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0

소아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 중이 삼출액의 용량 및 점도와 고막운동성계측도 지표의 상관관계

Title
소아 삼출성 중이염 환자에서 중이 삼출액의 용량 및 점도와 고막운동성계측도 지표의 상관관계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Volume and Viscosity of Middle Ear Fluid and the Tympanometric Parameters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Author
이영석
Alternative Author(s)
Lee, Young Seok
Advisor(s)
이승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삼출성 중이염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질병 중의 하나로, 여러가지 병인으로 인한 중이강내의 국소 염증 및 면역반응의 지속으로 인하여 중이강 내에 삼출액이 고이는 질환이다. 삼출액의 양상은 점도가 낮은 장액성 삼출액으로부터 탁하고 점도가 높은 점액성 삼출액, 아교성 삼출액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삼출액의 점도에 따른 조성의 차이 및 임상 소견 등에 대한 명확한 근거는 아직도 많은 연구 중에 있으며, 현재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이관 기능 부전 및 감염 등이 지속되어 삼출성 중이염의 만성화를 일으키고 이는 중이 저류액내의 염증세포 및 싸이토카인(cytokine)의 조성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고막운동성계측은 임상적으로 중이강 및 고막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써, 특히 type B 고실도는 중이내 저류액의 진단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type B 고실도의 모양은 위정점을 갖는 원형 형태부터 뚜렷한 정점이 없는 직선 형태까지 구별될 수 있는데, 중이 저류액의 성상 및 임상 양상에 따른 고실도 형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출성 중이염으로 환기관 삽입술을 받은 소아 환자의 수술 중 채취한 중이 저류액의 성상과 술전 시행한 고실도의 특징을 평가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이 저류액의 용량을 1+, 2+, 3+로, 중이 저류액의 점성을 장액성, 점액성, 아교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는데, 중이 저류액의 점성이 증가할수록 저류액의 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중이 저류액의 용량 1+에 비해 2+, 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술전 시행한 type B 고실도 형태가 직선형을 나타냈다(p=0.02). 또한 장액성, 점액성 삼출액에 비해 아교성 삼출액에서 직선형 type B 고실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2. Type B 고실도에서 고실도 최고점에서의 음향 어드미턴스, 즉 최고 음향 어드미턴스(maximum acoustic admittance of the ear, Admmax)와 중이의 압력을 반영하는 고실도 최고점에서의 압력(peak pressure, Prpeak)을 구하여 저류액의 성상과 비교 평가하였다. 중이 저류액의 용량이 2+, 3+ 일때, 또한 아교성 저류액에서, type B 고실도의 음향 어드미턴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하지만 중이 저류액의 용량 및 점성과 최고점에서의 압력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소아 삼출성 중이염의 진단에 있어서 type B 고실도의 특성과 중이 저류액의 성상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간접적으로 술전 중이내 저류액의 양상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titis media with effusion(OME), one of the most prevalent disease in children, is an inflmmatory disorder of the middle ear associated with accumulation of effusion which can be serous, purulent, mucoid, or a mixture of these different types of fluids. It has been shown that retension of inflmmatory cells and cytokines in the middle ear cleft can result in ongoing chronicity and compositional change of middle ear fluid. Tympanometry is a clinically well established measurement for assessing the status of middle ear, tympanic membrane, or the presence of fluid in the middle ear. Moreover, type B tympanogram is usually considered a unique entity for detecting middle ear fluid. Its shape may vary from a rounded type B with a pseudopeak to a completely flat respons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volume and viscosity of middle ear fluid collected during myringotomy and the preoperative tympanometry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B tympanogram curve (maximum admittance, tympanometric peak pressure) to the volume and viscosity of middle ear flui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e categorized the study groups quantitatively by the middle ear fluid volume, and qualitatively by the middle ear fluid viscosity, 1+, 2+, 3+ and serous, mucous, glue, respectively. As the volume of middle ear fluid increases, the viscosity increases significantly (p<0.001). Comparied to 1+ group, in the 2+ and 3+ volume group the straight type B tympanogram increases significantly (p=0.002). And in the glue group, the proportion of straight type B tympanogram significantly increases (p<0.001). 2. We defined the type B tympanogram by 2 major characteristics: 1) the maximum acoustic admittance of the ear, which is the value of the admittance at the peak of the tympanogram; 2) the pressure at the peak of the tympanogram, which reflects the pressure in the middle ear. In the 2+, 3+ volume group and the glue group, the Admmax significantly decreases (p<0.001).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volume and viscosity of middle ear fluid and peak pressure of the tympanogram was not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characteristics of type B tympanogram curve were correlated with the volume and viscosity of middle ear fluid in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71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