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5 0

TOD 계획요소별 대중교통 이용효과 분석

Title
TOD 계획요소별 대중교통 이용효과 분석
Other Titles
Impacts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in Seoul Rail Station Areas
Author
박지형
Alternative Author(s)
Park, Jee hyung
Advisor(s)
노정현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research effort aims at analyzing the actual effect of transit oriented developments (TOD), and finding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in order to establish an appropriate way for the implementation of TOD, which has been emerging as a new paradigm for urban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research effort first studied the definition and its expected effects of TOD, and then identified various planning element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OD and specific variables for each planning element, which can reflect apparent patterns in exiting urban areas. In addition, this research effort classified the planning element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it supply, land use, and urban arterial highways and building along the arterial highways. This approach was intended to improve the current practice of TOD, which is currently oriented to land use only, by introducing more elements in the planning procedure. This research effort selected developments of rail station areas in Seoul, Korea as a test-bed. This is because many of rail station area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OD. In addition, the author could utilize the data from Seoul bus-cards, which are us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riding buses and subway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demands, which was includ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research. In-depth, the entire Seoul bus-card use data collected during April 2007 were divided into a set of weekday-use data and a set of weekend-use data. Each data set was aggregated according to rail station area,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For this aggregation, the author included the bus-card use data used in the bus-stops located within 500 m from each rail station in order to consider traffic demands under the coverage of each rail station area. This research effort established an effect analysis model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variables for the diverse planning elements for TOD introduction in a realistic manner.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research effort set up an effect analysis model for each planning element as well as an effect analysis model between the planning elements through dividing and integrating potential variables. The effect analysis model for each planning elem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effect analysis mode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it supply, land use, and arterial highways and buildings along the arterial highways. In each model, total demand, bus demand, rail demand is includ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model calibration indicated that all statistics reside within significant level, the signs of factor loadings turned out reasonable. Based on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research effort found significant results by each model and each planning element as following; 본 연구는 최근 관심사로 대두되는 대중교통지향형도시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에 대한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TOD 계획요소별 실증효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론고찰과 문헌검토를 통하여 TOD의 개념과 기대효과를 살펴보고 TOD를 추진하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계획요소와 계획요소별로 국내 기성시가지 형태를 대변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OD 계획요소를 크게 대중교통특성, 토지이용특성, 그리고 가로망 및 건물특성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기존의 토지이용중심의 역세권 개발개념에서 진일보된 TOD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TOD 개발에 대한 효과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TOD의 개념으로 추진되고 있는 서울시의 역세권개발을 사례로 선정하고 관련자료를 구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로 활용될 교통수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였다. 교통카드자료는 2007년 4월의 평일과 휴일자료를 각각 활용하였고, 비집계화된 자료를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역세권별로 집계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버스수요의 경우 역세권 범위내의 이용수요만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반경 500m내에 있는 버스정류장을 별도로 파악하고 해당되는 정류장을 이용한 수요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계획요소 및 관측변수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잠재변수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정립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다중방정식모형과 요인분석이 결합된 형태로 응용력이 우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변수의 분리 및 통합을 통하여 계획요소별 효과분석모형과 계획요소간 효과분석모형의 두 가지를 구축하였다. 계획요소별 효과분석모형은 대중교통공급특성, 토지이용특성, 그리고 가로망 및 건물특성 효과분석모형을 각각 정립하였다. 또한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속변수는 총수요, 버스수요, 철도수요, 그리고 환승수요를 고려하였다. 계획요소간 효과분석은 대중교통공급특성과 토지이용특성 두 가지를 비교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정산결과 각 모형들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의 요인부하량과 통계값이 대부분 유의하며, 요인부하량의 부호도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OD 추진시에는 토지이용중심의 계획에서 토지이용계획과 대중교통공급계획을 동시에 수립하는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대중교통 측면에서는 양적공급 외에도 정류장수와 같은 특성변수에 대한 세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용적률 인센티브 중심의 고밀개발을 유도하기 보다는 고밀개발과 복합적 토지이용을 동시에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용도별 용적률 차별적용 등을 통하여 역세권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승용차 이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교통수요관리방안 기법이 병행되어야 하며, 간선도로변 중심의 선형개발보다는 대중교통결절점 중심의 공간개발이 바람직하다. 넷째, 철도이용 활성화를 위한 철도와 타수단간의 연계교통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서울시의 경우 환승이나 접근성 측면에서 볼 때, 도보뿐만 아니라 버스도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1. Both land use plan and public transit supply plan should be included in the implementation of TOD 2. It is more desirable to balance the use of a high-density development approach using an additional incentive of floor space index with the use of integrated land use than to induce high-density development only 3. TOD should be parallelized with traffic demand management in order to control the extreme use of passenger cars 4. Area development centered on a node of public transportation is more desirable than liner development along urban arterial highways 5. It is necessary a guideline for an arterial and urban design, which is intended to recommend the use of nature-friendly transportation modes, including walking and bicycl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9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1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