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4 0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인터랙티브 캐릭터의 개념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인터랙티브 캐릭터의 개념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active Character of the Concept and Design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uthor
신종원
Alternative Author(s)
Shin, Jong Won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은 역할놀이에 대한 욕구가 있다. 역할놀이에 쓰이던 캐릭터는 주술적인 의미로 쓰이던 인체조각품의 제작을 시작으로 하여 관절을 움직이고 복장을 바꿀 수 있는 현대의 캐릭터 형태로까지 발전해왔다.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할 때 마다 캐릭터는 형태를 바꾸어 미디어에 적응하였다. 과학의 발전으로 뉴미디어가 등장하면서 가상공간이라는 새로운 공간을 더해 주었고 인간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자아를 대신할 인터랙티브 캐릭터를 만들었다. 가상현실공간은 점차 현실공간과 비슷한 환경으로 발전하게 되고 캐릭터는 점차 인간과 인터랙션이 가능하게 된다. 본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에 대한 인식론적인 측면은 미래 가상현실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다. 이에 다각도의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캐릭터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사용자와 캐릭터사이의 상호작용이 캐릭터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인터랙티브 캐릭터의 발전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인터랙티브 캐릭터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캐릭터가 출현한 역사와 단순한 캐릭터가 인터랙션을 획득하게 된 배경을 기술했다. 또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나타나고 있는 캐릭터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며 어떠한 종류들의 캐릭터들이 생겨났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터랙티브 캐릭터 영역이 확장되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미디어 환경이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변화를 탐색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 특히 시간과 공간성이 변화를 거치며 나타나는 현상을 알아보고, 미디어와 캐릭터의 관계,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 등을 살펴보았다. 인터랙티브 캐릭터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첫번째로 인터랙티브 캐릭터룰 정리 했으며, 두 번째로 인터랙티브 캐릭터의 디자인 경향을 마지막으로는 앞으로 인터랙티브 캐릭터의 진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들을 통해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인터랙티브 캐릭터의 새로운 정의와 그리고 발전 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인터랙티브 캐릭터는 가상현실공간에서 인간의 또 다른 자아이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다른 커뮤니케이션 도구들과도 본질적으로 다른 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터랙티브 캐릭터가 단순히 가상현실공간에서 움직이는 캐릭터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제 하나의 독자적인 인터랙티브 캐릭터 영역으로 자리 매김 해야 한다.; Human beings have a desire for role-playing. The characters that were used for role-playing gradually evolved from a simply occult doll to a fully articulate figurine. As new media appeared, the characters changed forms to adapt to the new media. As technology developed, the new media added a new space called virtual-space, People created interactive characters to replace their ego in the virtual-space. Virtual-reality-space gradually develops to become similar with real-life and the characters become capable of interaction with people. This paper examines the epistemology aspect of interaction becoming the key for the future of the virtual reality industry. It aims to analyze the effec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acters within the many-sided new media environment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aracter and user have on the character design. It also aims to examin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interactive character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the gradually enlarging scope of interactive character, while accounting for the history of characters and describing the background of how the simple character acquired interaction. In addition, the paper examines how the character change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probes what types of characters have been created. In order to analyze the expansion of the domain of interactive characters, the paper examines the change from media environment to ubiquitous environment. It especially focuses on what happens during the change in time and spa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the charact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as the digital technology advances. The paper proposes a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interactive characters. First, the paper organizes interactive characters. Second, the paper examines the design trend of interactive characters. Lastly, the paper examines the potential of the futur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interactive characters. Through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paper ultimately aims to create a new definition and provide a colligativ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interactive characters. Because an interactive character is a person's alter ego in the virtual-reality-space, its influenc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ther communication tools. Therefore, interactive characters cannot be simply seen as mobile characters in virtual-reality- space, but should have its own independent fiel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