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 0

변연계의 T2 이완시간: 1.5T 와 3.0T에서의 비교

Title
변연계의 T2 이완시간: 1.5T 와 3.0T에서의 비교
Other Titles
T2 Relaxation Times of the Limbic System:Comparison of 1.5 T and 3.0 T
Author
임현진
Advisor(s)
조온구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서론 1.5T와 비교할 때에, 3.0 T 자기공명영상은 여러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3.0T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며, 3.0 T에서, 변연계의 FLAIR 영상 신호강도는 1.5 T 보다 낮은 정도로 보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대상이랑은 3.0T 의 FLAIR 영상에서 오히려 1.5T 에서보다 더 높은 신호강도를 보인다는 점이 관찰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3T에서 대상이랑에서의 T2이완시간은 1.5T와 비교할 때, 덜 감소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마, 대상이랑, 편도체, 뇌섬엽피질 에서의 T2 이완시간을 1.5T 와 3.0T에서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2명의 건강한 성인 (남녀 각각 6명; 평균연령, 30.9세) 을 대상으로 관상 FLAIR 영상 및 T2 이완시간 측정을 위한 Carl-Purcell-Meiboom-Gill (CPMG) 연쇄 영상을 1.5 T 와 3.0 T에서 각각 시행하였다. FLAIR 영상에서 양측의 대상이랑, 해마, 편도체, 뇌피질섬엽에서 관심영역을 표시하였고, T2 이완 시간 측정을 위한 지도의 상응하는 부위에 복사하여 넣었다. 결과 1.5T 에서와 비교할 때에 3.0T 에서 T2이완시간의 백분율 변화는 대상이랑, 뇌섬엽피질, 편도체, 해마에서 각각 -8.9%, -13.5%, -13.5%, and -14.6% 이었다. 대상이랑에서의 T2 이완시간 백분율 변화는 다른 부위에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06). 해마를 기준으로 한 평균 T2 이완시간비는 대상이랑, 뇌섬엽피질, 편도체에서 각각 0.96, 1.02 (p = 0.003); 0.97, 0.98 (p > 0.05); 1.00, 1.00 (p > 0.05)로 측정되었다. 고찰 이번 연구에서, 대상이랑은 3.0T 에서 다른 부위보다 적은 T2이완시간 백분율 변화를 보였으며, 이 연구를 통한 임상적 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FLAIR 영상에서 대상이랑이 보다 높은 신호 강도를 보이므로, 바이러스성 뇌염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고,판독의는 이러한 소견을 알고 있어야 한다. 둘째, 3.0T 에서는 대상이랑과 해마가 거의 같은 정도의 신호강도를 보인다는 점을 간질 환자에서의 해마 경화증 진단에 적용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3.0T에서, 대상이랑은 뇌섬엽질, 편도체, 해마에서보다 낮은 정도의 T2 이완시간 감소를 보이고, 3.0T에서의 FLAIR 영상에서 해마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신호강도를 보이게 된다.; Introduction The use of 3.0 Tesla(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has been increasing due to its numerous advantages over 1.5 T, making 3.0 T an important study subjec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limbic system demonstrates lower signal intensity on fluid-attenuated inversion-recovery (FLAIR) imaging at 3.0 T than at 1.5 T. However, we have recently observed higher signal intensity in the cingulate gyrus demonstrated on FLAIR at 3.0 T, as compared with that at 1.5 T. We hypothesized that T2 relaxation time of the cingulate gyrus is less shortened at 3.0 T than at 1.5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2 relaxation times in the hippocampus, cingulate gyrus, amygdaloid body, and insular cortex between 1.5 T and 3.0 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healthy volunteers (6 male and 6 female; mean age, 30.9 years) underwent coronal FLAIR and Carl?Purcell?Meiboom?Gill (CPMG) sequence for T2 relaxation time measurement at both 1.5 T and 3.0 T. Regions of interest (ROI) were drawn in the cingulate gyrus, hippocampus, amygdaloid body, and insular cortex on both sides of fluid-attenuated inversion-recovery (FLAIR) images and were copied to the corresponding T2 relaxation time maps for measurement. Results Percentage changes in T2 relaxation time in the cingulate gyrus, insular cortex, amygdaloid body, and hippocampus at 3.0 T with respect to those at 1.5 T were ?8.9%, ?13.5%, ?13.5%, and ?14.6%, respectively. The percentage change in the T2 relaxation time in the cingulate gyru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others (p = 0.006). The mean T2 relaxation time ratios of the cingulate gyrus, insular cortex, and amygdaloid body to the hippocampus at 1.5 T and 3.0 T were 0.96 and 1.02 (p = 0.003); 0.97 and 0.98 (p > 0.05); 1.00 and 1.00 (p > 0.05), respectively. Discussion In this study, the cingulate gyrus showed a lower percentage change in T2 relaxation time at 3.0T than the other three sites. This study therefore has the following clinical implications: first, higher signal intensity in the cingulate gyrus on FLAIR may mimic the findings of viral encephalitis. Therefore, radiologists should be cautious about this finding. Second, the result of near the same signal intensity of the cingulate gyrus and hippocampus at 3.0 T may be applicable to the diagnosis of hippocampal sclerosis in patients with epilepsy. In conclusion, T2 relaxation time decrease in the cingulate gyrus was less than that in the insular cortex, amygdaloid body, and hippocampus at 3.0 T, resulting in a relatively higher signal intensity than that of the hippocampus on FLAIR at 3.0 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41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