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0

형태 초점 문법 교육의 현장 적용 실태

Title
형태 초점 문법 교육의 현장 적용 실태
Other Titles
A Study on Application of Focus on form in Korean Classrooms
Author
장희진
Alternative Author(s)
Jang, Hee Jin
Advisor(s)
이영자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application of Focus on form in Korean classroom for achieving both fluency and accuracy in English communication. The questions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are as followings, First, to what extent does teachers' view of grammar teaching reflect the idea of Focus on form theory? Second, what kind of method is the most preferred in grammar teaching in practice and is the methodology of Focus on form frequently used in the classroom? Third, what is the most efficient method to improve the productive competence of communication among the methodologies of Focus on form? Fourth, what are the limitations and issues to be resolved in carrying out an output-oriented Focus on form grammar teaching? The result of the survey of 89 English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oung-gi province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cognition of a theoretical definition of the Focus on form theory, over a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acked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But, a grammar-teaching method deemed to be the most desirable by most teachers is found to be in line with the underlying idea of Focus on form. Second, though many teachers pointed out that Korean learners lack output competence represented by the form of speaking and writing, the survey indicates that in practice grammar teaching is mostly done through reading tasks, not speaking or writing tasks. Also, an explicit explanation of grammatical rules through input tasks ranked as the most preferred one among the methodologies of Focus on form. Third, the teachers selected dictogloss as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competence though it was the least used in practice. This result shows the disagree between the ideal method that teachers pursue and practical method that teachers do for grammar teaching. Regarding a desirable ratio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tasks in grammar teaching,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output tasks should be performed as much as input tasks. Fourth, the survey shows that many a teacher thinks too a large number of students in one class as the most critical problem to be addressed. The burden of a tight lesson schedule and the resultant time pressure also turned out to be the main cause of difficulties in the output-centered Focus on form grammar teaching for teachers. In conclusion, even though most teachers have already shared the view to value the output-oriented Focus on form grammar teaching, it is found in the survey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is one thing and an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is another yet. The crucial objective of English curriculum in Korea is to have learners obtain both fluency and accuracy in English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goal in an efficient mann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English class should be smaller than now. At the same time, a systematic support and effort to enhance the current English teaching environment is consistently required. In addition, the use of internet can be an alternative proposal outside a classroom setting.; 본 연구는 의사소통의 정확성과 유창성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한 문법 교육 방법으로 오늘날 많은 공감을 얻고 있는 형태 초점(Focus on form) 문법 교육의 교실 적용 실태를 살펴보고 그 시행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문법지도 방법에 대해 가지는 견해는 어느 정도 형태 초점 접근법의 개념을 반영하고 있는가? 둘째, 교실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문법 지도 방법은 어떤 형태이며 형태 초점 접근법의 교수법은 어느 정도 행해지고 있는가? 셋째,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에게 부족한 표현 능력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형태 초점 접근 기법은 무엇인가? 넷째, 표현 능력을 위한 형태 초점 문법 교육의 시행에 있어 제한점과 개선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중고교 영어교사 8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 초점 접근법의 이론적 정의에 대한 인식 정도에 대해서는 반수 이상의 교사들이 생소한 개념이라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 교사들이 문법 지도에 대해 갖고 있는 견해는 형태초점 의사소통접근법의 개념과 일맥상통했다. 둘째, 우리나라 학생들에게서 가장 부족한 영어 영역으로 말하기와 쓰기를 꼽으며 표현영역에 있어 부족함을 지적한 반면, 실제 수업에서는 읽기 위주의 문법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형태 초점 접근법의 각 기법의 시행정도는 입력을 통한 명시적 규칙 설명 방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입력 중심의 형태 초점 기법이 주를 이루는 문법 교육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형태 초점 접근법의 기법들 중 문장산출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법으로는 실제 사용 빈도 조사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던 ‘듣고 다시 쓰기’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나 표현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수업 방식에 대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와 실제 시행에 있어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문법지도를 위한 입력 활동과 출력 활동의 이상적인 비율을 묻는 질문에서는 입력과 출력이 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넷째, 표현 중심의 문법 수업 시행의 제한점과 개선점에 대한 설문에 대해서는 표현 중심 수업을 시행하기에는 한 학급당 학생수가 여전히 많은 것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또 현재 영어과 수업시수 및 진도에 대한 압박 등과 같은 시간적인 부담도 표현 중심의 문법 수업을 시행하는 데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어 문법 교육이 의사소통 영역 특히 표현 영역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형태 초점 접근적인 의식은 이미 많은 교사들에게 확산되어 있었지만 이것이 지나치게 입력적인 기법에 의존하고 있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 영어 교육의 목표인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서는 좀더 표현 위주의 형태 초점 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현재보다 적은 학생수의 교실 환경 조성 및 영어교육 제도의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인터넷과 같은 교실 밖 환경을 충분히 이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3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