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9 0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유에 관한 연구

Title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reedom Of Kim Sooyoung's Poetry
Author
오영진
Alternative Author(s)
Oh, Young-jin
Advisor(s)
이승훈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김수영의 시 세계를 일정한 인식과 방법에 의해 추동된 결과로 보고 그의 문학의 핵심적인 특질인 '자유'를 통해 그의 시 세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전기 시와 후기 시의 변화는 외재적 요소인 4.19에 의한 일방적인 변화가 아니라 '자유'라는 일정한 인식에 의해 추동된 결과로 파악한다.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자유는 초기 시 「공자의 생활난」에서 볼 수 있듯이 과거질서와의 단절을 통해서 추구된다. 이러한 부정의 태도는 모더니즘의 영향력으로 판단된다. 시인은 이를 위한 조건으로 독창성을 중시한다. 이는 새로움을 추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사는 일까지 포함한다. 때문에 부정성을 통해 자유를 구하기 위해서 내부적으로 끝없는 자기창조와 자기파괴의 윤리가 요청된다. 또한 외부적으로는 예술적ㆍ사회적 금기에 대항하는 불온성을 추구하게 된다. 4.19 이후 김수영 시는 전기와는 달리 현실을 직시하고 긍정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자유를 추구하는 방법도 달라진다. 외부사물을 긍정하면서 스스로를 자기원인적인 것으로 만드는 능력 속에서 자유를 획득하게 된다. 이는 부정성을 통한 자유와 모순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더욱 심화된 능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뒤떨어진 것을 인정함으로 앞서게 되는 역설 속에 자유가 실현된다. 이러한 자유의 추구 속에서 세계 내 유한성을 인식하는 겸손의 태도가 나타난다. 또한 사물을 과정으로 바라봄으로서 사랑의 이행에 있어 더욱 구체적인 방법을 얻게 된다. 중요한 것은 후기 시가 보여주는 세상에 대한 긍정성이 전기 시가 보여준 부정성의 반대가 아니라는 것을 파악하는 일일 것이다. 김수영의 후기 시는 한때 불화를 겪었던 세상과 곧바로 화해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니다. 후기 시가 보여주는 세상에 대한 긍정성은 자신을 둘러싼 외부 사물에 잘못 부여된 관념을 제거하고 난 후 순수한 가능성으로서 존재하게 된 세상을 향한 것이다. 전기 시가 선적(線的) 시간의 축에서 과거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자유를 추구한다면, 후기 시는 고정된 관념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자유를 추구한다. 전자와 후자를 구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기 시의 부정성이 선적(線的)인 시간의 축에서 과거를 부정하는 방식 즉 과거와의 싸움에 주안점을 둔다면, 후기 시의 부정성은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사유하기 위해 일체의 고정된 결과물로 보지 않으려는 방식, 즉 미래로의 시선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전기 시의 자유는 부단히 현재를 유지하는 일에서 발현되며, 후기 시의 자유는 과거를 부정하여 현재를 유지하는 일보다는 도리어 과거마저도 잠재된 미래로서 적극적으로 사유하는 일에서 발현된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한쪽은 싸움을, 다른 한쪽은 사랑의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모더니스트로서 자신이 부정했던 과거의 질서를 다시 긍정하는 자기모순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때 그가 긍정한 '무수한 반동'들 즉 '요강', '망건', '장죽', '종묘상' 등은 낙후한다는 관념이 제거된 후, 순수하게 하나의 시작점으로 바라 볼 수 있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단지 과거의 시간과의 싸움에 불과했던 부정의 정신은 이제 사물들에 부여된 잘못된 관념마저 부정하면서 자유의 조건을 더욱 공고히 만들고 있는 것이다. 김수영의 시세계에 있어 부정성에서 긍정성으로 변화된다는 것은 부정의 정신의 심화를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Kim Soo-young's poetry viewed in the 'freedom' which is the core characteristic of his writing, considering his poetry world view as results of constant understanding and the method. Especially, the changes in the poetry between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are apprehended as results not by the 4.19 Revolution assumed as constant change and, rather external part, but by the freedom which is constant perception. A gap against the past system embodies the freedom of Kim Soo-young's poetry, seen in the former poetry Kongjaue Sanghwallan(that means 'Struggling Confucius'). The attitude of negation like this can be though of an influence of modernism. For the condition of this negation, he notes originality that means not only to follow something new but also to live newly. Therefore internally, the ethics of self-creation and self-destruction is constantly required for getting the freedom from negativity. It is also externally required of disquietness which stands against artistic and social taboos. After the 4.19 Revolution, Kim Soo-young's poetry, different from the former works, faces realities and makes some differences about the way of seeking the freedom. That is, affirming the external things, his poetry gets the freedom on the skill that makes himself self-caused thing. Comparing the freedom on negativity, that seems to be contradict but in fact, can be evaluated more deepen skills. The freedom can be embodied in conflict of what the more we recognize falling behind, the more we surpass our situation. In following the freedom, a modest attitude which understand limitedness-in-the- world, can be emerged. In addition, when we see the things as a process, we are able to obtain a concrete way for performance of love. It should underlined that the positivity to the world in the latter works is no opposition to the negativity in the former works. The latter works of Kim Soo-young's does not show the way of making peace with the troubled world. Rather the positivity to the world in the latter works rejects the wrong given idea to the external things, and then heads for the world that turns into pure possibilities. The latter works intend to the freedom in the way of nagativity of fixed idea as the former works, on an axis of linear time, aims at the freedom in the way of negativity of past. Negativity of the former works, on an axis of linear time, focuses on the way of negation of past, that is, a struggle against past, while negativity of the latter works takes note of the viewpoint that sees all things as what they are and considers things as possibilities, not as the whole fixed outcome, that is, perspective to the future. The freedom of the former works is revealed in steady maintaining the present, while the freedom of the latter works are revealed in the lively though that considers even past as potential future. That is why the former has the figure of struggle as the other has the form of love. Those are not the self-contradiction that affirms the past systems once denied before, because then, "no end of reactions" he affirms are the reality which implies possibilities of the purely starting point, after removing the idea that the past systems are fallen behind. So to speak, the mind of negativity, which is nothing but struggling against past time before, however, makes the condition of the freedom more firmly, now denying the wrong given ideas to the things. Turning the negativity into the positivity means deepening of the mind of negativ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3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