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 0

부교재로서의 한국어 웹 교재 활용방안

Title
부교재로서의 한국어 웹 교재 활용방안
Other Titles
Methods of Using Web Textbooks of Korean as Auxiliary Textbooks
Author
이희진
Alternative Author(s)
Lee, Hee jin
Advisor(s)
박진호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웹 기반 한국어 교육 사이트가 부교재로서 수업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맞추어 교육 환경도 면대면 방식의 한정된 교실 수업에서 시 ?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는 교육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 수업은 기존의 전통적 수업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자료는 제한적인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한정된 교실 수업의 대안으로 웹 기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한국어 교육 사이트들이 개설되어 운용되고 있으나, 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존 사이트의 보완과 새로운 사이트의 개발을 통한 한국어 교육도 중요하지만, 현재 제작된 웹 기반 한국어 사이트를 실제 수업에 자료로서 활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웹 기반 한국어 교육 사이트를 부교재로서의 활용가치를 판단하고자 의사소통 영역, 언어 · 지식 영역, 사회 · 문화 영역으로 분석해 보았고, 실제 수업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자료의 원활한 활용을 위해 인터넷 카페 모형을 만들고 각 영역별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웹을 부교재로서 수업에 활용하면 학습자에게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면서, 학습자의 흥미와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 반영하지 못하여 검증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실제 수업을 통한 웹을 부교재로 활용하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다음 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ethods of using web-based education sites of Korean in class as auxiliary textbooks. Along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education environment has changed from the spatially limited face-to-face classroom education to the education beyond time and space. However, Korean class has maintained its existing traditional class method and the materials provided to its learners have been limited in reality. In order to supplement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web-based Korean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ed classroom education and several education sites for Korean have opened and operated; however, they have been in their initial stage and have not been actively used so far. In these situation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duct education for Korean through the supplement of existing sit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sites,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already produced web-based sites for Korean in actual class and to grope for the methods of sharing the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value of usage for the currently provided web-based education sites for Korean as auxiliary textbooks in the following sections such as communication, language & knowledge, society & culture. Then, it attempted to figure out the methods of using them in actual classrooms. Furthermore, it made an Internet cafe model for the smooth use of learning materials and suggested the class methods for each se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attract learners' interest and active and spontaneous participation as well as to provide them with realistic materials by using the web sites as auxiliary textbooks in class. However, it has not been reflected and verified in actual class yet. There should be further development of concrete and various class models that could use the web as auxiliary textbooks through actual class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4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6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