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8 0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기초한 유아 요리 프로그램이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기초한 유아 요리 프로그램이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Cooking Program Based on the Teaching for Understanding to Science Process Skills : Based on Narrative Inquiry
Author
김선미
Alternative Author(s)
Kim, Sun Mi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의 개방적인 교육 과정이자 평가 지침의 틀인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기초하여 요리 프로그램을 구성해 주고 과학적 탐구 능력 발달과 다중지능의 논리 - 수학적 지능에 도움을 주고자 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들의 이해 능력을 기초로 다양한 감각을 통해 직접 조작함으로써 구체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만 4세 유아 총 48명에게 2007년 5월 21일부터 2007년 7월 9일까지 총 8주간 주 2회씩 총 14회에 걸쳐 진행 되었다.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A. Tashakkori, C. Teddlie(2002)의 통합 방법을 사용하여 양적 · 질적 자료를 동시에 수집하고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동시설계를 하였다.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 능력 검사, 한국적 유아 다중지능 질문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으며, 질적 방법으로는 참여관찰, 심층면담, 비디오 분석을 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은 연구자, 교사, 유아교육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구성되었다. ‘이해를 위한 교수법'의 조직도에 기초하여 요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세 가지의 생성적인 주제로 도입, 발전, 심화 단계의 총 14개의 세부 프로그램이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프로그램은 30~50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세부적인 프로그램들이 진행되는 동안 비공식적인 평가, 동료 평가, 다양한 그래프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등의 지속적인 평가를 하였다. 과학적 탐구 능력에서 두 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탐구 능력의 요소가 포함된 한국적 유아 다중지능 질문지 중 논리 - 수학적 지능의 9문항의 결과도 사전·사후 차이 점수로 실험 집단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비교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기초한 요리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는 과학적 탐구 능력의 향상과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세 가지의 생성적인 주제를 통해 이루어진 프로그램들을 과학적 탐구 능력에서 특징적인 부분이 많이 나타난 세부요소 별로 구분하여 도입, 발전, 심화 단계에서의 변화되는 과정을 알아보았으며 사례를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유아들은 세부적인 요리 활동을 통해 유사한 경험으로부터 예측하기 시작하여 물질의 성분, 물질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오감을 통해 쌀을 관찰하는 모습에서 열의 가열을 통해 쌀의 호화 과정을 관찰하는 모습으로 실험을 통한 관찰력이 변화되었다. 분류하기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다. 단순한 모양을 보고 사물을 분류하기 시작하여, ‘내가 싫어하고 좋아하는’ 재료로 두 가지 속성에 따른 분류, 교사의 비계설정에 따른 공통점과 차이점까지 분류하였다. 또한 길이의 측정에서부터 도구를 통한 측정 방법이 다양화 되는 점도 나타났다. 유아들의 긍정적인 태도로는 지속적인 평가 과정을 통해서 유아 스스로 만든 결과물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변화 과정이 나타났으며, 요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셋째, 교사에게 나타난 변화들을 내러티브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교사는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적용한 유아 요리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 목표와 내용 · 방법을 미리 계획하고 이 계획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사용해 대체로 대집단 위주의 획일적인 활동의 전통적인 교수 방법보다는 유아들의 흥미와 의견을 존중해 주는 능동적인 역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로 변화되었다. 또한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유아들의 확산적인 사고를 도와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를 위한 교수법’에 기초한 유아 요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과 다중지능의 논리 - 수학적 지능이 향상되었으며, 정서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는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교수 - 학습 모델 제시와 함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활동을 구성하기 위한 좋은 자료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cooking program, based on the ‘Teaching for Understanding’ which is an evaluation guide and an open teaching course for multiple intelligences. So, it could help to develop science process skills and logical . mathematical intelligence of multiple intelligences by providing the cooking program. Also, we will provide well structured learning experience to infants controll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by using various sen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1st May 2007 to 9th July 2007 to four-year-old children. Each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for 14 times, twice a week for 8 weeks. To increase the accuracy, we used concurrent mixed method design which is one of the Mixed Methods of A. Tashakkori and C. Teddlie (2002). The concurrent mixed method design collec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en analyzing the data using complementary methods. We conducted science process skill test of Martin (1997) from MIDAS-MYC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for the qualitative method, we used narrative research methods by adopt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video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organized after having discussions with the analysts, teachers and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 developed the cooking program based on the model of ‘Teaching for Understanding’ and it contains 14 detailed programs in introduction level, development level and deepening level which represents three generative topics. While conducting the detailed programs, we continuously reviewed the data such as unofficial review, peer evaluation, various graphs review and portfolio evaluation. When we compared the before and after scores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stima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s and discussion than comparing group. And the before and after scores from MIDAS-MYC also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comparing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hildren who were going through the cooking program which were based on the ‘Teaching for Understanding’ showed increases in their science process skills and positive attitude changes. The detailed programs, which were organized by three generative topics, were divided by the factors which showed its characteristic roles in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n analyzed how they were changed in introduction level, development level and deepening level. And we described each cases using narrative research method. The children estimated the ingredients of matters and changes of matters from similar experiences they had from the previous detailed cooking activities. The observation changed from observing rice with five senses to observing cooking process of rice by heat. We could also find changes in classification. In the initial stage, they classified matters simply using its looks. But during the program, they could classify matters to what they liked and what they disliked. Furthermore, they could classify matters to matters which were similar/different to what the teacher set up. Also, the measurement methods were diversified by using tools. For the positive attitude changes, through the continuous evaluation process, the children started to understand and evaluate what they had made and showed positive attitude to cooking. Third, we described the changes which the teachers showed using narrative method. Through the children cooking program which applied ‘Teaching for Understanding’, the teachers acknowledged the aim of the education, planned contents and methods, and used proper teaching methods to deliver this plans in fast and effective ways. The role of teachers changed from traditional teachers who us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activities to active teachers who respect interests and opinions of children. They also helped children to have divergent thinking through open questions. In this research, we could find that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logical . mathematical intelligence of multiple intelligences of children increased and find positive changes in emotional point after applying children cooking program to children which were based on ‘Teaching for Understanding’. This suggests that Teaching - Learning model can be very good resources for effective and useful activities in kindergarte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3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