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복희-
dc.contributor.author김차희-
dc.date.accessioned2020-04-07T17:34:29Z-
dc.date.available2020-04-07T17:34:29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00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73en_US
dc.description.abstract철학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원리와 삶의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간은 사회 · 문화적 배경 하에서, 자연 이치와도 같은 사유구조를 자연 체득 하게 된다. 인간에게 있어 정신문화는 인간의 역사를 끌고 가는 보이지 않는 생명체이다. 예술에 있어서 바로 이러한 정신적 기반은 더욱더 중요하며, 연구의 가치가 매우 높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핵심 소재는 동양철학에 근거한 이기사상이다. 한국인의 전통사상과 문화 배경에서 동양적 측면을 배제해 버릴 수 없듯이 우리 문화 연구에서 이를 가치 있게 여겨야 함은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동양사상, 즉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춤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국인의 전통사상의 큰 줄기가 동양사상 즉, 동양철학에 근거함을 기초로 하여 첫째, 춤 연구에 앞서 한국 문화 전반에 흐르고 있는 정신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전통사상과 춤의 심성과 의식에 관해 조명하고자 한다. 둘째, 이기사상의 배경(背景), 이기(理氣)의 개념과 이기(理氣)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기관(理氣觀)을 개설하고자 한다. 셋 째, 앞서 밝힌 전통사상과 춤이 지닌 심성과 의식을 본 논문의 연구 주제인 이기관(理氣觀)과 연계(連繫)시켜 ① 우리 춤의 美의식과 이기사상과의 관계 ② 춤 사상과 이기사상과의 관계 ③ 춤 형식과 이기사상과의 관계를 연구 하고자 하였다. 연구되어진바 동양적 사고와 자연관, 전통사상을 통해 우리민족은 고대로부터 자연과 인간은 대립관계라는 사고가 아니라 인간도 자연현상의 하나로 보는 자연 순응의 심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美의식은 자연주의적 심성을 토대로 한다. 우리의 철학적 사유가 우리 춤 문화 형성의 내면적 실체로서 작용되었음을 감안해 볼 때, 춤의 자연주의적 심성은 이기사상과 관계 깊다. 이기론(理氣論)이란 간단히 말해 이(理)와 기(氣)의 원리를 통해 자연 · 인간 · 사회의 존재와 운동을 설명하는 성리학적 이론 체계이며, 이기사상과 음양오행은 동양 철학적사고의 바탕이며, 유교전통에 뿌리를 갖고 있다. 율곡 이기설의 핵심 사상은 <이기지묘(理氣之妙>이다. 이러한 栗谷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함께 理와 氣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기발이승(氣發理乘)>과 <이통기국(理通氣局)>이 있다. 율곡은 이기지묘에서 이(理)와 기(氣)를 ‘이자일체(二者一體) 혹은 이이일(二而一)’로 인식하고 상호의존적, 상호보완적이라 하였고,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에 따라서는 상호불가결(相互不可缺)이라 하였다. 이와 기의 발용의 측면에서는 이와 기를 ‘理無爲 氣有爲’라는 개념 하에. 理를 떠나 氣 단독으로는 기의 발용 자체가 불가하다는 말로서 율곡은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율곡은 그릇의 비유를 들어 그릇과 물, 병과 공기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듯, 理의 보편성과 氣의 국한성도 하나의 존재 양상이어서, 理의 차원에서는 하나인데, 氣의 세계에서는 나누어지게 되는 것은 이기(理氣)의 속성(屬性)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율곡의 이기통국은 이(理)만도 아니고, 기(氣)만도 아니며, 이(理)의 통(通)함과 기(氣)의 국한됨(局)이 하나로 묘융된 이기지묘의 세계를 말하였다. 이제까지 연구되어진 춤 사상의 근간이었던 태극, 음양오행, 천일합일의 삼재사상이다. 이기사상의 관점에서 볼 때 理와 氣는 모든 만물의 근본이자, 만물운행의 이치이자 원리이다. 곧 理와 氣는 위에서 언급한 춤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큰 그릇으로 모든 만물(萬物)과 이치(理致)의 시원(始原)이기도하다. 따라서 춤 사상은 이기사상의 본질적 실체물이며, 이것들은 이기지묘의 묘합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춤 원리 구조의 음양원리, 오행원리, 태극원리로서 이것들의 핵심은 역동성, 생명성, 창조성, 다양성에 있다. 지속적인 변화 속에 완벽한 질서구조가 성립되어있는 자연원리 즉, 理氣原理는 본질적으로 같다. 이러한 춤 원리를 이기사상적으로 풀면 ‘이기지묘의 조화’, ‘리통기국의 순환’ ‘이일분수의 창조성과 다양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음양오행원리는 모든 길과 통(通)하고, 결국 理와 氣도 통하는 것이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순화원리는 끊임없는 변화와 결국 다시 회귀하는 반복의 구조이다. 그러므로 이는 이기통국, 이기지묘이다. 정 · 중 · 동의 형식은 다스름에 의한 조화와 균형체제이다. 여기에서의 조화는 이기지묘이며, ‘중(中)’은 이기통국의 전제하에서 가능하다. 이처럼 한국 춤에 담긴 엇박의 개념이나, 정 · 중 · 동의 중(中)의 개념은 이기통국을 통해 설명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반복과 순환의 형식은 이(理)와 기(氣)의 운행원리와 通한다. 마음에서 시작되어지는 춤의 정신은 신체와 표리(表裏)의 관계이다. 이와 같은 춤의 구조는 ‘기발이승’하기 때문으로 설명되어진다. 즉 이기지묘, 기발이승, 이기통국의 원리는 서로 뗄 수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구조는 한국 춤과 완벽한 일치를 이룬다. 인간의 사상은 철학적 사유의 결과물 이어서 철학적 사유의 원인과 방법은 중요한 요소로서 인정되어져야 한다. 이제까지의 우리 춤 연구에서 우리는 ‘우리 춤의 정 · 중 · 동, 쪼갬과 나눔, 맺고 품, 대삼 · 소삼 등’과 같은 결과물에 원인(이유)을 음양, 오행, 태극 등의 원리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정중동의 중(中)’의 개념이나 ‘쪼갬과 나눔 속의 엇박’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이치의 사유구조(思惟構造)를 설명할 수 있는 철학적 근간의 뿌리를 이기사상 원리가 확장시켰다. 형이상학적 명제를 논하는 것이 철학이다. 우리의 춤의 결과물, 원인, 그리고 원인의 사유구조를 서양 철학이 아닌, 동양 철학의 사유 체계를 빌어 연구하였음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hilosophy is the study of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human being and the world and the nature of life. A human being comes to naturally acquire the cultural mechanism under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In human society, the spiritual culture is the invisible force that leads the human history. Furthermore In arts, this very spiritual foundation is also important and its study would be valued hig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verify the spiritual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The foundation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 is largely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Therefore, the spiri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should be considered first, prior to the study of the dance itself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Korean traditionalism spread across Korean culture. Second, it i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iew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with a focus on their background, their concept and their relationship. Third, to investigate ①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 sense of Korean dance and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②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ought of dance and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nd ③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dance and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by linking the above-mentioned traditional thought and the spirit inherent in dance, and the view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Korean people had the mentality of compliance to nature that did not view nature and man as the thinking of their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but viewed that man is one of the natural phenomena from an ancient times. Therefore, our aesthetic sense is based on the naturalistic mentality. Considering that our philosophical thinking came to act as the inner entity of forming our dance culture, the naturalistic mentality of da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thought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Simply speaking, the doctrine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is the theoretical system of Sung Confucianism that explains the existence and movement of nature, man and society through the principles(li) and the