는 것은 인간의 권리가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현실에 대한 도피로 자살을 생각하는 아직 죽음에 대한 자기 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한 유형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청소년들은 나이가 들어 자연스럽게 고통 없이 죽기를 희망하며 사람이 나고 죽는 것을 운명으로 받아들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각 유형에 대한 실천 방안으로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교육, 청소년의 자살 충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중매체의 필터링, 생명윤리나 의사 결정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한 죽음 대비 교육 등이 필요하며 이는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삶의 형태와 생명의 소중함, 품위 있는 죽음과 삶 등에 대해 알게 하고 이를 다루는 교육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suming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death in an adolescent period, the period of the unstable development stage with the experiencing a variety of biological changes and encounters a number of emotional issues can affect their own future vision with both direct and indirectly, forming its attitude and values are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issues and correct self personality can not be established without it's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by applying Q methodology, figuring out and patterning out, and formalizing and analyzing it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e survey was performed in 37 students from Women's high school Q groups for death recognition is extracted through the statement that how the teenagers think about death in subject and the statement assigned by Bunhan Kim(1997) with 30 statements. The candidates filled out the questions in order to have a through grasp of demographic peculiarity such as an academic school year, religion, family and so on, and then they were required to distribute the Q statements based on their own opinion after they read the Q statement. Data analysis were processed using PC Quanl Program and 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the Q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urvey of this research, The pattern of their opinion about death were classified in 5 groups. The first one shows "Painful denial to death", which means that they focus on present without thinking about death and want to occur painless sudden death with heart attack or in a car accident hoping their family members are there at that moment. The second type of the groups is called "the attachment to passive death" showing a tendency to think about death frequently enough to feel the impulse to commit suicide transferring the cause to their surroundings. As contrasted with what they think, they never try to do kill themselves as well as they even want to have a natural death. The people from the third group known as the Type 3, "Peaceful Death preference Type" stick to the life for the present time, want to donate their organs on their death, prefer euthanasia, and don't admit otherworld after their life. The fourth type group tries to have a best life while they are believing and expecting eternal life. They also considered as "happiness" by someone's expressing regret over and commiserate on the death. They actually hardly try to commit suicide and even don't feel like it by satisfying their life. The fifth type people are confused about their death between dying of natural causes and stabbing to death because of their current situation. The latter believes it caused based on their environment. Even though they believe that choosing their death is out of their right and not by their choice, their having death wish means that their identification about death has not established ye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teenagers from all groups commonly want to have peaceful, painless, natural death and death is considered to stand up to their rack. Some programs are suggested as practical solution for each group such as the education for conversion from negative to positive mind for their death, filtering out mentally unhealthy things from mess media, developing the program for bio-ethics and teaching how to express their option properly, death ready education for meaningful life. Those programs inform them the correct opinion for death and life and thorough the education, those are expected to help them form proper ident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6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6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CLINICAL HOSPICE CARE(임상호스피스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