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 0

초등학교 미술과 영어 몰입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미술과 영어 몰입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an English Immersion Program through the Art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 Focus on the 6th Graders -
Author
변경미
Alternative Author(s)
Byun, Kyung Mi
Advisor(s)
한문섭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영어 교육에서 몰입학습의 효과를 검증하여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영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몰입학습, 내용중심 언어 지도, 선행연구에 대해 알아보고 제 7차 초등학교 6학년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몰입 단원을 추출하고 미술과 영어 몰입교수 요목 작성, 수업 모형 설계 및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하였다. 이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소재 S초등학교에서 실험반 34명, 비교반 35 명 총 69명을 대상으로 8주간 16차시분의 미술과 영어 부분 몰입 수업을 실시하였다. 몰입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의적 영역(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설문검사지 및 2007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국가수준 영어 학업성취도평가지를 이용하여 듣기와 읽기능력 사후평가를 실시하고 t-검증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영어 부분 몰입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일반 미술과 학습을 적용한 비교집단 간 영어 듣기와 읽기 능력 신장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지만 듣기의 경우 실험반의 평균이 높아 몰입학습이 듣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읽기의 경우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지만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비교반의 평균이 유의미하지 않은 수준에서 실험반 보다 높았는데도 실험반의 평균 상승률이 더 큰 것은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 둘째, 미술과 영어 부분 몰입 학습을 적용한 후 집단 내 결과를 살펴보면 듣기 능력의 경우 평균이 몰입학습을 실시한 후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몰입학습이 듣기 능력 향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몰입학습이 의미있는 의사소통 상황을 제공하고 영어 학습의 효용성을 증대시킨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미술과 영어 부분 몰입학습을 적용한 집단과 일반 미술과 학습을 적용한 집단 간에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및 참여도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몰입집단이 흥미도와 참여도 면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신감의 경우도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몰입학습은 영어를 의미있는 상황에서 도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영어 이해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며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 듣기, 읽기 성취 능력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해 내지는 못했지만 집단 내 결과에서 실험반의 듣기 능력이 사후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점과 정의적 영역의 흥미도와 참여도가 집단 간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아 몰입 학습은 영어 교육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효과적인 몰입 수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영어로 미술수업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아동의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오류 수정은 최소화하여야 하며 칭찬과 격려로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 둘째, 몰입학습에 대한 교과확대 및 효과에 대한 검증절차가 필요하다. 영어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여 영어 성취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나 몰입 대상 교과의 성취도나 정의적 영역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면 영어 몰입학습의 설자리는 없어지기 때문이다. 셋째,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제상에 제시된 교과활동 이외의 재량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몰입학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어에의 노출량을 절대적으로 늘이기 위해 시간확보는 중요한 문제인데 타 교과를 영어 몰입의 대상으로 선정하는 데는 여러 문제점이 따를 수 있지만 지도 내용 선정에 있어 담임교사의 재량이 발휘되는 재량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한다면 대상 교과 선정상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넷째, 현장에서 좀 더 쉽게 몰입학습을 적용하고 교사의 수업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공인된 자료의 개발이 중요하다. 교육부나 시도 교육청 수준에서 몰입교육의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지원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mmersion program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effective English education to improve th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such an EFL environment as Korea. After reviewing immersion program, content-based language instruction and previous study, the sixth grade curriculum in the Seventh Curriculum was analyzed to identify immersion units and draw up a syllabus for immersion teaching of English in the Arts subject, a lesson model, and a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Immersion classes of English in the Arts subject were given to 69 subjects, which consisted of the experiment group of 34 and the comparison group of 35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Manan-gu, Anyang City, Gyeonggi Province, over eight weeks. Employed to test the effects of immersion program were a survey in the affective domains(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and the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in English, which was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fter assessing the subjects'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results,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teste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crease to the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abiliti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that had immersion program of English applied to in the Arts subject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did common arts study.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Despit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experiment did score more mean points in listening than the comparison group, which demonstrates that immers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listening skill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ading, either,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to the mean points than the comparison group, whose mean points were higher than the experiment group within the level of insignificance in the pre-test results of homogeneity, which has some positive meaning to the treatment. Second, the results within the groups were also examined after immersion program of English in the Arts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an points in listening multiplied after immersion program in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hich implies that immersion program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higher listening skills, provides a meaningful communication situation, and improves the efficacy of English study. And third, it was teste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rest, 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English stud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immersion program of English in the Arts subject was applied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followed a general arts study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mmersion program and th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experiment group scored higher mean points in confidence, which demonstrates that immersion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In conclusion, immersion program is effective in helping the students enhance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English and exercises positive impacts on the affective domains by offering opportunities to make use of English as a tool in a meaningful situation. Even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it's evident that immersion program can be one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English education i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to the experiment group's listening skill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in such affective domains as interest and particip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