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3 0

가정기반 출퇴근 통행과 비가정기반 통행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trip-chain 통행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가정기반 출퇴근 통행과 비가정기반 통행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trip-chain 통행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ip Chain by Incorporating Home-based Work Trip with Non-home-based Trips
Author
방형준
Alternative Author(s)
Bang, Hyung-Joon
Advisor(s)
김익기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통수요 분석 기법인 교통수요 4단계 분석 방법은 교통 수요자들의 선택 혹은 의사결정 과정이 순차적인 선택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여 통행발생, 통행분포, 교통수단 선택, 노선배정의 4단계를 순차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앞 단계에서의 결과에 오차가 있을 경우 다음 단계에 그대로 그 오차가 전달되며 그 오차가 더욱 증폭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앞 단계에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다음 단계에서의 정확한 분석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집합적인 교통수요는 개별 통행자의 통행 행태 의사결정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개별 통행자의 의사결정 원칙을 이해하지 못하고는 집합적 개념의 교통수요 원칙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교통수요 4단계 분석 방법의 첫 단계인 통행발생 단계에서는 각 교통존에서 발생하는 통행의 양을 예측하는데, 가정기반 통행과 마찬가지로 비가정기반 통행 역시 통행자 본인의 사회경제지표 등의 특성에 따라 사회경제적 활동을 위한 통행 행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지만 현재 비가정기반 통행은 통행자가 거주하는 가정과는 동떨어진 통행생성존과 통행유인존의 특성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예측 방법은 개인 혹은 가구 단위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통행자의 통행 행태 의사결정을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므로 통행 발생량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다음 단계인 통행분포, 교통수단 선택, 노선배정 단계의 수행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구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구통행 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통행자가 거주하는 가정 및 통행자 개인의 사회경제지표와 통행 목적, 활동 시간, 통행 시간 등 통행의 속성을 이용해 가정기반 출퇴근 통행과 비가정기반 통행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연속된 통행의 집합인 trip-chain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비가정기반 통행에 접근하고자 한다.; The traditional 4-step model, which is the most common transportation demand analysis model, follows successively the four steps, including trip generation, trip distribution, mode choice, and traffic assignment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wher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ravelers proceeds the sequential selection process. In the model, however, the errors which were produced in the previous step may propagate to the next step. In addition, the error may get bigger through the step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model.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expect any accurate analysis result without valid inputs and analysis methods in previous steps. The way to estimate an aggregated transportation demand begins with the determination of travel behavior of each traveler so that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transportation demand following the concept of aggrega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rules applied to the decision making of individual travelers. The trip generation, the first step in the 4-step model, estimates the amount of trips generated in each traffic zone using either home-based trip decision or non-home-based trip distribution method. The non-home-based trip decision as well as the home-based trip decision identically assumes that travel behavior of each traveler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o-economic pattern of the traveller. However, the non-home-based model estimates trip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rip production and trip attraction zones, where are far away from their homes in general. Such a method can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or his/her household so that the method has a limitation in realizing his/her travel behavior. This technical limitation results in an inaccurate estimation and sequential impact on the next steps, including trip distribution, mode choice, and traffic assignment. This research effort aims at approaching to the non-home-based trip estimation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trip chain, which is a group of linked trips in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based working trips and non-home-based working trips us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and his/her household, trip purpose and so 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5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1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RANSPORTATION ENGINEERING(교통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