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 0

성격특성변인과 상황적 변인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효과

Title
성격특성변인과 상황적 변인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Personality Variables and Situational Variables on Social Anxiety
Author
김보현
Alternative Author(s)
Kim, Bo Hyun
Advisor(s)
장성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situational variables on adolescents’social anxiety.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are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personality and situational variables on social anxiety. Participants were 475 middle school students.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taining 2 of 8 hypothetical scenarios in which three situational variables (importance of situation, number of observers, and intimacy with observers) were manipulated. Which scenarios the student filled out for the questionnaire was determined by random assignment. Students also responded to the measures of achievement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s personality variables and social anxiety trait and situational social anxiety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motiva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anxiety trait as well as situational social anxiety. Moreover, this study revealed autonomous achievement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social anxiety trait and situational social anxiety, whereas heteronomous achievement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anxiety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autonomous achievement motiv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students benefit from high autonomous achievement motivation in terms of low levels of social anxiety. Second, all three situational variables (i.e. importance of situation, number of observers, and intimacy with the observers)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situational social anxiety. Specifically, high levels of students’situational social anxiety were predicted by high importance of situation, many observers, and low intimacy with the observers. Finally,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observers varied as a function of social anxiety trait and self-esteem. That is, the number of observers mattered much for students who had high levels of social anxiety trait and for students who perceived low self-esteem.;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사회적 불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개인 내적?외적 변인들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사회적 불안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불안을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격특성으로서의 사회적 불안 성향과 보다 상황특정적인 상황적 사회적 불안의 두 가지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사회적 불안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시도하였다. 사회적 불안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사회적 불안을 일으키는 개인 내부의 인지적 요인들을 밝히는 데 치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불안의 성질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 줄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의 개인 내적 성격특성변인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동기적 측면에서 성취동기, 외부와의 관계 지각의 측면에서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기개념의 측면에서 자기존중감을 각각 상정하여 사회적 불안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사회적 불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적 변인들을 확인하고자, 다양한 상황적 변인들을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상정한 성격특성변인과 상황적 변인들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성격특성변인과 상황적 변인들이 함께 하여 나타날 수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사회적 평가 상황인 가상적인 주제 발표 상황을 제시한 후, 본 연구에서 상정한 상황적 변인인 상황중요도, 관찰자 수, 그리고 관찰자와의 친밀도를 각각 두 개 수준으로 조작하여 2×2×2의 요인설계를 통해 총 8개 상황 조건을 설정하여 각 피험자에게 2개 상황씩 무선적으로 할당하였다. 그 후, 각 상황에 대한 상황적 사회적 불안 척도와 각 성격특성변인 척도를 사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각 성격특성변인과 사회적 불안의 두 차원(상황적 사회적 불안, 사회적 불안 성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취동기와 자기존중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상황에서 상황특정적인 상황적 사회적 불안이나 성격특성적인 사회적 불안 성향 모두가 낮게 나타났다. 즉, 성취동기, 자기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모두 사회적 불안에 있어서 적응적인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성취동기의 두 하위차원 고유의 효과를 각각 분석한 결과, 자율적 성취동기만 상황적 사회적 불안과 사회적 불안 성향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춰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타율적 성취동기는 사회적 불안의 두 차원을 모두 예언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는 성취동기 자체보다는 자율적 성취동기를 높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문제 2에서는 상황적 변인이 상황적 사회적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상정한 상황적 변인인 상황중요도, 관찰자 수, 그리고 관찰자와의 친밀도 모두 상황적 사회적 불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황의 중요도가 작을 때보다는 클 때, 관찰자 수가 적을 때보다는 많을 때, 그리고 관찰자와의 관계가 친밀할 때보다 소원할 때 각각 상황적 사회적 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성격변인에 따라 이러한 상황적 변인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불안 성향과 자기존중감에 따라 관찰자 수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사회적 불안 성향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관찰자 수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감이 높은 집단보다 자기존중감이 낮은 집단에서 관찰자 수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5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