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현-
dc.contributor.author오승현-
dc.date.accessioned2020-04-07T17:36:47Z-
dc.date.available2020-04-07T17:36:47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05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661en_US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전 세계는 정보 및 통신 기술의 발전, 교통수단의 확대 등으로 인하여 국경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하나의 단위체로 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단일 문화를 강조하는 것이 무의미해졌으며, 타문화를 탄력적으로 수용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새로운 문화 아이콘들을 만들어가는 것이 또 하나의 국가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 또한 1990년대부터 역수입되기 시작한 동남아 및 중국 출신의 이주 노동자들로 인하여 더 이상 단일 민족, 단일 문화국가가 아닌 다민족, 다문화 국가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다. 국내에 유입되고 있는 이주 노동자들은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노동력으로서의 가치 뿐 만 아니라 그가 속했던 타국가의 인문 ? 사회적인 배경까지 한국 사회로 이어주는 문화 전달자의 가치까지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주 노동자들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가 지니고 있는 고질적인 단일 민족의 허상과 저개발국가 출신들에 대한 선입견, 권위와 위계의식, 보이지 않는 인종 차별의식으로 인하여 이주 노동자들을 사회적으로 통합하지 못한 채‘주변인’으로 남겨둔 상태에 있다. 이에 한국에서는 2004년‘외국인 고용 허가 등에 관한 법률’을 공포하고, 이주 노동자가 국내에서 하는 근로 및 관련 행위들을 법적으로 보장하게 되었다. 또한 그 법률을 기반으로 이주 노동자의 기본 생활 및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민간 및 정부 차원의 시설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지원 시설의 여러 가지 한계 상황들로 인하여, 내국인과 이주 노동자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어내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결국 이주 노동자 지원시설은 이주 노동자의 인권 보호라는 기본적인 역할 뿐 만 아니라 이주 노동자들이 지닌 서로 다른 문화적 성향을 이해하고, 담아내며 나아가 그 문화들을 서로에게 전파하는 과정을 통해 이주 노동자가 한국 사회에 능동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야 한다. 결국 한국 사회가 단일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시점에 있어, 제시하고자 하는 문화시설을 통하여 내국인과 외국인들 사이에 소프트한 교류의 가능성을 생성하고자 한다. 또한 그러한 교류 가운데 서로가 각국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며, 타문화를 존중할 수 있는 열린 사고를 구축해나가게 되길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사회적 경계 해소장치로서의 성수동 이주 노동자 문화원 계획안-
dc.title.alternativeA Design of Seongsu-Dong Migrant Workers Culture Factory as Social Border's Breake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오승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Oh, Seung Hy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건축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디자인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