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중국어 '給'의 용법 연구

Title
현대 중국어 '給'의 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hinese Preposition : Focusing on '給'
Author
한승
Alternative Author(s)
Han, Seung
Advisor(s)
서원남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給’는 품사간의 경계가 매우 모호하여 1음절 단어의 형태만을 봐서는 어떤 용법으로 쓰였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給’에 대해서 동사, 개사, 조사 등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현대 중국어에서 동사, 개사, 조사로 분류하는 ‘給’의 3가지 용법들에 대해 아래와 같은 문형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동사적 용법을 지닌 ‘給’의 문형구조 · : 이 문형 구조는 이중 빈어문 형식으로, 여기서 ‘給’는 ‘주다’의 의미를 지닌 서술어의 역할을 한다. · : 이 문형 구조는 겸어식 문장이며, 의 문형구조로 전환될 수 있다. · : 이 문형 구조는 의 문형구조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전환된 문형구조는 제1동작 완성 후 뒷 동작이 이루어진 연동문과 유사하다. · : 이 문형 구조는 동사에 따라 ‘給’의 품사가 달라 진다. ‘V’가 수여의 의미를 지닌 동사일 경우에 ‘給’는 개사이고, ‘V’가 ‘취득과 제작류’의 동사일 경우에 ‘給’는 동사이다. 2. 개사적 용법을 지닌 ‘給’의 문형구조 가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이를 세분화한 문형구조는 , , , <給+S(동작접수자)+동사+보어>이다. 그리고 <給我+V>의 문형구조에서 ‘給我’는 하나의 굳어진 형태로 동작에 대한 부탁과 명령의 어기를 나타낸다. 3. 조사적 용법을 지닌 ‘給’의 문형구조 능동문인 와 피동문인 의 문형구조가 있다. 여기서 ‘給’는 어감을 세게 드러낼 뿐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ses of ‘給’ ‘給’ is very obscure part of speech, so it is very difficult to judge the use of the word just by the form of one syllabe. Modern chinese classifies ‘給’ to verb, preposition, postposition. I studied these three sentence patterns. 1. Verbal use of ‘給’ . : this pattern is dual. The meaning of ‘給’ is ‘give’, and the role of this is the predicate. . : this pattern of ‘給’ is a causative verb, and it is able to be transformed to . . : this pattern is able to be transformed to . Transformed pattern is similar to the sentence of one movement after another movement. . : In this pattern, the part of speech of ‘給’ is varied by verb. In case that the meaning of ‘V’ is ‘give’, ‘給’ is Preposition. In case that the meaning of 'V' is acquisition, ‘給’ is verb. 2. Prepositional Pattern pattern is basic. This is classified into , < S + 給( 被) + O + V > , <給 (把)+S+verb+complement>. In <‘給我’+V>pattern, ‘給我’ is fixed pattern, and represents a request and order to movement. 3. Postpositional pattern There are an active sentence and a passive sentence . In this case, ‘給’ just represents the feeling strongly, but can be omitt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5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