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 0

수도권 지역의 접근성 향상에 의한 순 유발수요의 추정

Title
수도권 지역의 접근성 향상에 의한 순 유발수요의 추정
Other Titles
Estimation of the net Induced demand depending on level of Accessibility (A Seoul Metropolitan Area Case)
Author
백은주
Alternative Author(s)
Baek, Eun ju
Advisor(s)
김익기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로, 철도 등 교통시설물 건설 이전에는 접근성의 불편으로 통행이 발생하지 않았던 통행이, 교통 환경이 개선됨으로써 새롭게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행들을 유발통행량(Induced trip)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각 목적별 접근성 지표가 통행생성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해보며, 접근성 향상에 따른 유발 통행량을 통행자의 통행 행태 측면에서 연구하는 것에 있다. 그러므로 거주 zone의 접근성 지표(accessibility measurement)와 가구의 특성을 관계 요인으로 두어, 통행발생량을 어떻게 유발시키는지를 목적별로 구분하여 분석해보았다. 분석 대상은 서울시와 인천시 그리고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지역이며, 2002년 수도권가구통행실태 조사에 의한 30% 유효 표본 조사 가구 자료가 활용되었다. 거주 zone의 접근성지표(accessibility measurement)를 구하기 위한, 통행 시간은 출발지에서 모든 도착지 중에서 걸리는 통행시간 중 1시간 이내 도착지의 통행시간으로 제한하여 구했으며, 분석 도구로 TransCAD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구한 통행시간은 저항요인(impedance factor)으로 작용하여, 중력모형의 분모부분으로 접근성지표(accessibility measurement)를 계산했다. 그리고 나서 접근성 지표 변수와 통행 발생량과 관계있는 가구 특성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두고, 각 목적별 통행생성량을 종속변수로 놓고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접근성 지표는 교통수요예측모형에 포함하여 모형의 설명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통행발생, 통행분포, 수단 선택 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인 통행발생 모형을 통해 유발 통행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적용해보았다.; By low of accessibility, before traffic facilities were constructed, such as rail, road, and etc. trips did not generated "Induced trip" which can be defined as new birth by improving the traffic facilities.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trip and Accessibility measurement, and to study Induced trip by accessibility measurement elevation in traveler's behavior side. Object of this analysis is 30% effective sample survey household based on data by 2002 Metropolitan Household Transportation Survey including Seoul city and Incheon and Gyeonggi-do. To compute residence zone’s accessibility, limited the travel time in 1 hour from the origins to all destinations, and used TransCAD as it’s analysis tool. Computed travel time is impedance factor, and calculated accessibility measurement as denominator portion of Gravity model. Then, in this study I analyzed regression of household based production trips, related to Accessibility measurement variable and the amount of trip produc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ach purposed production trips as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method of estimating the induced trip to Trip Generation(T.G) which is the first step of traditional four steps of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is applied, because, the Accessibility measurement can be applied to increase the propriety of demand forecasting models including the traditional four steps of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mode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6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2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RANSPORTATION ENGINEERING(교통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