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8 0

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Title
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Communication Style and Stress Coping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Romantic Relationships
Author
김경희
Alternative Author(s)
Kim, Kyung Hee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성인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성인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 간의 관계를 이해하여 대인관계, 커플교육 및 상담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이해를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 충남 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및 직장인 미혼남녀 30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성인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을 측정하였다. 연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유형은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는데, 안정형 애착일수록 이성 관계에서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이성적 갈등해결 전략, 긍정적 감정표현 전략 등의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해결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회피 전략,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 전략 등의 회피적이고 부정적인 해결 전략은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존적인 애착 유형을 보이는 회피형 애착일수록 외부의 도움을 요청하거나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경향이 높으며, 불안?양가형 애착일수록 이성적 갈등 해결 전략을 제외한 긍정적 감정 표현 전략, 외부 도움 요청 전략, 회피 전략,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 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유형은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하는 사람일수록 이성관계에서 이성적 갈등해결 전략과 긍정적 감정 표현과 같이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해결 방법을 많이 택하며, 문제 상황을 회피하기보다는 직면하여 처리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비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유형일수록 이성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 전략과 같은 부정적인 갈등해결 방법을 많이 사용하며, 문제 상황을 직면하기보다는 회피하려는 경향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다음과 같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를 하는 유형일수록 이성적 갈등해결 전략, 긍정적 감정표현 전략과 같은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해결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문제를 회피하는 경향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를 하는 유형도 이와 같은 양상을 보였으나, 외부 도움 요청 전략을 특히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완화 대처를 쓰는 유형일수록 회피 전략,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 전략, 외부 도움 요청 전략, 긍정적 감정 표현 전략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반면, 이성적인 갈등해결 전략은 드물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소망적인 사고로써 대처하는 것은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성인애착,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갈등해결 전략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 앞의 변인들이 갈등해결 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성관계의 갈등으로 고민하는 내담자들에게 자신의 애착 유형과 의사소통 유형,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유형을 파악하게 하고 나아가 각각의 능력이 향상되도록 돕는 것은 자신과 상대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갈등해결 전략을 이끌어 개인적 성장과 관계의 발전을 돕는 데 필요한 과정이므로 상담 장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resourc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 couples’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by examining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communication style, stress coping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romantic relationship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07 unmarried male/female college students and professional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who were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or had been b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dult attachment patterns significantly affected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he higher level of the secure attachment, the higher likelihood to be positive-emotional, rational and the less avoidant and negative-emotional-reactional when conflict occurs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it showed that they tend to be dependant on the other’s help, positive-emotional as the level of the avoidance attachment increases. Also, as the level of anxiety/ambivalence attachment increases the higher likelihood to be avoidant, dependant on the other’s help, positive-emotional, and negative-emotional-reactiona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s a result of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he efficient communication style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in rational problem-solving strategy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strategy of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o the opposite, the inefficient communication style showed the most positive correlations in avoidance strategy and negative-emotional-reactional expression strategy of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hird, the stress coping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of stress coping had the positive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nd then, the emotional relief coping and the wishful thinking coping of stress coping had the negative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2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8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