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 0

모유수유 시작요인이 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영향

Title
모유수유 시작요인이 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Initiating Breastfeeding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Author
정은정
Alternative Author(s)
Jeong, Eun Jeong
Advisor(s)
유은광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모유는 생후 첫 일 년간 영아의 성장과 건강에 꼭 필요한 자연 발생적인 식품이며 엄마와 아기의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후 첫 6개월 동안 완전모유수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모유수유 시작요인과 모유수유 지속에의 영향요인을 파악해봄으로서, 모유수유의 지속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는 2006년 6월 29일부터 2007년 4월 13일까지 서울시 E대학 부속 병원에서 출산하고 모자 동실을 이용한 산모 중 모유수유 교육을 받은 산모 10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모유수유 시작요인은 아기의 젖 물기, 아기의 젖 빨기, 산모의 모유수유 의지정도를 측정한 값의 평균치이며, 모유수유 지속은 산후 6개월까지의 모유수유 지속여부를 측정한 값이다. 자료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version 9.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모유수유 시작요인의 평점 점수는 8.12/10 점이었고, 세 하부 영역에서 젖 물기는 평균 점수 8.01/10, 젖 빨기는 평균 점수 9.85/12, 산모의 모유수유 의지정도는 평균점수 8.15/10 으로 나타났다. 2. 모유수유 지속상태는 산후 1주 시기에서 산후 6개월 시기로 갈수록 완전모유수유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전체 모유수유 시작요인과 지속과의 관계는 모유수유 시작요인이 모유수유가 6개월 지속된 군에서 지속 못한 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49, p=.01). 세 하부 영역중 산모의 모유수유 의지정도가 6개월에 모유수유 지속 군 8.58(1.70)로 모유수유 지속 못한 군 7.49(2.27) 보다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 2.63, p=.01). 4. 모유수유 시작요인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직업유무(t=6.31, p= .01), 산후 1주에 향후 모유수유 지속의향(t=8.36, p=.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세 가지 영역별로 볼 때 아기의 젖 물기와 젖 빨기에서는 아기의 출생 순위(t=4.97, p=.01; t=3.53, p=.03)에서만, 산모의 모유수유 의지정도에서는 직업유무(t=4.84, p=.03), 종교(t=6.13, p=.02), 분만유형(t=3.50, p=.03), 산후 1주에 향후 모유수유 지속의향(t=13.99, p=.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모유수유 지속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직업유무(χ2= 5.93, p=.01), 산후 1주에 향후 모유수유 지속의향(χ2=7.80, p=.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모유수유 시작요인의 세 가지 영역 중 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산모의 모유수유 의지정도(95% 신뢰구간: 1.07- 1.64)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모유수유 지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분만 전 산모의 모유수유 의지정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모유수유 교육이나 간호중재를 통하여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의지정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모유수유 시작요인 값이 높을수록 모유수유 지속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모유수유 지속은 모유수유 시작요인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모유수유 지속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모유수유 시작요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각 개인의 모유수유 시작요인에 따라 적절한 모유수유 교육 및 추후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직장 여성인 경우 법적 보장 기간인 3개월 후 직장으로 복귀할 때 계속적인 모유수유에 대한 의지를 유지 증진할 수 있도록 직장 내 환경의 변화와 법적 제도적 지지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by understanding influence of the initiating Breastfeeding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ne 29, 2006 to April 13, 2007. 103 postpartum mothers, who received the educated of breastfeeding and were in rooming-in after childbirth at 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Initiating Breastfeeding was evaluated by using the LATCH Scoring System(LATCH), Infant Breastfeeding Assessment Tool(IBFAT), and Breastfeeding Preference Scale. On the other hand,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was evaluated by whether they continued the breastfeeding until the postpartum of 6 months or no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software 9.1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IB(Initiating Breastfeeding) was 8.12/10, Among the three areas for IB, the score of IBFAT was 9.85/12, LATCH was 8.01/10 scoring, and mother's will of breastfeeding was 8.15/10. 2.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has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1st week to six months after delivery.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ting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2.49, p=.01), but among the three area, only mother's will of breastfee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2.63, p=.01). 4. For IB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 (t=6.31, p=.03) and intention of breastfeeding to continue over the next 6 month at the 1st week (t=8.36, p=.00) of childbirth. Among the three are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ATCH and IBFAT according to birth order (t=4.97, p=.01; t=3.53, p=.03); in the degree of mother's will of breastfeeding according to occupation(t=4.84, p=.03), religion (t=6.13, p=.02), delivery type(t=3.50, p=.03), and m o t h e r ' s intention to continue breastfeeding at postpartum 1st week (t=13.99, p=.00). 5. For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χ2=5.93, p=.01) and mother's intention to continue breastfeeding at postpartum 1st week(χ2=7.80, p=.00). 6. The influencing factor on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was the degree of mothers’will of breastfeeding(95% CI: 1.07- 1.64).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it is necessary for health professionals to develop strategy enhancing the mothers's will ofbreastfeeding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mother's will and to make environment be maintained and improved mother's will by supporting the workplace through making the institutional or national policy creating workplace familiar to breastfeeding for the baby's health especially for the working mothers. Besides, for improving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adequate analysis on the factors of initiating breastfeeding through continuous and repeated research is requir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34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