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 0

유두 괄약근 절개술 시행후 재발성 담관결석의 위험 인자 분석

Title
유두 괄약근 절개술 시행후 재발성 담관결석의 위험 인자 분석
Other Titles
Risk Factors for Recurrent Primary Bile Duct Stones after Endoscopic Sphincterotomy
Author
김현수
Alternative Author(s)
Kim, Hyun-Soo
Advisor(s)
최호순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및 목적 : 내시경적 유두 괄약근 절개술은 담관 결석의 표준 치료로 안전하고 수술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장기 합병증 중의 하나로 담관 결석의 재발이 보고 되고 있다. 재발성 담관 결석의 위험 요인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환자적인 측면, 내시경적 소견, 검사실 소견등을 위험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고 각각의 보고마다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차성 담관 결석 환자에서 유두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하여 결석을 완전히 제거한 후 담관 결석이 재발한 환자들의 특징과 이와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4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일차성 담관 결석으로 내시경적 유두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받은 1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8명의 환자는 재발성 담관 결석을 보인 31명과 재발이 없었던 167명으로 분류하였고, 담관 결석의 재발이 있었던 31명은 2회이상 다발성 재발환자 7명과 한차례만 재발하였던 24명으로 재분류하였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특징, 내시경 소견, 검사실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198명의 환자의 평균 연령 65.3 ± 13.8 세였으며, 남녀 비는 1:0.90이었다. 재발성 담관 결석을 보인 환자는 31명(15.7%)이었으며 평균 연령 67.0 ± 12.9, 남녀 비는 1:2이었다. 재발성 담관 결석은 유두겉게실의 유무, 담석수, 담석크기, 간기능 검사와는 관련이 없었고 총담관 직경, 공기담관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p<0.05)을 보였다. 담관 결석의 다발성 재발에는 첫 재발 당시의 공기담관증의 유무가 위험 인자로 작용하였다. 결론 : EST후 담관 결석의 재발과 관련된 인자는 총담관 직경, 공기담관증이었다. 담관 결석 재발 환자군에서 공기담관증이 많이 분포한 것은 이전에 시행한 EST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되나 다발성 재발 환자군과 한차례만 재발한 환자군과의 첫 재발 당시의 공기담관증 분포의 비교에서 공기담관증이 다발성 재발의 위험 인자로 연관성이 있었다.; Backgrounds/Aims: Endoscopic sphincterotomy(EST) is a well-established procedure for bile duct stone extraction. Recurrence of bile duct stones after endoscopic stone removal has been reported ranging from 4 to 24%. There were several studies about risk factors for recurrent bile duct stones but, risk factors for stone recurrence were different at each studi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ct factors that related with recurrence of bile duct stone and multiple recurrence. Methods: A total of 198 consecutive patients with primary bile duct stone from April 2003 to April 2007 were evaluated. These patients were classified to non-recurrence group, recurrence group, and then recurrence group was divided to multiple-recurrence group and once recurrence group. The data were obtained retrospectively. The following factors wer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related factors of recurrent primary bile duct stones: age, sex, liver function test, gall bladder status, diverticulum, number of bile duct stones, diameter of bile duct stones, diameter of bile duct, angle of CBD, pneumobilia, peformed endoscopic mechanical lithotripsy or not Results: There are 31 patients(15.7%) with recurrent bile duct stones amoong total 198 patients, and 7 patients(3.5%) was classified to multiple-recurrent group. A bile duct diameter of 15mm or greater was found to related factor for recurrent bile duct stone by multivariate analysis. And the presence of pneumobilia at 2nd ERCP of first recurrence was the risk factor of multiple recurrence of bile duct stone. Conclusion: Bile duct diameter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ecurrent bile duct stone, and the presence of pneumobilia was the risk factor of multiple recurrence of bile duct stone. The physicians should consider the regular exams for recurrent bile duct stones in patients with risk factors, and that may reduce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acute cholangitis or acute pancreatiti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41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4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