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 0

시각 차폐도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단지 계획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Title
시각 차폐도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단지 계획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Building Design Principl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View Blockage Ratio in the of Apartment Complexes
Author
김채련
Alternative Author(s)
Kim, Chae Ryun
Advisor(s)
여홍구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효율성 높은 개발을 위해 공동주택 단지의 밀도는 최대로 하며 내부에서의 시각적 개방감은 최대로 하는 주동의 형태와 배치의 단지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 단지 개발 형태는 단지 내부의 개방감을 향상시키나, 단지 외부에서의 위압감이나 시각적 차폐감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도시경관 관리에 있어서 공동주택 단지의 주동형태와 배치의 중요성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주택 단지 개발에 따른 시각 차폐도와 바람직한 단지 계획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단지의 경관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시각차폐 지표에 대해 알아보고,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단지의 주동형태와 배치에 따른 시각 차폐도를 비교ㆍ분석하여, 시각 환경개선을 위한 공동주택 단지 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동주택 단지의 경관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시각차폐 지표를 선정하고자 현행 심의기준의 지표와 선행연구ㆍ문헌에서 제시한 지표의 개념과 장단점을 면밀히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사용된 빈도를 측정하였다. 단지 내부의 시각차폐 지표로서 입면 건폐율, 단지 외부의 시각차폐 지표로서 입면 차폐도와 투시투영 입면차폐도를 선정하였다. 위의 지표를 바탕으로 현재 개발되었거나 개발 계획이 완료된 공동주택 단지의 주동형태와 배치를 분석하여 판상형, 탑상형, 혼합형의 주동으로 분류하였고, 이에 따른 배치를 유형화하였다. 각 유형에 적합한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여 시각 차폐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도시계획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동일한 규모로 개발되는 공동주택 단지라 해도 주동의 형태와 배치에 따라 단지 내외부의 시각 차폐도는 달라진다. 단지의 밀도ㆍ규모와 단지 내외부의 시각 차폐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공동주택 단지 개발에 있어 건폐율이나 용적률 등 물리적인 밀도의 고려 뿐 만 아니라 단지 내 주동의 개수, 층수의 범위에 대한 고려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단지 외부의 시각 차폐도는 대지경계부에 인접한 주동의 형태와 배치에 큰 영향을 받는다. 혼합형 단지의 경우 탑상형 배치보다 판상형 주동 배치에 따라 시각 차폐도에 차이가 있으며, 판상형 주동의 긴 면이 단지경계에 평행하게 배치될 때, 외부의 시각 차폐도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탑상형 유형은 다른 유형의 단지보다 내부의 시각 차폐도는 작아 내부 시각 환경은 좋으나, 주동의 배치에 따라 단지 외부의 시각 차폐도는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배치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셋째, 공동주택 단지는 주동형태와 배치에 따라 단지 내외부의 시각 차폐도는 달리 분석되어 도시경관의 조망 확보 및 가로경관의 향상을 위해 거주자 뿐 만 아니라 단지 외부에서 조망하는 공공의 시각 환경을 모두 고려한 단지계획이 실행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의 시각차폐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 거주자와 공공의 입장을 고려하여 선정한 지표로 주동형태와 배치유형별 시각 차폐도를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 단지의 주동형태와 배치 유형화에 있어, 단지의 지형적 조건과 주변현황을 고려하지 못해 시각 차폐도 분석을 통한 단지 계획방향 설정을 위한 보편타당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각 유형에 맞는 더 많은 사례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recent years, many apartment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with efficient types of building forms and layouts, which seek to open view sand to increase the density of buildings. Although some might argue that the building designs could also improve the openness of the apartment complex inside, such consideration can lead to coerciveness doesn't make sense and view blockage of the outside. To resolves these issues, types of building forms and layouts in apartment complexes have becom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favorable views from and around apartment buildings. However, until now, researches on view blockage ratio and planning guidelines for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insufficient. By recognizing the view blockage ratio as a standard for landscape assessment of apartment compl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blockage ratio of the form and layout type of housing, and to propose apartment complex planning guidelines to improve views of the environment. In this study, indexes of deliberation standards and preceding studies and documents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ir properties and validities, Then, the frequencies of the methods that were used in the preceding studies were evaluated. Next, the elevation building coverage ratio as an index of view blockage ratio inside of the building site was selected, as were elevation blockage ratio, and perspective projection blockage ratio as the indexes outside. Constructed and under-construction apartment complexes were next analyzed with the indexes and categorized into board-type, tower-type, mixed-type, and finally, the layout types were classified. The results of the view blockage analysis of the classified ca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izes of apartment complexes were the same, the view blockage ratio could be represented differently in relation to the form and layout type of the housing.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of the apartment complexes and view blockage ratio of the apartment complexes was examined.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buildings and the number of floors as well as the building coverage ratio & floor area ratio in apartment complexes. Secondly, this study found that the view blockage ratio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site was affected by the form and layout type of the buildings that were adjacent to the boundary of an apartment complex. In the case of a mixed-type, the influence of a board-type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a tower-type in the view blockage ratio. When board-type buildings were found to stand along the boundary of a site, the view blockage ratio of the outside was estimated to be the largest. Although, the inside view environment of tower-type buildings was more favorable than other type buildings, the view blockage ratios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s were meas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ayout type. Finally, the view blockage ratio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were estim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orm and layout type. This indicates the need for better site planning that considers both residents' and public views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to incorporate both tenants' and public views of the environment, using proper, verified indexes, Although this paper investigated. several studies to analyze and verify the hypothesis, the numbers of cases were limited and the landforms and environments of the sites were not considered. In futures studies more diverse sites and cases should be adopted to increase the scope of the researc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9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