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 0

거문고 병창 '새타령'연구

Title
거문고 병창 '새타령'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Geomungo Byeongchang 'Saetaryeong'
Author
최영훈
Alternative Author(s)
Choi, Young Hoon
Advisor(s)
권오성, 변성금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거문고 병창은 창자가 직접 거문고 연주를 하며 노래하는 연주 형태이다. 지금 전해지는 곡은 신쾌동의 <적벽가> 중 ‘새타령’, ‘호남가’, ‘팔도유람가’ 이다. 본 논문에서는 거문고 병창 적벽가 중 ‘새타령’과 판소리 적벽가 중 ‘새타령’을 비교?분석하고, 거문고 병창 ‘새타령’의 음악적 분석을 통해 노래와 거문고 반주의 관계성을 찾고자 하였다. 판소리 적벽가 중 ‘새타령’과 의 비교는 사설과 선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하였고, 거문고 병창 ‘새타령’의 음악적 분석은 노래선율과 거문고 반주와의 음악적 형태와 그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째, 거문고 병창 ‘새타령’과 남아있는 판소리 <적벽가> 중 ‘새타령’의 창본을 비교해 본 결과 신쾌동 거문고 병창의 사설과 사설이 일치하는 창본은 이창배본이다. 그런데 이창배본은 명창들의 사설을 나름대로 재편집한 형태의 창본으로 이창배의 『한국가창대계』에 나와있는 <적벽가> ‘새타령’에 대한 설명에는 어느 명창의 더늠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이창배 본 이외의 창본들 중 거문고 병창 사설과 가장 근접한 사설은 박봉술본이다. 둘 째, 거문고 병창의 ‘새타령’은 총 39장단이며, 판소리의 ‘새타령’은 총 35장단이다. 노래 선율 비교 결과 중모리 한 장단 또는 반 장단내의 사설, 선율이 거의 같은 경우는 8개, 사설은 유사하나 선율이 일부 유사하거나 다른 경우는 27개, 사설이나 선율이 다른 경우는 2개의 예시를 찾을 수 있었다. 즉 한 장단 내에 사설, 선율이 거의 같은 경우도 있으나 이는 일부이고, 사설, 선율이 유사하나 조금씩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판소리와 거문고 병창 ‘새타령’은 선율진행이 유사하지만 판소리가 병창이라는 연주형태로 바뀌면서 선율과 리듬이 조금 단순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셋 째, 거문고 병창 ‘새타령’의 음악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문고 병창 ‘새타령’의 음계는 C본청 계면조이다. 선율 진행을 살펴보면 ① e′♭음에서 c′음으로 바로 가는 경우보다 e′♭음→ d′음→c′음으로 순차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② f′음은 거의 꾸밈음 정도로 e′♭음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한다. ③ g′음에서 c′음으로 완전5도 하행진행시에도 바로 내려오는 경우는 없고 e′♭음이나 d′음을 거쳐 내려온다. 넷 째, 거문고 병창의 노래 선율과 거문고 선율을 비교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① 거문고 병창 ‘새타령’ 연주 형태는 총 27장단이 제주 형태로 나타난다.즉, 노래와 반주 선율의 병진행을 볼 수 있다. ② ‘새타령’의 변형된 형태는 총 9장단 나타나는데 크게 다른 가락을 연주하기 보다는 서로의 빈 박을 채워주거나, 노래 사설의 특징을 살려주는 반주의 성격과 간주의 기능을 가진다. ③ ‘새타령’에서 거문고 독주는 총 3번 나오는데 전(前) 장단의 가락을 반복하는 것만이 아니라 독자적인 선율로 다른 거문고 병창곡보다 풍부한 음악적 표현력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거문고 병창의 음악적 특징을 판소리 사설과의 비교, 거문고 노래 선율과 판소리 노래 선율의 비교, 거문고 병창의 거문고선율과 노래 선율의 관계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판소리가 병창이라는 연주형태로 바뀌면서 노래 선율과 리듬은 조금 단순화 되었지만 거문고 반주의 선율이 노래의 빈곳을 채워주어 더욱 풍부한 음악적 표현을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거문고 병창의 명맥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창작 활동과 연주 활동이 활발히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Geomungo Byeongchang(Singing with Geomungo by the pansori singer) is a type of performance in which a pansori singer plays a Geomungo(Korean zitherlike instrument with six strings) and sings by her or himself. The music descended currently is "Sae TaRyung(bird song)", " Honam-ga(Song of Honam)", "Paldo-Uramga(sightseeing song of the eight provinces of Korea)" among (Song of redwall)" of Sin Kwae-dong.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has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ae TaRyung" among JeokPyeok-ga of Geomungo Byeongchang and "Sae TaRyung" out of Pansori (a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JeokPyeok-ga. In the second place, the study has sought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g and Geomungo accompaniment through a musical analysis of "Sae TaRyung" of Geomungo Byeongchang. The comparison with "Sae TaRyung" among Pansori Jeokpyeok-ga is made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narration(aniri) and melody. The musical analysis of Geomungo Byeongchang "Sae TaRyung" is examined under the musical forms and its function of song melody and Geomungo accompaniment. As a result, I could reach the conclusion. Firstly, after comparing with the song script of "Sae TaRyung" among Pansori remaining with Geomungo