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1 0

경관생태학 이론을 적용한 도시생태공원설계연구

Title
경관생태학 이론을 적용한 도시생태공원설계연구
Other Titles
An Urban Ecological Park Design Stud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Landscape Ecology : A case study of Namyangju Jinjeop, Gyeonggi Province
Author
이민수
Alternative Author(s)
Lee, Min Soo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생태공원은 도시공원과 생태공원의 통합개념으로서 ‘자연’과 ‘사람’을 동시에 중요시하고 양자간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공원으로서 생물서식공간 조성, 서식처 보호?복원, 자연관찰 공간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소이다. 오늘날 전지구적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환경문제는 고도의 산업화, 지나친 도시화의 부산물로 지구의 자정력을 위협하게 되었고, 지구환경의 보전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자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새로운 경향의 맥락에서 경관생태학적 원리를 제시하고, 이론에 근거하여 경관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도시생태공원 조성계획 및 설계의 모형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경관생태학의 패치, 코리더, 매트릭스 이론 및 도시생태공원 관련이론을 고찰하고 국?내외 생태공원을 사례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지로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일대로 기존 자연자원인 수림지가 풍부하여 자연생태계의 온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배후산지와 녹지 네트워크가 가능한 남양주 진접지구의 보존형 근린공원을 선택하였다. 공원계획방향은 첫째, 종다양성 향상을 위한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둘째, 도시내 자연환경을 회복하도록 하였으며, 셋째, 도시속의 생태공원으로서 생태적 잠재력을 도입한 환경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주요 도입시설은 생태연못, 생태통로, 데크, 자연관찰학습원 등으로 최소화하였으며 설계방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정중심적인 전략적 설계를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레크레이션 및 에너지 위주의 공원에서 탈피하여 도심지에서 자연의 흐름과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공간 잠재력을 갖도록 하며, 자연과 문화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 상호에게 적합한 도시생태공원 조성계획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도시생태공원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환경, 조경, 생태 등 여러분야가 협력하는 다학문적인 계획과 설계방법 등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An urban ecological park combines the concepts of a traditional urban park with an ecological park, and focuses on harmony and bala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by providing biological habita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abitats, and nature observation spaces and programs. Modern environmental problems happening all over the world are threatening the earth’s self-purification ability through hi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has become an essential mission. In consequence, many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nature. Because of this trend, this thesis introduces the theory of landscape ecology, and presents a model of planning and design of urban ecological parks based on landscape ecology. This study considers the patch-corridor-matrix model from landscape ecology and other related theories about urban ecological parks, and presents some examples of urban ecological parks in and out of Korea. The primary site is the forest-preserved neighborhood park in the Jinjeop residential complex in Namyangju-si, Gyeonggi-do, which maintains a healthy ecosystem and creates a green network by keeping the original rich forest. The purpose of this park design is, first, to maintain the healthy ecosystem for biological diversity, second, to recover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city, third, to inspire environmental awareness through the ecological potential of an urban ecological park. The number of items introduced are limited to just an ecological pond, an eco-bridge, a deck, and a nature observation center. The designing method is a chronological, process-centered strategic method. This study will help urban ecological park planning to provide the potential to cope with the changes of nature, create a space that is suitable for both nature and humans, and inspire nature and culture, helping urban ecological parks supersede recreational and activity parks. Also to keep urban ecological parks active, various fields such as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ure, ecology have to coordinate joint research for methods of planning and desig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1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2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