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4 0

커뮤니티시설과 복합된 공공청사의 이용자 행태와 커뮤니티의식에 관한 연구

Title
커뮤니티시설과 복합된 공공청사의 이용자 행태와 커뮤니티의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and User Activity Of Complexed Public Goverment Building and Community facilities
Author
이세림
Alternative Author(s)
Lee, Se-Lim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청은 행정도시가 건설될 지역에 시범사업의 하나로 동사무소, 학교,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과 문화?복지시설이 연계된 복합커뮤니티센터 건설을 계획 중이라고 발표하고 복합커뮤니티센터에 대한 법적기준과, 시설계획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에 새로운 시설을 건립할 경우 복합화라는 커다란 흐름을 가지고 시설건립 계획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현재까지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연구는 커뮤니티의 의미를 밝히고, 시설 계획 측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이는 개별적인 시설에 대한 연구이며, 시설복합화에 대한 연구의 경우도 공간형태의 분석이나 건축 계획적인 측면이 대부분이다. 공공청사와 커뮤니티시설의 복합화는 지역민에게 공공행정서비스와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서비스제공, 주민들 간의 연대감과 공동체성을 구성하고 지역의 정보교류를 통해 지역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과, 지자체의 커뮤니티시설 복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복합커뮤니티청사 시설에 대한 이용행태, 이용자의 인식, 커뮤니티의식에 대한 내용 연구를 통해 향후에 건립될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한 복합커뮤니티시설 계획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청사와 커뮤니티시설 복합화의 사례가 많은 일본과 미국, 캐나다 등의 해외사례 검토를 통해 도시 입지유형별 시설의 특징과 시사점을 알아보고, 국내의 사례지역으로 수도권 중 도시 입지유형에 따라 도시와 농촌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경기도 지역을 선정하여 시?군지역 공공청사의 복합화 정도와 입지유형별 복합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복합커뮤니티청사를 가지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이용행태, 이용자의 인식과 커뮤니티의식 측면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계획될 복합커뮤니티시설의 참고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시설 복합화 관련이론 검토와 공공청사와 커뮤니티시설 복합화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용자의 행태와 커뮤니티의식에 관한 연구를 살펴본다. 둘째, 공공청사 기능과 함께 커뮤니티시설이 복합화된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하여 복합화와 시설의 특징을 분석하고 입지별, 복합기능별, 공간구성의 유형화 과정을 통해 국내 공공청사 복합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셋째, 경기도의 시?군청을 중심으로 시설 복합화가 진행되어 있는 지역의 입지유형별 복합화 경향을 분석해 보고, 주민의 이용이 많은 여가?문화, 건강?체육, 교육?복지 기능이 의회?기타행정의 기능과 복합된 공공청사를 복합커뮤니티청사의 최종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시설이용행태와 이용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용자의 커뮤니티의식에 관해 분석해 본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입지형태와 시설 복합수준에 따라 유형화된 사례지역 주민들의 복합 커뮤니티청사의 이용형태는 주부의 이용비율이 40%, 학생이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셔틀버스를 운영하는 곳은 보행거리 이상의(대중교통 이용시 30분 이내) 지역에서 거주하는 주민에게도 시설이용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도시형에 비해 행정구역이 넓은 도농복합형의 경우 주민들의 이용거리가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용목적은 여가(38.8%), 배움(29.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용횟수는 일주일에 1번 이상 이용하는 응답자가 45.7%로 가장 높으며, 이용시간은 1시간이상~3시간미만이 53.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주민과, 공무원?운영관계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은 도시형 1차 복합지역인 성남시의 경우 시민회관, 2차 복합지역인 군포시는 청소년수련관, 광명시는 운동장, 도농복합형의 2차 복합지역인 파주시청은 도서관, 3차 복합지역인 용인시청은 청소년수련관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1순위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설의 기능은 주로 문화, 교육기능의 이용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선행논문에서는 문화기능의 중요성을 강조 하였지만 본 연구 분석의 결과 교육기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시설 이용 행태의 경우 이용횟수는 1차 복합 지역은 1달에 1번(47.7%) 이용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높은 반면, 2,3 복합지역은 일주일에 1번(57.95%) 이용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높게 나와 시설 복합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들은 더 자주 시설을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용기간은 1년 이상(47.37%) 장기간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시설 이용 후 만족도 부분에서 하루에 1번 이상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시설이용의 빈도가 줄어들수록 시설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의 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기능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수련관(3.92)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배움을 목적으로 시설을 이용할 경우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도시(3.42)에 거주하는 응답자 보다 도농복합지역(3.50)에 거주하는 응답자의 시설운영 프로그램 만족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 복합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시설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이용자의 인식을 살펴보면, 시설 복합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지역의 다른 시설 대비 복합커뮤니티청사의 시설에 대한 인식수준은 높아진다. 또한 도농복합형에 거주하는 응답자, 높은 시설수준의 복합화시설을 이용하는 응답자, 공무원보다 주민이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시설의 복합화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커뮤니티시설을 복합 시 가장 선호하는 시설은 문화와 교육 기능을 가진 문화센터 교육기능의 도서관, 행정과 교육기능의 주민자치센터, 문화기능의 공연장, 여가기능의 공원 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커뮤니티 의식은 도농복합형 지역보다 도시형 지역에서 더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우리의식1, 의존의식2는 3차 복합지역이 가장 높고, 우리의식2, 역할의식1?2, 지역성2는 2차 복합지역이 가장 높고, 의존의식1, 지역성1은 1차 복합지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시설을 이용한 후에 이용자가 느낄 수 있는 커뮤니티 의식을 순서명목척도로 설문조사하여 범주형 회기분석으로 분석해 보면, 우리의식의 회귀식은 F=4.854(p=.000)로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각 변수가 우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시청과의 친밀감(F=48.63), 건강활력(F=3.928), 시설수준(F=2.721), 주민의견반영(F=2.045), 프로그램 만족도(F=1.409), 자아실현(F=0.091)의 순서로 나타났으나,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한 복합화에 대한 의견(F=2.864)의 값이 커질수록 우리의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역할의식의 회귀식은 F=4.305(p=.002)로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각 변수가 역할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시청과의 친밀감(F=14.941), 시설수준(F=1.803), 자아실현(F=0.007)의 순서로 나타났다. 의존의식의 회귀식은 F=4.247(p=.000)로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각 변수가 의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시청과의 친밀감(F=20.521), 자아실현(F=15.222), 공공청사와의 복합화에 대한 의견(F=8.504), 이용시간(F=5.093)의 순서로 나타났다. 