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7 0

가판신문 폐지 이후 신문사 및 수용자 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가판신문 폐지 이후 신문사 및 수용자 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Author
이종탁
Advisor(s)
박영상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신문의 독특한 관행인 가판 발행이 6개 종합일간지에서 폐지된 이후 변화상을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가판폐지가 갖는 의미를 짚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가판 폐지 2년이 지나면서 가판 발행때 제기된 문제들이 얼마나 해소되었는지, 어떤 관행이 사라지고 어떤 습성이 남아있으며 어떤 관행이 새로이 생겨났는지 현장 조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1) 가판 폐지가 신문제작 시스템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주었는가, 2) 가판 폐지가 지면의 다양성, 기사 완성도 등 신문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3) 가판 폐지후 관공서 및 기업체에서는 뉴스 대응을 어떻게 하는가, 4) 가판 폐지에 대해 가판 수용자들은 어떻게 평가하는 가, 를 축으로 당사자들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대상은 기자 집단의 경우 가판을 폐지한 6개 신문사, 관공서 집단은 뉴스를 상시적으로 점검하는 11개 중앙부처, 기업체 집단은 국내 100대 기업내 10개 기업으로 선정했으며 집단별로 30~38명 총 102명이 설문에 응답했다. 이와 별도로 집단별 2명씩 모두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가판 폐지 전후의 행태변화와 관련된 구체적 사례를 수집했다.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판 폐지로 인해 기자들의 업무부담은 다소 늘어났다. 그러나 제주도 발송용 또는 신문사 내부 검토용으로 초판신문을 발행하는 것은 종전과 다름없어 제작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는 없다. 둘째, 가판 폐지에도 불구하고 신문의 오보발생 빈도에 큰 변화는 없었다. 당초 가판이 폐지되면 사전검열의 공간이 사라져 오보가 속출할 것이란 우려가 있었고, 일부 그같은 사례가 실제 나타나기도 했지만, 뚜렷한 흐름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셋째, 가판 폐지이후 지면의 다양성, 기사 완성도는 높아졌다. 신문제작종사자들이 가판을 돌려보면서 서로 닮은 지면을 생산해낸다는 그동안의 비판이 정당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가판 폐지이후 기사의 완성도가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기우로 드러나 가판폐지가 신문의 질적 개선을 불러오는 계기가 됐음을 보여줬다. 넷째, 관공서와 기업체 홍보실무자들은 가판 폐지 이후에도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신문사 내부에만 배포되는 초판신문에 자기 관련기사가 실렸는지 상시 점검하며 필요한 경우 전화를 걸어 수정을 요구하는 등 대응한다. 가판이 폐지됐으면 독자의 손에 신문이 배달될 때까지 어떤 기사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게 원칙이다. 그런 점에서 이같은 관공서 및 기업체의 행태는 신문사 의도와는 별개로 가판 폐지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것이다. 다섯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판 폐지에 대해 수용자들의 평가는 긍정적이었다. 공무원과 기자 집단이 기업체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등 집단별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가판폐지가 신문의 질적 개선을 가져왔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brought by the discontinuation of early, or late night editions of six major morning papers in South Korea and what impact and meaning this has on the development of journalism in the country. The study will show how the discontinuance of late night editions have helped remove some of the problems that were caused by the publication of late night editions while helping to understand which problems still remain and which ones have been added. The key issues of study are as follows 1. What kind of changes has the discontinuation of late night editions brought to the production of newspapers? 2. Has the discontinuation of the late night editions helped improve the quality of newspapers? 3. Whether and how the way government offices and business firms react to news reports have changed since the discontinuation of late night editions? 4. How the previous consumers of late night editions view the ceased publication of late night edition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focuses on the changes the ceased publication has brought to those mostly affected by the changed system, such as journalists and public relations officials at government offices and business firms. Those surveyed include 38 journalists from six major dailies that have stopped publishing late night editions, and 34 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s officials at 11 government ministries and offices. Respondents also include 30 officials from 10 major business firms. The study also includes in-depth interviews with two from each group, which provide specific case studies on the changed practice of news outlets since the abolition of early edi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based on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stoppage of late night editions, the workload of journalists has increased. Despite the official abolition of early editions, the newspapers continue to enforce their previous deadlines for early editions as there is still a need to meet the timeline for copies to be delivered to Jeju Island and other southern parts of the country. Secondly, the discontinued publication of late night editions did not lead to any major change in the frequency of incorrect reports. The majority of journalists and those surveyed seem to think the changed system has rather led to a reduced number of incorrect reports. Thirdly, the quality of newspapers has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news items have also become more diversified. This proves the criticism that early editions allow those involved in making newspapers to review and copy those of others, thus leading to nearly identical spaces and news articles among different papers. Fourth, despite the abolished publication of early editions, public relations officials at government offices and private firms continue to get their hands through various means on early editions of major newspapers, mostly rough drafts printed only for inside use, and demand corrections in advance when certain news articles concern their offices. Fifth, despite the continued and new problems at hand, the general reaction of the surveyed is positive. There are certain discrepanci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surveyed, but the overall response was that the discontinuance of early editions has led to the improved quality of newspap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4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994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