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6 0

신축 공동주택에서 베이크 아웃 시 환기 조건에 따른 마감재에서의 방출량 저감 효과

Title
신축 공동주택에서 베이크 아웃 시 환기 조건에 따른 마감재에서의 방출량 저감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Ventilation on VOCs Emission rate during the Bake-out Procedure in Newly Constructed Apartments
Author
박동선
Alternative Author(s)
Park, Dong-Sun
Advisor(s)
손장열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신축 건물이나 리모델링한 건물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거주자 중 감수성이 높은 유아나 노인들에게 있어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등의 오염물질은 눈, 코, 목의 점막을 자극하거나 현기증, 구토, 두통을 유발시키며, 심한 경우 피부염 및 천식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베이크 아웃 시행에 있어 실내 환기량이 마감재로 부터의 오염물질 방출량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하여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베이크 아웃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부분의 주거건물에 적용되어 있는 온수 바닥난방 시스템이 적용된 공간을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 논문은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과 그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베이크 아웃을 이해하기 위한 평가방법과 기존 연구문헌들에 대한 조사와 현황을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베이크 아웃의 실험 조건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신축 공동주택에서 베이크 아웃 시 환기 조건에 따른 마감재에서의 방출량 저감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 조건 및 방법을 작성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신축 공동주택에서 베이크 아웃 시 환기 조건에 따른 마감재에서의 방출량 저감 효과를 파악 하였다. 제 5 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론을 기술하였으며,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이크 아웃 시행 시, 실내 밀폐세대 보다 실내 환기세대에서 VOCs와 폼알데히드 농도의 저감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베이크 아웃 직후인 5일 측정에서 농도 저감이 크게 나타났다. 2)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개별 물질 중에서, Toluene과 Formaldehyde는 베이크 아웃 전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베이크 아웃 이후 농도저감 효과가 우수하였다. Toluene과 Formaldehyde를 제외한 다른 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베이크 아웃 전의 농도가 낮았으며, 베이크 아웃 후 농도저감 효과가 나타났다. 3) 베이크 아웃 후에 밀폐세대의 오염물질 방출량은 환기세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베이크 아웃 중 자재내부 오염원의 방출이 환기세대가 밀폐세대 보다 많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베이크 아웃 시행 시, 실내 오염 물질 농도를 낮게 하기 위하여 실내 환기 하는 것이 유리하다.; New species of disease such as sick building syndrome, over-sensitiveness to chemical material, etc. have recently been reported in the mass media in Korea, which occur due to interior air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interior air quality, many group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these are being formed and much on these is being studied at colleges and institutes. Moreover, it is the actual condition that research is being actively made on the method of reducing contaminant by performing bake-out for newly constructed housings. Bake-out is the method of temporarily increasing the generation of the harmful contaminant quantity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HCHO)emitting from construction materials or finish materials by increasing the interior temperature of the newly constructed buildings or improved or repaired buildings, and then removing it by mobilizing ventilation system. This method of reducing contaminant by way of bake-out may be working in reducing the contaminant from the hypocaust floor. In case bake-out is carried out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floor was increased, however, it may deteriorate an indoor air quality later as the contaminant emitted from the materials will be absorbed into other material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we have to reduce the indoor contaminant concentration by using any positive method even during the period of bake-out. This study performed data sampling in apartment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When bake-out was carried out,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was diminished effectively in the unit that was ventilated partially.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oluene and Formaldehyde was great. The amount of the two contaminants reduced most efficiently, after the bake-out was performed. When the room was not ventilated during the bake-out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VOCs increased and decreased as time passed by, since the contaminants were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 and stuck to the material again. When bake-out was performed for buildings, the room should be ventilated at least partially to decrease the VOCs and HCHO.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7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