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 0

제7차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화성지도 방안 연구

Title
제7차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화성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in how to plan to teach about harmony in high school at the 7th.
Author
이원석
Alternative Author(s)
Lee, Won Seok
Advisor(s)
박소현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 중 음악교과는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으로 나누고, 두 영역이 조화롭게 연계된 수업을 하도록 하고 있다. 고등학교 음악교과 내용 중 화성은 이해영역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화성지도에 있어서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려면 교과서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과서의 화성지도 부분은 화성이론을 설명하는 부분이 대부분이며, 활동영역을 통한 화성지도의 많은 지면을 차지하고 있으나 화성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내용과 연계된 부분이 거의 누락 되었다. 이는 교과서 화성지도의 내용이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의 연계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지적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10종의 화성지도 부분을 분석한 것이다. 각 교과서의 화성지도를 포함하는 단원을 정리하고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이 어떻게 얼마나 연계되었는지 고찰 한 것이다. 고등학교 10종 음악교과서의 화성지도 단원을 분석한 결과 화성지도는 활동영역으로 지도하는 경우가 이해영역으로 지도하는 경우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해영역으로 지도하는 경우는 그 수가 적고 화성이론을 정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두 영역을 연계하여 지도하는 단원은 있으나, 내용과 분량 면에서 미흡하다. 그리고 활동영역 중에는 가창활동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감상영역의 사용은 미미하다. 이상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내용에는 두 영역의 연계가 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업현장에서 화성을 이해할 때 이성적으로만 혹은 감성적으로만 이해하게 되므로 교과서의 재구성이 요구된다. 이에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한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교과서의 편찬이나 실제 음악 수업의 화성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e music course of a study in the 7th education process is divided into comprehension and activity area, and gives a lesson that both parts are closely connected with harmony. The harmony of the contents of a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is the reality that is focused on giving a class of the understanding. In order to become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of both ones, the role of textbook is important. The part of harmony directions in the textbook is most of the theory of harmony explanation and is mostly occupied with the activity area but the contents and the connected parts on the music concepts of harmony are left out. I can point out that it does not get connected with two areas. The main study is analyzed into 10 kinds of textbooks in the 7th education process. I will observe how much is linked with understanding and activity parts and arrange the chapters, including harmony guidance of each textbook. As a result, the activity one is overwhelmingly more than understanding one. In the case of understanding directions, there are a few and is most part of arranging harmony theory. There are a few of both of the connected chapters, but the contents and quantity are not enough. The singing of activity parts is much used and the usage of emotion ones is insignificant. I am certain that it is not well linked with two sections, so it is required to reorganize textbooks because pupils get harmony emotionally or reasonably. In this research, I will present class model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are reconstructed and it will come in great handy of textbook edition or the harmony directions of real music clas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0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