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4 0

출산후 산모의 우울정서에 대한 조기 부모교육의 효과

Title
출산후 산모의 우울정서에 대한 조기 부모교육의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Early Parent Education for Postnatal Depression
Author
오의숙
Alternative Author(s)
Oh, E sook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산모의 정신건강은 산모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과 새로 태어난 아기의 지능과 성격, 정서 및 행동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출산후의 부모들은 새로 태어난 아기와 자신들이 부모가 된 것에 대한 기대감과 뿌듯함, 아기의 안녕을 걱정했던 것에 대한 안도감 등에 부풀어 있을 수도 있지만, 많은 산모들이 아기의 양육에 대한 불안감, 예전의 자신의 모습으로 되돌아 갈 수 없다는 절망감, 우울감 등의 산후우울정서를 경험하기도 한다. 우울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양육초기의 부모들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산모의 우울정서는 깊어지고 아기는 물론 남편과 자녀들 및 가족들의 정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결과 남편의 우울정서, 가정불화, 태어난 아기를 비롯한 아이들의 발달이상이나 문제행동 등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져서 출산율의 저하와 이혼율의 증가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산모와 태어난 아기, 그리고 가족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후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학적인 접근도 중요하지만 교육적 개입이 무엇보다도 더 중요하다. 그러나 산욕기의 산모들이 교육을 받기 위해 외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산후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증이 유발될 수 있는 과정을 이해하고 산모들 개개인에게 심리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 역시 다수의 산모들을 위한 교육방법으로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차선의 방법으로 산후우울증의 예방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정보책자를 이용하여 산모와 남편이 함께 읽고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출산후의 재택 정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근거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산모들의 산후우울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교육책자를 통한 조기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산후우울증의 조기 평가에 가장 적기인 출생후 3-8주에 아기의 예방접종을 위해 의료기관을 찾는 아기엄마들에게 에딘버러산후우울척도 (EPDS) 검사를 실시하였고, 산후우울증 평가기준 이상(EPDS≥10)인 아기엄마와 그 남편들을 대상으로 책자를 통한 조기부모교육을 실시하여 산후우울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육의 효과는 매우 고무적이어서 교육을 받지 못한 비교 군에 비해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EPDS점수가 월등하게 호전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심층인터뷰에서도 비교 군에 비해 실험군 산모들은 뚜렷이 호전되는 질적 변화를 보여주었고 특히 남편들의 지지가 월등하게 좋았으며 부부간의 대화와 이해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로 부부간의 갈등이 산후 우울정서를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EPDS점수가 10이상인 산모들을 대상으로 갈등대처방안척도 II검사를 실시한 후 책자를 통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후 EPDS재검사를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분석하고 산모들의 갈등대처방안유형과 EPDS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후 척도가 10이하로 낮아지는 산모들에 비해 여전히 척도가 10이상인 산모들의 경우 이들은 교육전부터 척도가 높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부간에 갈등이 있을 때 EPDS척도가 높은 산모들은 갈등대처방안의 유형으로 회피의 유형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성적 대처와 행동 및 감정표출의 대처방안을 많이 사용할수록 EPDS 척도가 낮았다. 조기부모교육을 위한 교육책자는 산후우울증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후우울증에 관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적절한 인지행동요법을 교육내용에 우선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산후우울정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주위의 도움, 특히 남편의 지지가 절대적이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 부부간의 갈등에 대처하는 기술 및 부모역할하기에 관한 내용도 함께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육의 효과가 없는 중증 산후우울증인 경우에는 전문가의 상담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도 반드시 주지시켜주어야 한다. 교육책자를 통한 부모교육 이외에도 인터넷을 통한 교육, 산후도우미들을 위한 교육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도 추진되어야 한다.;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who have recently given birth to a child not only affects the mothers themselves but also their familie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newborn’s intelligence, personality,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Couples who have just had a baby are fulfilled with happiness and joy merely by the fact that they have become parents and are relieved to have a healthy baby. However, mothers also experience depression and anxiety regarding parenting or frustration about the fact that they can never return to their lifestyle prior to the birth of the baby. When parents who experience depression at the early parenting stage are left alone, the depression of mothers will worsen and negatively affect the baby’s, husband’s, children’s and entire family’s emotional state. As a result, it can cause the husband’s depression, familial conflicts, or developmental abnormalities or problematic behaviors in children. These familial issues can be expanded to larger social issues leading to decreases in birth rates or increases in divorces. To prevent these problems that negatively impact the mother, the newborn and the family, educational interventions, as well as medical treatments, are crucial. However, in reality, it is difficult for puerperal mothers to go out and participate in educational courses. The best way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is to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that causes the depression and to receive intimate counseling, but this also is not easy for puerperal mothers. Therefore, the next best way is to educate oneself at home using a booklet that contains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postpartum depression prevention and letting couples read it to deal with the issue together. Based on these reasons, in this study, we intervened by urging early parental education through a booklet on postpartum depression prevention. Mothers who visited medical institutions when babies were 3-8 weeks old for vaccination were tested on the Edinburgh Postpartum Depression Scale (EPDS). A booklet for early parental education was distributed to those whose EPDS score was higher than 10, after which the effect on postpartum depression was analyzed. The effect of the education was very encouraging.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s depression levels went down after the educ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interview result also implied that the treatment group’s depression levels decreased after the education, and they also received better support from husbands who made more time for conversa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A follow-up study was conducted regarding coping strategies. Since marital conflicts can cause postpartum depression, we investigated their coping strategies using Conflict Coping Strategies Test II on mothers who scored higher than 10 on the EPDS scale, and educated them with the developed booklet. After they read the booklet, EPDS levels were re-tested, and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EPD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suggested that mothers who still scored higher than 10 on the EPDS scale initially had very high EPDS scores compared to mothers who showed improvement after education. When there were marital conflicts, mothers with high EPDS levels tended to use ‘Avoidance’ as a major coping strategy. Additionally, mothers who used more of ‘Rational Coping’ and ‘Emotional Expression Coping’ showed a lower EPDS. Educational materials for parental education should cover general information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preferably provide the reader with accurate and appropriate information o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order to get over depression, support from others, particularly from the husband, is very important. Thus, inclusion of content matter such as social support, coping techniques on marital conflicts, and parenting skills in the booklets should be encourage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encourage mothers with moderate levels of postpartum depression to receive counsel from therapists or psychiatrists if the educational benefit is not significan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more developed by using tools such as the Internet or participating postpartum help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