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운미-
dc.contributor.author서민정-
dc.date.accessioned2020-04-07T17:34:20Z-
dc.date.available2020-04-07T17:34:20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00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55en_US
dc.description.abstract무용은 우리 인간의 신체 그 자체를 표현수단으로 하여 인간의 다양한 내면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어떠한 춤을 보더라도 성에 대한 특성을 조화롭게 표현함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우리 전통춤 승무는 한국 민속춤의 정수로 현재 중요 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크게는 한영숙류의 경기승무와 이매방류의 호남승무로 대별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이매방류 승무는 구한말 법고의 영향을 받아 기방 예인들의 예술성과 미적 감각을 통해 지금까지 전승 발전 되어 온 예술성이 뛰어난 우리 전통춤이다. 승무 춤사위에 나타난 미적특성으로는 그 춤사위가 맺고, 푸는 정적인 동작과 동적인 동작이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장삼놀음이 주가 되는 춤으로 장삼자락을 뿌릴 때는 자유와 환희의 기쁨을 느끼며 그 뿌림은 완전한 분출이 아닌 절제하고 또 절제하여 버리지 않는 남김의 여운을 가지게 하는 절제미를 자아낸다. 그리고 고깔에 가려져 있는 우수의 찬 얼굴의 표정과 고깔의 뾰족한 선, 하얀 버선코의 나타난 맑고 순수한 인간 본연의 예술성이 돋보이는 점, 대삼소삼의 춤사위로 장삼을 이용해 뿌리고, 엎고, 제치는 사위와 기교적이고 섬세한 발놀림의 동작들로 내면의 깊은 세계를 표현하는 정신적, 육체적 양면 모두에서 한국의 정서를 잘 표현해주고 있다. 또한 춤사위에 있어서 원형으로서의 공간구성을 추구하며 인간의 자유로움을 마음껏 표현하는 사방춤의 특징과 역동적이고 호탕한 매력의 남성적인 동작과 여성스러운 교태로움이 더하여 정중동의 조화, 여백의 미를 잘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 전통춤 승무의 체계적 이론화 작업의 일환으로, 승무의 춤사위에 나타난 남성의 특성과 여성의 특성을 구분하여 고찰해 보기위해 브로브만(Dr, Inge Komers Broverman)의 남성성과 여성성의 구분 및 한나(Dr. Judith Lynne Hanna)의 구분 방식과 승무 춤사위에 내재된 음양사상적 특성을 대비 치환 하여 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승무 춤사위에 나타나는 남성적 특성은 동적이고 강하며 시선은 위를 향해 자신감이 넘치고 동작의 선이 수직과 수평을 이루며 진취적이고 상승의 외향적 기운이 표출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바 대표적인 춤사위로는 팔 일자펴기, 퍼넘기기, 비정비팔, 뒤로뿌림, 앞으로뿌림, 위로뿌림 등을 들 수 있겠다. 여성적 특성으로는 소극적이고, 부드러우며, 섬세하고, 감추고, 움츠리며, 억제하고, 감정적이고, 민감하고, 조용하고, 온정적이며, 직관력이 있는 등 여러 가지 요소들로 구분되어지는데 이러한 형태의 특성들이 나타나는 승무의 춤사위들은 대표적으로 몸통비틀기, 모음, 꼬리치기, 학체, 감기, 팔 내리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동작들의 공통적 속성을 살펴보면 시선과 머리는 주로 수줍은 듯 아래로 향하고 두 다리를 모아 상체를 숙이는 동작 등으로 땅과 합일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양팔은 아래를 향하거나 다소곳이 모아져 있는 동작들로 음의 특성들로 표현되고 있으며 동작의 선은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음을 들 수가 있겠다. 이와 더하여 승무는 남성과 여성의 특성이 함께 반영되어 양성의 특성이 한 동작 안에서 조화를 이루는, 즉 음의 꼬리를 양이 물고 양의 꼬리를 음이 물어서 끊임없는 순환에 의해 하나의 태극이 생기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태극은 우주의 본질적이고 절대적인 원기이며 모든 만물이 생겨나는 우주의 원리로써, 다중적 형태의 성적특성이 잘 나타나 있으며 이러한 춤사위들의 특징은 변화가 무쌍하며 인간 본연의 고귀함이나 번뇌를 남녀의 성적 특성과는 초연하게 은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승무의 춤동작들 속에 내포되어 있는 음양사상적 특성이 은유하고 있는 섹슈얼리티의 특성을 잘 융화시켜서 승무의 춤사위 각 동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성적인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렇듯 다양한 우리 전통춤의 체계적 이론화 작업도 우리 무용인들의 중요한 과업이라 하겠다.; Dance is an art which uses our human body itself as a medium to express diverse human insides.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for any dance to express sexual characteristics harmoniously. Our traditional dance Buddhist Dance is a core of nation's folk dance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27. It may be divided in large into Han Young-sook's Gyeonggi Buddhist Dance and Lee Mae-bang's Honam Buddhist Dance. The latter dance reviewed by this study was affected by "Beopgo" during late Han dynasty. It would be inherited and developed through entertainer girl artists' sense of arts and aesthetics. In short, Lee Mae-bang's Honam Buddhist Dance must be one of our traditional dances highly artistic. In terms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Buddhist Dance consists of static and dynamic motions in harmony; the former motions tie and untie the body. Moreover, it is dominated by 'Jangsam'(long-sleeved Buddhist