atmospheric force(chi). The thought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nd the thought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are the basis of oriental philosophical thinking and is rooted in the Confucian tradition. The core thought of Yukgok's doctrine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is 'the wonder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long with this 'wonder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Yukgok, there are 'Kibalihseung' and 'Ihtongkikuk' that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In his doctrine of the wonder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Yukgok understood the basic principle and the atmospheric force as two but one or one by two and viewed them as interdependent and mutually supplemental. And he mentioned that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re not separate and accordingly mutually indispensable. In terms of the generation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the atmospheric force cannot work without the principles under the concept that 'the principles does not work but the atmospheric force works. In this context, Yukgok insisted on the 'doctrine of the principles expose themselves and the atmospheric force jumps on it'. Yukgok used the metaphor of the 'container'. As the container and water, and the bottle and water are indivisibly related, the universality of the principles and the limitedness of the atmospheric force are one modality of existence. He viewed that it is because the difference in the attribute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that they are one in the dimension of the principles and divided in the dimension of the atmospheric force. Yulgok's doctrine that 'the principles are universal but the atmospheric force is limited' refers the world of the wonder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 foundation of the thought of dance thus far investigated is the Great Absolute,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the unity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Seen from a perspective of the thought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they are the basis of all things and the reason and principle of their movement. That is,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re the large container including the thought of dance and the source of the reason of all things. Accordingly, the thought of dance is the essential entity of the thought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nd they are composed of the principle of unity of their wonder. The structural principle of dance includes the principles of the Great Absolute, the Five Elements and the Yin and Yang. Their core consists in dynamics, vitality, creativeness and diversity. The natural principle in which the perfect order structure is established in ongoing changes and the doctrine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re the same. If this principle of dance is interpreted from a perspective of the thought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it can be explained as the 'harmony of their wonder', the 'circulation of the universal principles and the limited atmospheric force' and 'creativity and diversity of the doctrine that each principle of all things is identical with one universal principle'. The principle of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communicates with all ways and after all,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he circulation principle of compatibility and incompatibility of Yin and Yang is the structure of endless change and repetition that recurs again. Therefore, this correspond with the doctrine that the principles are universal but the atmospheric force is limited, and their wonder. The form of movement in stillness is the system of harmony and balance by control. Here harmony is the wonder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and possible only under the premise that the principles are universal and the atmospheric force is limited. Like this, the unmatched beat contained in Korean dance or the concept of movement in stillness can be explained only through the doctrine that the principles are universal and the atmospheric force is limited. And the form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corresponds with the working reason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The spirit of dance beginning from the mind is closely related to the body. This structure of dance is explained because the principles expose themselves and the atmospheric force jumps on it. That is, the doctrines of the wonder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the doctrine that the principles expose themselves and the atmospheric force jumps on it and the doctrine that the principles are universal but the atmospheric force is limited are structurally indivisible. This structure is perfectly consistent with Korean dance. Since human thought is the product of philosophical thinking, the cause and method of philosophical thinking should be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elem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reason(cause) of the products such as movement in stillness, splitting and division, uniting and disuniting, Daesam and Sosam of Korean dance' using the doctrines of Yin and Yang, the Five Elements and the Great Absolute. But they are not enough to explain the concept of 'in' of movement in stillness and the unmatched beat in splitting and division. The thought of the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provid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that can explain the thinking structure of this reason through this study. It is philosophy to discuss the metaphysical proposition. An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product, cause and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using the thinking system of oriental philosophy, not western philosoph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인의 이기관(理氣觀)과 춤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Relevence betwee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raditionalism-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차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Cha 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