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2 0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 및 교사의 요구

Title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 및 교사의 요구
Other Titles
The Quality Level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nvironment and the Teacher's Demand
Author
박은영
Alternative Author(s)
Park, Eun-young
Advisor(s)
조인숙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기 위하여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과 이들 관련 변인(보육시설, 시설장, 교사)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영아보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알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3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보육환경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2. 배경변인에 따른 영아보육환경 질적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2-1. 보육시설 배경 변인에 따른 영아보육환경 질적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2-2. 시설장 배경 변인에 따른 영아보육환경 질적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영아보육환경 질적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3. 영아보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일부지역(성남시, 군포시, 안산시, 이천시, 수원시, 안양시)의 보육시설 영아반(0~36개월 미만) 교사를 비확률 임의 표집하여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아보육환경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최경애(2002)의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중 일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도구의 타당도를 산출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 하였고,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등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영아보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총 252명의 연구대상 중 41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면접을 하였다. 녹취와 속기 작성한 면접 내용을 정리한 후 빈도를 구하여 빈도수가 많은 문항들만 분석·정리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 평균은 3.00(SD=.46)으로 나타났다.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직원 업무시설 영역(M=2.61), 실외놀이 및 대근육시설 영역(M=2.76), 영양관리 영역(M=2.89), 보육실 영역(M=2.97)의 순으로 전체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 평균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설비 및 기타 시설 영역의 평균은(M=3.06), 일상생활시설 영역(M=3.12), 약품관리 영역(M=3.17), 안전관리 영역(M=3.18)의 순으로 전체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 평균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설비, 안전, 건강 등과 관련된 하위 영역은 높은 점수가 나타났고, 영아의 놀이 환경, 교직원 시설과 관련된 하위 영역은 낮은 점수를 나타내어 영아의 놀이 환경과 교직원 환경과 관련된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영아보육환경의 질은 보육시설 관련 변인 중 시설유형, 시설규모, 영아인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시설장 관련 변인에 따른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시설장의 학력, 시설장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 관련 변인에 따른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은 교사의 자격취득 경로, 보육시설에서 교사 총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현재 영아반 교사가 인식하는 영아보육환경의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발달에 적합한 교재교구, 교재교구의 충분한 수량, 교구교재 종류의 다양화, 보육실의 면적, 보육실의 시설·설비, 보육실의 위치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아보육환경 개선을 위해 영아반의 교재교구 개발과 재정적인 지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 교사·시설장의 영아에 대한 인식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보육시설, 시설장, 교사가 영아보육환경의 질에 대한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이로써 앞으로 영아보육환경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보육시설, 시설장, 교사의 질적인 수준도 높아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기 위해서 영아보육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보육시설에 대한 보육환경 평가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is to find the way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e childcare center environment and to find out teachers' demand for improved nursing environment by evaluating the quality level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nvironment and its relevance to different variables(nursery facilities, principal and teachers of the childcare centers). Following three questions had been set up for the research. 1. How is the quality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nvironment? 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level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levant variables? 2-1. Do the facilities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affect the quality level of the childcare center environment? 2-2. Does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principal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affect the quality level of the its environment? 2-3. Does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affect the quality level of its environment? 3. What is the teachers' demand for improved nursing environment? The research appli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choose 252 teachers taking care of infants (under 36 month old) at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s in some cities of Gyeonggi-do Province(Seongnam, Gunpo, Ansan, Icheon, Suwon, Anyang cities) and they were provided with questionnaires. Kyoung-Ae Choi s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Toddler Care Centers' had been used for the investigation. Validity of the research tool had been verified by Cronbach α coefficient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based on SPSS 12.0 were also applied for the research. 41 out of 252 childcare center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had been interviewed in semi-structured way to know their demands on working place and most frequently suggested requirements gathered from the voice records and fast-written notes of the interviews were studi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verage quality level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nvironment was 3.00(SD=.46). Lower than the average we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M=2.61), outdoor and physical activity facility(M=2.76), nutrition care(M=2.89), nursery room(M=2.97) and higher were appliances and other facilities(M=3.06), daily care facilities (M=3.12), medicine care(M=3.17), safety care(M=3.18). The results showed facility, safety, healthcare related categories were in good quality while infant's playing environment and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were in poor condition and in need of qualitative improvements. Second, the quality level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nvironment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size of the facility and the number of the infants. The principals' educational degrees and majors could affect the quality of the childcare center and the teachers' certificate aquisition process and the length of their service at the childcare centers also had an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childcare centers. Third, teachers pointed out that proper and 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and the teaching methods also need to be diversified. In addition, the size, facilities and location of the nursery roo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improvement. For this matter, they asked to have better teaching materials, economic supports, reeducation programs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and they suggest principals and teachers need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inf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nursery facilities, principals and teachers of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s are influential variables for the quality level of the childcare centers and the fact suggests the level of these variables also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overall improvement of the childcare center environment. Continuous studies on infant care system accompanied with government's economic supports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assessment of the childcare center environment should be strengthen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3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8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