지역성의 회귀식은 F=11.261로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각 변수가 의존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주민의견반영(F=9.511), 이용횟수(F=4.02), 프로그램 만족도(F=1.882)의 순서로 나타났다.; The study on community facility so far was mostly focused on defining the community and planning the facility, and they were about the individual facility and even in case of the facility complex, it was concentrated in evalu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or architectural plan. In line with the plan for building a complex communication center in the administrative town and the community complex facilities in the municipal governments, which have been put on track, the need of the study on community facilities in operation and the people’s awareness of such complex facilities in Korea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 study was intended to review the features of the facilities by type of location and challenges based on evaluation of foreign cases in Japan, Unites States and Canada where more public building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available, and when it comes to domestic cases, Gyeonggi region was designated as this region was combined with both the urban and suburban characters and reviewed the status on how to build multi-functional public buildings as well as the features of such multi-functional complex facilities in urban area by type of location. And the evaluation from the community’s standpoint on use and user’s recognition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provide the referential data for planning the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in future. The approach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ogics of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possibility of building the integrated complex public building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evaluated, together with the user’s behavior and awareness of the community Second, the features of complex facilities were evaluated based on foreign cases of integrated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function of public building, and the potential challenges behind the construction of complex public buildings were identified in a way of configurating the space by location and function. Third, the tendency of complex facilities by type of location in Gyeonggi area where the number of complex facilities has been on the rise was analyzed, and user’s awareness of the facilities and community was evaluated in the designated area where the public buildings were integrated with various functions favored by the residents such as leisure, culture, health, sports, education and welfare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the use of complex public buildings by the residents, the housewives accounted for 40% of the total users and the students was 18%. The shuttle bus was provided for the residents living within 30 minutes distance by public transport, which indicated that in case of urban-suburban combined facilities, they accommodated more residents in the larger area, compared to those in urban area. When it comes to the purpose of use, for leisure (38.8%) and for learning (29.2) were the major reasons, among others. And for the frequency of use, 45.7% of users used once a week and 53.7% of users used for an hour to three hours on average. Second, when it comes to the facilities favored by the residents, government and operation officials were Citizen’s Hall in Sungnam City, which was regarded as the first-grade urban complex region, and Youth Training Center in Gunpo City, the second-grade urban complex region, and the stadium in Gwangmyung City, and the library in Paju city, the second-grade urban-suburban combined complex region, and the Youth Training Center in Yongin City, the third-grade urban-suburban combined complex region.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facilities favored most by the respondents were mostly culture, and education-related facilities. Though the previous studies stressed the cultural function the most, the residents tend to prefer the education function to others these days, according to the survey in this study. Third, the frequency of use was found to be once a month (47.7%) in the first-grade complex region, while it was once a week (57.95%) in the second and third complex region, indicating that the more users prefer the complex facilities. Fourth, the users coming to the facilities once a day or more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and vice versa.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with the youth training center (3.92), which was equipped with education function, which indicated that those using the facilities for learning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And those living in urban-suburban combined area (3.50)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mpared to those living in urban area. The satisfaction degree in the area where there were more complex facilities was seen higher. Fifth, viewing the user’s recognition, those living in the area with more complex facilities were well aware of the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The responses were more positive from those in urban-suburban combined area or using a higher degree of complex facilities, and the residents were more positive to complex community facilities than government officials. The facilities preferred by the users were the cultural center with cultural and education functions, the library with educational function, the resident center with administrative and education functions and the performance hall with cultural function and the park for leisure and relaxation. Sixth,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user’s community consciousness after using the facilities in a way of ordinal & nominal scale and evaluation in a way of regressional analysis, the regressional formula of the we-feeling is F=4.854 (p=.000)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we-feeling are familiarity with the facility (F=48.63), health & vitality (F=3.928), facilities (F=2.721),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 (F=2.721),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F=1.409) and self-actualization (F=0.091), which indicated the larger the value on complex facilities, the less the we-feeling Regressional formula on role-feeling is F=4.305 (p=.002).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role-feeling are familiarity with the facility (F=14.941), facilities (F=1.803), and self-actualization (F=0.007) Regressional formula on dependency-feeling is F=4.247 (p=.000).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dependency-feeling are familiaritywith the facility (F=20.521), self-actualization (F=15.222), opinion on complex public building (F=8.504) and use hour (F=5.093) Regressional formula on regionality is F=11.261.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dependency-feeling are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 (F=9.511), frequency of use (F=4.02) and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F=1.882)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0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6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