robe) play. When the robe is released, a sense of freedom and pleasure is invoked. The release is not a complete venting-out but a controlled and reserved motion invoking a sense of controlled aesthetics. In both mental and corporal terms, our Korean emotion inside and outside is well expressed by various elements of the dance: the sentimental facial expression hidden behind the peaked hood, the pointed line of the hood, the clear and pure human nature symbolized by the white 'Beoseon' (socks) noses, the skillful motions of releasing, winding and turning out the robe (great and small robe motions), sophisticated and delicate foot motions, etc. Furthermore, the dance motions pursue a space structured as prototype, All in all, the Buddhist Dance shows not only dynamic and magnanimous masculine movements but also coquettish feminine movements to feature a harmony between static and dynamic as well as an aesthetic of reservation. In order to review the Buddhist Dance movements by dividing them into masculine and feminine ones and thereby, theorize it systematically, the researcher reviewed Dr. Inge Komers Broverman's theory and Dr. Judith Lynne Hanna's one about division of masculinity and feminity in reference to the Yin and Yang ideas inherent in Buddhist Dance movement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masculine characteristics shown in Buddhist Dance movements are dynamic and powerful movements, confident upward-looking eyesight, vertical or horizontal moving lines and progressive and ascending expression of the external energy. The model dance movements deemed masculine are horizontal stretch of arms, turning back of arms, neither parallel nor toeing out feet, backward release of arts, forward release of arms, upward release of arts, and so on. The feminine characteristics are passive, soft, delicate, concealing, contracted, controlled, emotional, sensitive, quiet, warm-hearted and intuitive elements. The model movements feminine are body twisting, body collection, tail swaying, crane form, winding, downward release of arms, etc. The common attributes of such feminine movements are shy eyesights and head downwards, bent upper body with two legs converged, etc. Such movements seem to pursue a union with the earth. In addition, the arms pointed downwards or the shyly converged motions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Yin, while the moving lines are softly curved. In addition, Buddhist Dance reflect both masculine and feminine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exes strike a harmony within a motion. Yang bites the tail of Yin, while Yin bites the tail of Yang. Such incessant cycle would lead to a Taichi, which is the essential and absolute aboriginal source of energy for the universe as well as the principle of universe generating everything. In short, Buddhist Dance shows bi-sexuality well. Such dance movements metaphor incessantly changing universe, human dignity and agony aloof from gender characteristics.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reviewed the Yin and Yang ideas connoted in Buddhist Dance movements as well as the sexuality inherent therein and thereby, theorized the sexuality expressed by each movement of the dance. It is conceived that our dancers are obliged to theorize our diverse traditional danc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승무 춤사위에 내재된 성적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Sexuality inherent Buddhist Dan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서민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uh, Min Jeo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한국무용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