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0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Title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eacher's Customer Orientation
Author
김창환
Alternative Author(s)
Kim, Chang-Hwan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의 교실붕괴 현상은 정부의 일관성 없는 입시위주의 교육정책, 유교적 영향이 강한 일류 지향적 가정의 교육환경, 학생들의 의식변화 등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만들어 낸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실붕괴의 현상은 또한 교권을 붕괴시키는 결과를 야키시켰다. 붕괴된 교권을 회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일선 교사가 학생에게 다양한 욕구를(Needs and Wants) 충족시킴과 함께 기존의 교육방식을 탈피하여 사교육과 차별화를 시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학생에게 차별화된 교육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교사 개인수준의 노력과 학교 조직수준의 노력이 있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사 개인이 학생에게 다양한 진학 및 인성관련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생으로부터 고객만족을 이끌어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객만족을 이끌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생에 대한 고객지향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교권 회복의 한 가지 방법으로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대해 응용학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고객지향성 개념을 교육학 측면에 접목시켜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연구가설을 통계분석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연구가설에 해당되는 “교사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 그리고 직무만족이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균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직무만족의 요인값을 독립변수로 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의 설명력은 46%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0.0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연구가설로 “교사의 역할갈등은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p값이 0.05보다 적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역할갈등이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BETA: -.655)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가설로 “교사의 역할모호성은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p값이 0.05보다 크므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가설로 “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p값이 0.05보다 적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만족이 교사의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BETA: .140)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ustomer orientation can be viewed as the practice of the quasi marketing concept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teacher and student. Satisfied teacher may create Student satisfaction and increase over all School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customer oriented behavior, assuming preceding study on social exchange theory and mood in service encounter setting. The study on teacher's Customer Orientation. The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 First, Role conflict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Customer orientation. Second, Role ambiguity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Customer orientation. Third, Job satisfaction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250 respondence'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computer program. For questionnaire used, satisfactory reliabilities were veryfied by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alpha. In order to solve research proposal, Factor Analysis, Multi-Regression were performed. Finally, The only Third proposal was adopted. That is Job satisfaction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orient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1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2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