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 0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유아의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Title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유아의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uthor
권기정
Alternative Author(s)
Kwon, Gi Jung
Advisor(s)
전숙영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까지 국내에서 행해진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는 주로 초등학교 연령 이상의 아동들이었으며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유아에게 있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며 친밀감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이 시기에 어머니의 영향력은 그 누구보다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유아의 행동문제가 전반적으로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어머니 심리통제 수준에 따른 유아의 행동문제(과잉행동, 공격행동, 불안, 위축, 미성숙)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어머니 심리통제의 하위변인(자기표현제한, 감정불인정, 죄책감 유발, 애정철회, 불안정한 감정기복)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30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심리통제 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숙영(2007)이 번안하고 수정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행동문제척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chenbach(1991)가 개발한 아동 행동 평가척도(CBCL, Achenbach & edelbrock, 1983)를 한미현·유안진(1995)이 번안하고 수정하여 타당도가 검증된 1991년판 아동 행동 척도(CBLL)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적인 통계를 사용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통제수준은 전반적으로 중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행동문제는 과잉행동이 다른 행동문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통제 수준에 따른 모든 영역은 어머니의 심리통제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높은 집단은 모든 행동문제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유아의 행동문제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과도하게 유아의 심리적 영역에 대해 통제를 하는 것은 유아의 행동문제를 증가 시킨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심리통제는 유아의 행동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유아기의 행동문제를 예방하고 어머니의 심리통제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how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ver their children affects on follow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excessive conduct, aggression, anxiety, withdrawal, immaturity ). For this study, special atten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how is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general?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depending on the level of mother’s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Third, how does mother's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have effec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excessive conduct, aggression, anxiety, withdrawal, immaturity) The subjects were 300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or nurseries located in Gueonggi province. This research employed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index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o find out the index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s, CBCL (1991) - This tool was modified based on CBCL (Achenbach &edelbrock, 1983) and verified-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level was lower than normal groups and in case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s, excessive conduct was higher than other behavior problems.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scope of each level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In other words, the groups which showed high level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revealed high level of all behavior problems. Third, it was found that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relative influ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 That is to say, the more mothers expressed sentimental undulation to children, the more they control children’s psychological sphere with sentimental invalidity, love withdrawal, the higher were the inclination of children’s excessive behavior and agg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Mother's control over their psychological territory led to the increase of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Consequently, diversified and systematic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multilateral study plan regarding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should be requir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2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8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