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0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622」분석

Title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622」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Mozart`s 「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Author
이순형
Alternative Author(s)
Yi, Soon-Hyung
Advisor(s)
유전식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클라리넷은 고전시대에 오케스트라의 주요 악기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독주악기로서도 인정받게 되었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art, 1756-1791) 「클라리넷 협주곡 K.622」은 단하나의 클라리넷 협주곡일 뿐만 아니라 그의 협주곡들 중 가장 마지막 곡이다. 이 작품은 클라리넷의 독주악기로서의 특성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고전시기 협주곡의 주요한 특성인 균형성, 대칭성, 통일성을 잘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시기 협주곡의 개념과 역사, 이 「클라리넷 협주곡」의 작곡 배경을 개관하고 고전 협주곡의 구조와 주요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전 악장의 분석이 뒤따른다. 1악장에서 고전협주곡의 일반적인 형식구조인 소나타 형식과 이중제시부, 주요 선율 간의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2, 3, 4악장을 함께 분석한 후 악장 간의 대칭적 조성구조와 선율적으로 나타나는 통일성을 찾아보았다.; Clarinet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orchestra of the Classic period and had become to considered as a solo instrument. Mozart's Clarinet Concerto K. 622 is the only concerto for clarinet and the last concerto of his concerto works. The concerto portrays the peculiar features of Clarinet and shows balance, symmetry and unity characterizing concertos of Classic period. The thesis introduced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Classic concerto and the compositional background of the Clarinet concerto, and studied the general structure and features of Classic concerto. In the next chapter, an Analysis of the entire work was given. In the first movement, sonata form, double exposi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essential melodies were analyzed. After analyzing the second, third, and finale movement, the symmetrical tonal structures and the unity of the main melodies between movements were examin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5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