Byeongchang "Sae TaRyung", the song script that narration is identical to narration of Geomungo Byeongchang by Sin Kwae-Dong is the song script by Lee Chang-Bae. However, as the song script by Lee Chang-Bae is a type of re-compilation of master pansori performer's narration in his own way, in the explanation on "Sae TaRyung" in『History of Korean singing』of Lee Chang-Bae has not been known about who's Deonum(some parts sang by pansori performers in their own ways). The closest narration to the narration of Geomungo Byeongchang among the song script except for Lee Chang-Bae's is the song script by Park Bong-Sul. Secondly, Geomungo Byeongchang "Sae TaRyung" is composed of the total 39 rhythm and "Sae TaRyung" of Pansori's is made up of the total 35 rhythm. After comparing to song melody, the pattern that narration within one rhythm of Jung-Mori or half rhythm and melody are almost same is the number of eight. The type that narration is similar but melody is partially alike or different is 27, and the type which narration and melody are different is 2, which are the examples found. That is, there are types that narration within one rhythm and melody are almost same, which is part of all. Generally, the pattern that narration and melody are similar but a bit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 above, it shows that Pansori and Geomungo Byeongchang "Sae TaRyung" are similar in terms of melody flow but melody and rhythm become rather simpler as Pansori changes to a performance type of Byeongchang. Thirdly, the musical analysis result of Geomungo Byeongchang "Sae TaRyung" is as follows. The musical scale of Geomungo Byeongchang "Sae TaRyung" is gyemyeon jo(one of musica scale that gives feeling of sad and nervous) of C basic tune. ① There are more cases which the sound of e′♭goes to d′ and then to c′ consecutively rather than the sound of e′♭ progresses directly to c′. ② f′ is a kind of garnished sound and plays as an assistant of e′♭. ③ There is no case in which going down perfect 5 do from g′ to c′ directly and descending via e′♭ or d′. Lastly, according to comparison analysis of song melody of Geomungo Byeongchang and Geomungo melo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① The performance type of Geomungo Byeongchang "Sae TaRyung" of total 27 rhythm presents as Je-Ju type (playing with a various type of instrument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song and accompaniment melody are played in parallel. ② The transformational type of "Sae TaRyung" is showed in total 9 rhythm, which fills up an empty rhythm each other rather than plays big different tune or has function of interlude and character of accompaniment that make the best use of characteristic of narration by song. ③ Geomungo solo in "Sae TaRyung" represents total three times, which shows rich musical expression than other song of Geomungo Byeongchang by using independent melody, not repeat the tune of former rhythm. Until now, musical characteristics of Geomungo Byeongchang(sing together in chorus) were compared with the pansori(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Saseol, Geomungo melody was also compared with song melody and the relation of geomungo melody and song melody of Geomungo Byeongchang were analyzed in the research. Through the research, musical melody and rhythm were simplified when pansori was changed to a performance form that is Byeongchang. However, melody of Geomungo accompaniment satisfied of musical inter-spaces so more abundant musical presentation could be represented. To maintain and develop the life of Geomungo Byeongchang, various creative activity and performance should be assumed based on the researc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1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