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 0

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한 미술 교과서 편집디자인에 대한 연구

Title
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한 미술 교과서 편집디자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for Editorial Design of Art Textbook With Grid System : Focusing on the Art Textbook for the first-year middle school
Author
김민영
Alternative Author(s)
Kim, Min-Young
Advisor(s)
김희영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교육과정과 수업 실천을 연결해주는 핵심 자료인 교과서는 교육 현장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외적 체제나 편집, 그리고 품질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미술 교과서는 타 교과서와는 달리 시각 중심 교과라는 특수성 때문에 학습자료 제시 기능이 강하다. 따라서 학습 자료로 제시되는 참고 작품과 감상 작품 등 예시 자료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이 자료를 어떻게 배치하고 편집하느냐에 따라 교육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교과서에 대한 외적체제의 연구가 미흡하였고, 선행연구들 또한 미술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레이아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는 있으나 레이아웃의 개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편집디자인을 위해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미술 교과서 레이아웃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국내 중학교 1학년 미술 교과서 편집디자인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문제점으로 나타난 레이아웃 개선 방안으로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한 교과서 모형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미술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레이아웃의 일관성이 필요하다. 둘째, 시각이미지는 시각적 무게감의형을 이루도록 정돈 되어야 한다. 셋째, 제목과 본문의 타이포그래피가 시각이미지와 시각적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넷 째, 여백의 적절한 활용으로 가독성은 물론 조형성을 살릴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통일감 있는 그래픽 요소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한 미술 교과서 모형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A는 2단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존 교과서와 흡사한 형식을 가지고 있으나, 각 단원마다의 그래픽 요소의 통일과 시각이미지의 시각 기준선에 맞춰 정리 정돈함으로써 기존 미술 교과서에 익숙해 있는 학습자에게 친근감 있게 학습 효과를 전달해 줄 수 있다. 둘째, 모형 B는 3단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글줄의 길이나 시각이미지의 정렬에 있어 기존의 미술 교과서와는 약간의 차별을 두어 제작하였다. 그래픽 요소에 있어서는 단원을 구분 시켜 줄 수 있는 요소 뿐만 아니라 장식성 있는 그래픽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게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셋째, 모형C는 3단과 4단의 혼합 그리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잡지와 웹 환경에 익숙해져있는 학습자의 기호에 맞춰 여백과 시각이미지의 강약을 조절하여 제작하였다. 모형 C는 여백을 대폭 활용한 레이아웃으로 학습자에게 흥미와 함께 창의성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흥미와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제안한 모형이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라 개편될 미술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extbook, which is the heart of connection between learning process and practice of courses, is influential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ts quality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an art textbook, unlike textbooks of other subjects, has a strong function of presenting study materials due to its visual feature.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how those materials are edited and arranged as the most parts consist of the art works for reference and appreciation. However, our country lacks the study on external structure of textbook. In addition, the previous studies also point out the layout of art textbooks' editing design, but they do not suggest any detailed direction to improve it. For this, we analyzed the problems of art textbook's editing design and tried to suggest some solutions for improvement by applying the grid system in this study. As the method to perform this study, we analyzed the editing design of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1st grade in the county, and made some models of textbook which the grid system is applied as an improved solution for the layout viewed as a problem on the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art textbook's editing design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entire layout need to be consistent. Second, visual images need to be organized in a way to achieve a shape of visual weight sensation. Third, the typography of title and body need to be visually balanced with visual images. Fourth, it should be able to make the best use of readability as well as formativeness by an appropriate use of space. Fifth, graphic factors which give a sense of unity should be used. Based on this study, some models of art textbook which we suggest using the grid system is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model A, we applied the 2-step grid system so it has a similar form with the existing textbooks, but it can deliver the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existing textbooks a educational effect friendly by standardizing graphic factors and organizing in comparison with the visual base line each chapter. Second, we made the model B which slightly differs from the existing textbooks in the length and visual image of lines of writing by applying the 3-step grid system. In terms of graphic factors, we used factors that are decorative as well as able to separate chapters, it was possible to cause interest in learning process from the learners without getting bored. Third, we made the model C which is suitable for the preference of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magazines and web environment by adjusting dynamics of space and visual images with application of a mixture of the 3-step and 4-step grid systems. The model C, as a layout which fully used space, can be helpful for leading interest and creativity from the learners. Through the study described above, we hope that the model we suggest to maximize interest and effective learning with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learners can be a basic source for the art textbook which will be reedited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bil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6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32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