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0

우리나라 비관세장벽 관리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비관세장벽 관리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Korean System for Government Management of Non-Tariff Barriers to Trade : Centering on the WTO/DDA NTBs Negotiation case
Author
한승권
Alternative Author(s)
Han, Seung Kwon
Advisor(s)
오웅탁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 국제무역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었던 관세장벽은 GATT 체제 성립 이후 지금까지 총 8차례의 다자간 무역협상을 거치면서 상당부분 제거되어 왔다. 그러나 세계 각국은 기술의 발전과 위생 및 환경 등의 이유로 각종 규제를 도입하게 되었고 이것이 국제무역을 가로막는 새로운 장벽, 즉 비관세장벽(non-tariff barriers)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무역환경의 변화 속에서 미국, 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자국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에 장애가 되는 비관세장벽을 제거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비관세장벽 관리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해놓고 있다. 그리고 이 관리시스템을 통해 축적한 비관세장벽 정보를 WTO DDA 협상과 FTA협상 에서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비관세장벽 관리 수준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필자는 WTO DDA NAMA 협상에 정부 협상대표로 참여하면서 우리나라가 비관세장벽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비관세장벽 관리시스템 도입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학자들과 국제기구마다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는 비관세장벽의 정의와 분류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필자가 참여했던 WTO DDA NMAM분야 비관세장벽 협상에서 우리나라의 대응 과정을 살펴보면서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검토해보았다. 아울러 비관세장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미국과 EU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들을 짚어 보았다. 그 결과 필자는 우리나라가 비관세장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비관세장벽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야한다고 결론지었다. 첫째, 미국과 EU 처럼 우리나라도 비관세장벽을 전담하는 관리기구를 설립하고 비관세장벽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D/B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현재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비관세장벽 실태조사를 일원화해야 한다. 셋째, 비관세장벽을 적법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으로 분류하여 부당한 비관세장벽들을 코드화하고 집중적으로 관리를 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비관세장벽 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비관세장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자 및 다자간 국제협상에서 우리기업들이 겪는 비관세장벽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in 1947, tariffs that had previously hindered international trade have largely been removed through eight rounds of multilateral negotiations. However, a number of countries have since adopted regulations that also have the potential to obstruct international trade, including various measures intend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o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hese regulations are known as non-tariff barriers. In the face of such changes in the trading environment,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and other major trading partners are making strenuous efforts to assist businesses by removingnon-tariff barriers. Those countries have established non-tariff barrier management systems and are utilizing information gained through those systems i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Doha Development Agenda talks, as well as in FTA negotiations. However, Korea’s non-tariff barrier management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When I participated in the Non-Agricultural Market Access negotiations as a member of the Korean delegation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Doha Development Agenda talks, I realized there was an urgent need to manage non-tariff barriers in a systematic way. Based on thatexperience, I have conducted research to determine what kind of system would work best in Korea. This paper examined various definitions of non-tariff barriers provi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xplained how they are classified. It also discussed Korea’s response to non-tariff barriers and related issues at the Non-Agricultural Market Access negotiations in which I have participated. Last, the paper reviewed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involving successful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non-tariff barriers, and offered recommendations for measures that may prove successful in Korea. After researching the ways in which various nations approach the management of non-tariff barriers, I hav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vestigation of non-tariff barriers, which many different parties carry out at present, should be overseen by one organization. 2. Korea should follow the exampl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and establish an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non-tariff barriers, as well as a database that will enable such management to be conducted in a systematic way. 3. Illegitimate non-tariff barriers need to be identified and assigned management codes, so that the new organization can address them with the greatest possible efficiency. By adopting such a system, Korea will be able to advocate more effectively in multilateral and bilateral trade negotiations for the elimination of non-tariff barriers that affect Korean compan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0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8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S](경영대학원) > DEPARTMENT OF BUSINESS AS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