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8 0

유럽군축협상 경험과 한반도 군비통제

Title
유럽군축협상 경험과 한반도 군비통제
Other Titles
The Direction of Arms Control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Experiences in Europe
Author
신문식
Alternative Author(s)
Shin, Moon Sik
Advisor(s)
엄구호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탈냉전 이후 국제질서의 변화가 어떻게 각 국가의 안보 개념 및 전략에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출발한다. 탈냉전 이후 등장한 새로운 국제질서는 냉전시대에 주류를 이루어왔던 군사력에 바탕을 둔 안보개념에 있어서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유독 한반도에서만 군비통제 협상이 진전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역사적, 환경적 요인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본 논문은 남북한 간 군비통제에 대한 기존의 접근방식에 오류가 있었음을 지적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된 논문들은 주로 유럽 군비통제 경험을 한반도에 그대로 적용하려는 연구들이었기 때문에 현실적인 고려사항들이 결여되고 있다. 또한 한반도 군비통제의 제약요인들을 북한의 대남 정책 및 의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쟁점사항에 대해서도 단기 처방식 해결방안 위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군비통제의 전반적인 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군비통제라고 하면 군비경쟁의 반대 즉, 신뢰구축, 군비제한, 군비축소 등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한반도 군비통제 역시 군비경쟁을 억제하고 안보능력을 약화시키는 의미인가? 대부분의 국민은 북한의 적화통일 야욕, 선군정치, 공격적 무기체계의 전방배치 등에 의한 위협 때문에, 그리고 동북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군비통제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그리고 북한 역시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대량살상무기들을 개발함으로서 오히려 군비경쟁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한반도 군비통제가 군사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남북한 간 국가이익을 제고할 수 있는 ‘윈-윈 패러다임’이라는 논리를 제공하면서 군비통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연적인 사안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럽의 군축 성공사례와 한반도 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반도에서 군비통제를 실현시킴으로써 상호간 경제적 기대이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불어 ‘先 신뢰구축, 後 군축’이라는 기존의 선형적 군비통제 접근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교착상태에 빠진 한반도 군비통제문제에 대한 방안으로써 포괄적이면서도 다선적(多線的: multilineal)인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반도에서 군비통제를 실현시킬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으로는 국제군비통제 레짐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대량살상무기 및 비인도적 재래식 무기는 국제 군비통제 레짐에 의거 폐기 및 축소하는 반면, 재래식 무기는 남북한 군비통제 레짐을 형성하여 정치적ㆍ군사적 신뢰구축과 더불어 공격무기를 후방으로 배치하고, 동북아 균형유지와 관련하여 필요 이상의 재래식 무기체계 및 병력을 축소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후진국 형 군구조를 기술집약적인 선진국 형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정은 국가 간 군비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보상구조의 변화, 협상접근방식, 그리고 레짐의 활용이라는 설명변수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분석틀을 토대로 이루어질 것이다.; In general, the term of 'disarmament' or 'arms control' is used for a contrary concept to 'arms races,' which connotes 'confidence building,' 'armament limitation,' and 'armament reduction,' etc. If so, will arms control in the Korean Peninsula result in weakening of the security of the region? So far it has been said that arms control in the region would be premature not only due to the tenacious military threats from North Korea but also due to a need to maintain the balance of power in the Northeast Asia. This dissertation starts from the question of how have the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post Cold War era affected each country's security concepts and strategies. The new international order emerged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have caused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traditional security concept, which was formulated in the Cold War era based on armaments or military forces. Then, how can we explain the inertia of the disarmament negotiations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these obvious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milieu? While various historical and circumstantial factors are responsible for this inertia,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point out the fallacies of the existing approaches to arms control between two Koreas. Sinc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apply the arms control experiences in Europe to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considering the historical or contextual differences, they are likely to lack realistic considerations on the issue. Also they tend to find the constraining factors for arms control in the Korean Peninsula mainly in North Korea's hostile policies or intentions to the South. As a result, their solutions to this problem are likely to be temporary patch-up measures without presenting an overall framework for arms control.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arms control in the Korean Peninsula would not risk security in the region, rather result in a win-win paradigm in which both South and North Koreas can be benefited from it. Furthermore, it contends that arms control in the Korean Peninsula is indispensible. That is, WMD and inhumane conventional arms should be abolished or curtail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arms control regimes, while the conventional forces should be reduced by such measures as building political and military confidence through formulating an arms control regime between two Koreas, deploying assault weapons to the rear, and upgrading the backward nation-style military structure to a technology- intensive and advanced one. Throughout careful comparative analyses on the successful arms control experiences in Europe and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dissertation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lineal approach to arms control, that is, 'confidence building first, then arms control later,' and presents instead a comprehensive and multilineal approach based on the international arms control regime as a plausible way out from the deadlocked arms control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analysis is proceeded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which consists of three explaining variables such as changes in the pay-off structure (and expected gains), ways of approaching to the arms control negotiations, and use of the international regim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33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8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RUSSIAN STUDIES(러시아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